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청주(菁州) - 진주(晉州)
경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명승지로 촉석루(矗石樓)ㆍ서장대(西將臺) 등이 있음.
경상도>진주 , 지명>행정지명
-
청주(靑州)@청주종사 - 청주종사(靑州從事)
중국 청주(靑州)에 제군(齊郡)이 있는데, 제(齊)는 제(臍)와 통용되어, 좋은 술은 배꼽[臍] 아래에까지 이른다는 뜻.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환온(桓溫)에게 술맛을 잘 아는 주부(主簿)가 있었는데, 그가 좋은 술을 청주종사(靑州從事)라 부른 데서 유래한 말로, 좋은 술을 의미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청주(靑州) - 개령(開寧)
경상북도 김천시(金泉市) 및 구미시(龜尾市) 일부 지역의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고을 이름.
경상도>개령 , 지명>행정지명
-
청주국(靑州麴) - 청주종사(靑州從事)
중국 청주(靑州)에 제군(齊郡)이 있는데, 제(齊)는 제(臍)와 통용되어, 좋은 술은 배꼽[臍] 아래에까지 이른다는 뜻.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환온(桓溫)에게 술맛을 잘 아는 주부(主簿)가 있었는데, 그가 좋은 술을 청주종사(靑州從事)라 부른 데서 유래한 말로, 좋은 술을 의미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청주군(淸州君)@송유충 - 송유충(宋有忠)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서원군(西原君) 송훤(宋暄)의 아버지로,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청주군(淸州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청주군(淸州君) - 양기(楊起)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귀화인. 본래 원(元) 나라의 대부로 도첨의시중(都僉議侍中)을 지냈고,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를 따라 고려에 왔다가 귀화함. 청주양씨(淸州楊氏)의 시조.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청주군(淸州君)@송유충 - 송유충(宋有忠)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서원군(西原君) 송훤(宋暄)의 아버지로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청주군(淸州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청주군(菁州君) - 하을지(河乙沚)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개경(開京)을 수복하여 일등공신(一等功臣)이 되었으나, 이후 여러 차례 왜구(倭寇)를 제대로 방어하지 못하여 문책을 당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청죽(聽竹) - 성람(成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를 지낸 성세평(成世平)의 아들로,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 성리학(性理學)과 의학에 밝았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는 조익(趙翊)ㆍ정경세(鄭經世)ㆍ이준(李埈) 등과 교유함.
1556~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청중(淸仲)@허항 - 허항(許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나, 김안로(金安老)의 일당으로 옥사를 함부로 일으키고 무고한 사림을 죽이는 등 악행을 저질렀으므로, 김안로ㆍ채무택(蔡無擇) 등과 함께 ‘정유삼흉(丁酉三兇)’으로 불림.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청중(淸仲) - 신석간(申石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문충공(文忠公) 신숙주(申叔舟)의 현손(玄孫)으로, 부사(府使)를 지낸 신연(申淵)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청지(淸之)@안평대군 - 안평대군(安平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셋째 아들. 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세력에 맞서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역모 혐의로 유배된 후 사사됨.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렸고, 당대 제일의 명필(名筆)로 꼽힘.
1418~145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왕자
-
청지(淸之)@유청지 - 유청지(劉淸之)
중국 송(宋)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예양현위(澧陽縣尉)ㆍ통판(通判) 등을 역임하였고, 주희(朱熹)와 더불어 《소학(小學)》을 편찬함.
1134~119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청지(淸之) - 이식(李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승상(李承常)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동서분당(東西分黨)이 일어나자 정희적(鄭熙績) 등과 함께 서인(西人)의 등용을 막으려다 체직됨.
1510~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청진거사(清眞居士) - 주방언(周邦彥)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문인. 북송 말기의 대표적 사인(詞人)으로, 사대사인(四大詞人)의 한 사람. 음률(音律)에 정통하여 많은 사(詞) 작품을 남기고, 대성부 제거(大晟府提舉) 등을 지냄.
1056~112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청진국사(淸眞國事) - 몽여(夢如)
고려 고종(高宗) 때의 승려. 수선사(修禪社) 제3세(世) 국사로, 혜심(慧諶)을 스승으로 삼고, 혼원(混元)과 천영(天英)을 제자로 둠. 선풍(禪風)을 진작시키고 이규보(李奎報)와 교류함.
?~125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종교인>승려
-
청창(晴窓)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청천(晴川) - 양호(楊鎬)
중국 명(明) 나라 말기의 무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경략조선군무사(經略朝鮮軍務使)가 되어 참전했다가 울산(蔚山) 도산성(島山城) 싸움에서 대패하여 파면됨.
?~162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청천(聽天) - 심수경(沈守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팔도의 관찰사(觀察使)를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우의정에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삼도 체찰사(三道體察使)가 되어 의병을 모집함.
1516~159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청천(菁川)@진주 - 진주(晉州)
경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명승지로 촉석루(矗石樓)ㆍ서장대(西將臺) 등이 있음.
경상도>진주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