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청향당(淸香堂)@이원 - 이원(李源)@1501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조식(曺植)ㆍ이황(李滉)과 교유하면서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아니하고 평생을 학문연구에 바침.
1501~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
-
청향당(淸香堂) - 윤회(尹淮)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소종(尹紹宗)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내고, 왕명으로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ㆍ《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를 편찬함.
1380~14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청허(淸虛) - 휴정(休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일선(一禪)에게 구족계를 받고 영관(靈觀)의 법을 계승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승병(僧兵) 을 모아 명(明) 나라 군대와 합세하여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움.
1520~160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안주 , 인명>종교인>승려
-
청허당(淸虛堂)@휴정 - 휴정(休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일선(一禪)에게 구족계를 받고 영관(靈觀)의 법을 계승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승병(僧兵) 을 모아 명(明) 나라 군대와 합세하여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움.
1520~160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안주 , 인명>종교인>승려
-
청허당(淸虛堂) - 이거이(李居易)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 개국 후 정사공신(定社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아들 이저(李佇)와 이백강(李伯剛)이 각각 태조(太祖)와 태종의 부마가 되었음.
1348~141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청허자(淸虛子)@채수 - 채수(蔡壽)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어 인천군(仁川君)에 봉해지고, 패관소설인 《설공찬전(薛公贊傳)》을 지음.
1449~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청허자(淸虛子) - 이거이(李居易)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 개국 후 정사공신(定社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아들 이저(李佇)와 이백강(李伯剛)이 각각 태조(太祖)와 태종의 부마가 되었음.
1348~141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청헌(淸獻)@최여지 - 최여지(崔與之)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참지정사(參知政事)ㆍ우승상(右丞相)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고, 관문전 태학사(關文殿太學士)로 치사(致仕)함. 저서에는 《국파집(菊坡集)》이 있음.
1158~123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청헌(淸獻)@조변 - 조변(趙抃)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촉(蜀)의 수령으로 있으면서 청렴하여 모범을 보이고, 후에 태자소보(太子少保) 등을 지냈으며, 저서에 《청헌집(淸獻集)》이 있음.
1008~108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청헌(淸獻) - 두범(杜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직언(直言)을 잘 하였음.
?~124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청헌(淸獻)@백휘 - 백휘(白揮)
고려 목종(穆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무신. 목종 때 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으로 수원군(水原君)에 봉해지고, 문종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청헌(聽軒) - 이경일(李敬一)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경주(慶州). 진사(進士) 이종열(李宗悅)의 아들로, 도사(都事) 이종악(李宗岳)에게 출계함. 좌의정 등을 지내고, 저서에 《청헌유고(聽軒遺稿)》가 있음.
1734~18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청헌퇴사(聽軒退士) - 이경일(李敬一)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경주(慶州). 진사(進士) 이종열(李宗悅)의 아들로, 도사(都事) 이종악(李宗岳)에게 출계함. 좌의정 등을 지내고, 저서에 《청헌유고(聽軒遺稿)》가 있음.
1734~18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청혜(淸惠) - 경구주(耿九疇)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영종(英宗) 때의 문신. 진사(進士)에 급제하여 남경(南京) 형부 상서(刑部尙書)를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청호(淸湖) - 성중엄(成重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명현(名賢)들의 무고한 화를 변호하다가 인산(麟山)으로 유배되었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원배(遠配)된 뒤 능지처참(陵遲處斬)을 당함.
1474~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청호(靑湖) - 이일상(李一相)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정귀(李廷龜)의 손자이며 이명한(李明漢)의 아들.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고, 효종(孝宗)의 북벌계획 수립에 송시열(宋時烈) 등과 도움을 주었으며,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ㆍ《효종실록(孝宗實錄)》을 편찬함.
1612~1666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청호원(靑湖院) - 청호서원(靑湖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대구(大邱)에 창건한 서원. 손조서(孫肇瑞)ㆍ손처눌(孫處訥)ㆍ유시번(柳時蕃)ㆍ정호인(鄭好仁)을 배향하였음.
168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서원,향교
-
청홍(淸洪)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청홍도(淸洪道) - 충청도(忠淸道)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 지명. 삼한시대에는 마한(馬韓)에 속하였고,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중심 지역이었으며, 백제가 망한 뒤에는 당(唐) 나라의 관할 하에 있다가 신라에 귀속됨.
충청도 , 지명>행정지명
-
청화(淸化) - 포천(抱川)
경기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강원도 철원(鐵原)을 접하고 있음.
경기도>포천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