“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청련선생집(靑蓮先生集) - 청련집(靑蓮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이후백(李後白)의 시문집. 3권 1책. 석인본. 1961년 후손 이호경(李浩敬)이 편집, 간행함.
196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청련자(靑蓮子) - 이후백(李後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와 양관 제학(兩館提學)을 지냈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덕망이 높아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음.
1520~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청례(進禮) - 금산(錦山)
충청남도 남동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까지는 전라도에 편입되어 있었음. 임진왜란 때 조헌(趙憲)과 영규(靈圭)가 이끄는 의병이 이곳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모두 전사함.
전라도>금산 , 지명>행정지명
-
청로(淸老)@김세필 - 김세필(金世弼)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복직되었으나, 조광조(趙光祖)를 사사(賜死)한 중종의 과오를 규탄하다가 장배(杖配)됨. 경학(經學)에 밝았음.
1473~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청로(淸老)@김상헌 - 김상헌(金尙憲)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서인 청서파(淸西派)의 영수이며,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끝까지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함. 효종이 즉위해 북벌을 추진할 때 그 이념적 상징으로 ‘대로(大老)’라고 존경을 받음.
1570~165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경기도>양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청로(淸老) - 강은(姜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기묘명현(己卯名賢)으로, 노후에는 김안국(金安國)과 학문을 강론하며 여생을 보냄.
1487~155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청륙(靑陸) - 김덕겸(金德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산(商山). 김홍(金洪)의 아들로, 충청 도사(忠淸都事)를 지냈으나, 1612년(광해군 4) 광해군(光海君)을 비방하는 언서(諺書)로 추국을 당한 후 은거함. 시(詩)로 명성이 높았음.
1552~163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청릉(靑陵) - 심강(沈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명종의 장인으로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1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청릉군(淸陵君) - 김순명(金順命)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길통(金吉通)의 아들.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훈되었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냈으며, 청릉군(淸陵君)에 봉해짐.
143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청릉군(淸陵君) - 김신국(金藎國)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킴. 1613년(광해군 5)에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록되고 청릉군(淸陵君)에 봉해짐.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지냄.
1572~165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청릉군(靑陵君) - 심강(沈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명종의 장인으로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1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청릉부원군(淸陵府院君) - 김좌명(金佐明)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영의정 김육(金堉)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영의정(領議政)ㆍ청릉부원군(淸陵府院君)에 추증되고, 현종의 묘정에 배향(配享)됨.
1616~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 심강(沈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명종의 장인으로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14~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청림군(靑林君) - 심충겸(沈忠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심의겸(沈義謙)의 아우이며, 인순왕후(仁順王后)의 동생.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호종하고 군량미 조달에 공헌하여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올랐으며,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45~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청만(晴巒) - 유격(柳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선릉 참봉(宣陵參奉)을 지내고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에 다섯 차례나 임명되었으며, 서예에 뛰어났음.
1545~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청만(晴灣) - 심종민(沈宗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명(明) 나라 제독 이승훈(李承勛)의 휘하에 종군하여 그 공으로 군자감 주부(軍資監主簿)가 됨.
1554~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청묘(淸廟) - 효목후(孝穆后)
중국 후한(後漢) 때의 추존 왕비. 환제(桓帝)의 조모(祖母)이며 하간효왕(河間孝王)의 아내로, 환제 즉위 후 효목후(孝穆后)로 추존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청묘거사(淸妙居士) - 차천로(車天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평해 군수(平海郡守)를 지낸 차식(車軾)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한시(漢詩)에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최립(崔岦)의 문장과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이라 불림.
1556~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청문노포(靑門老圃)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청백(淸伯) - 공광(孔光)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문신ㆍ학자. 공자(孔子)의 14대손으로, 경학(經學)에 밝았음.
B.C.65~A.D.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