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청운군(靑雲君) - 심명세(沈命世)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 청운군(靑雲君)에 봉해졌으며,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호종함.
1587~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청원(淸原) - 정추(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낸 정포(鄭誧)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를 지냈고,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
1333~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청원(淸源)@송기 - 송기(宋圻)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의 손자이고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 송유의(宋惟毅)의 아들로, 순천 부사(順天府使)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1553~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청원(淸源)@최기 - 최기(崔沂)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해주 목사(海州牧使)를 지낼 때 박희일(朴希一) 등을 무고죄로 처형함으로써 이이첨(李爾瞻)의 미움을 받아 옥사(獄死)함. 뒤에 다시 대역죄로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인조(仁祖) 때 신원됨.
1553~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청원(淸源) - 김수준(金壽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에 급제했으며, 정사룡(鄭士龍)의 문집 《호음잡고(湖陰雜稿)》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청원(靑原) - 이간(李侃)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庶子)인 익양군(益陽君)의 손자이며, 황양정(荒壤正) 이수린(李壽麟)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청원군(淸原君)@한위 - 한위(韓偉)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영의정 한확(韓確)의 손자이며 덕종비(德宗妃) 소혜왕후(昭惠王后)의 조카로,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65~151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청원군(淸原君) - 정추(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낸 정포(鄭誧)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를 지냈고, 만년에 나라의 일이 권신들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한탄하다가 병사함.
1333~13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청원군(淸原君)@한서귀 - 한서귀(韓瑞龜)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한승순(韓承舜)의 아들.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협력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청원군(靑原君)@심대 - 심대(沈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호종하여 의주로 수행하였으며, 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가 되어 남하하다가 삭녕(朔寧)에서 왜적의 기습을 받아 전사함.
1546~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청원군(靑原君) - 심종(沈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좌의정을 지낸 심덕부(沈德符)의 아들. 태조(太祖)의 차녀 경선공주(慶善公主)의 남편. 제1차 왕자의 난 때 방간(芳幹)을 도와 난을 성공시킨 공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청원도정(靑原都正) - 이간(李侃)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庶子)인 익양군(益陽君)의 손자이며, 황양정(荒壤正) 이수린(李壽麟)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청원부마(淸原駙馬) - 한경록(韓景祿)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승권(韓承權)의 아들로, 중종의 둘째 딸인 의혜공주(懿惠公主)와 혼인하고, 청원위(淸原尉)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청원부수(靑原副守) - 이목(李霂)
조선 전기의 종친. 낙안군(樂安君) 이녕(李寧)의 아들로, 청원정(靑原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 - 경복흥(慶復興)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을 숙청하여 1등 공신에 책록되고, 홍건적을 물리친 공으로 진충동덕협보공신(盡忠同德協輔功臣)의 호를 받음. 신돈(辛旽)을 제거하려다 유배되었으나, 신돈이 주살된 후 다시 좌시중(左侍中)이 됨.
?~1380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청원부원군(靑原府院君) - 심대(沈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호종하여 의주로 수행하였으며, 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가 되어 남하하다가 삭녕(朔寧)에서 왜적의 기습을 받아 전사함.
1546~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청원위(淸原尉) - 한경록(韓景祿)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승권(韓承權)의 아들로, 중종의 둘째 딸인 의혜공주(懿惠公主)와 혼인하고, 청원위(淸原尉)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청원위(淸源尉) - 한경록(韓景祿)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청주(淸州). 한승권(韓承權)의 아들로, 중종의 둘째 딸인 의혜공주(懿惠公主)와 혼인하고, 청원위(淸原尉)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왕실>인척
-
청원정(靑原正) - 이목(李霂)
조선 전기의 종친. 낙안군(樂安君) 이녕(李寧)의 아들로, 청원정(靑原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청원한씨(淸原韓氏) - 청주한씨(淸州韓氏)
기자(箕子)의 후예인 우량(友諒)의 원손(遠孫)으로, 고려 때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臣)에 녹훈된 한난(韓蘭)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집단>성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