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총릉(聰陵) - 충정왕(忠定王)
고려 제30대 왕. 재위 1349~1351년. 충혜왕(忠惠王)의 서자(庶子)로, 어머니는 희비윤씨(禧妃尹氏). 12세의 나이로 즉위하였으나 어려서 국정을 감당할 수 없다는 이유로 숙부인 왕기(王祺)가 왕위에 오른 후 강화(江華)로 추방당하여 독살됨.
1337~135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총선사(聰禪師) - 무문(無聞)
고려 후기의 승려.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ㆍ정총(鄭摠) 등과 교유하여 《목은고(牧隱藁)》ㆍ《도은집(陶隱集)》ㆍ《복재집(復齋集)》에 관련 시가 실려 있음.
130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종교인>승려
-
총선자(聰禪者) - 명암(明菴)
고려 후기의 승려. 고려 말 조선 초의 은사(隱士)인 원천석(元天錫)과 교유하여,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원천석이 쓴 서권(書卷)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총어(叢語) - 용재총화(慵齋叢話)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의 잡록류(雜錄類)에 속하는 수필집(隨筆集). 조선시대 수필문학(隨筆文學)의 백미(白眉)로 일컬어짐. 3권 3책,
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총지(總持) - 강총(江摠)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문신ㆍ문인. 양(梁)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진 나라 후주(後主) 때 상서령(尙書令)이 되었으며, 뒤에 수(隋) 나라에서 상개부(上開府)를 지냄. 문장에 능하고 특히 시에 뛰어났음.
519~5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총지(聰智) - 설총(薛聰)
통일신라 신문왕(神文王)~경덕왕(景德王) 때의 학자. 원효대사(元曉大師)의 아들. 신라십현(新羅十賢)의 한 사람이며, 강수(强首)ㆍ최치원(崔致遠)과 함께 신라삼문장(新羅三文章)의 한 사람으로 꼽힘. 이두(吏讀)를 집대성했으며, 〈화왕계(花王戒)〉를 지음.
655~?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학자
-
총화(叢話) - 용재총화(慵齋叢話)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의 잡록류(雜錄類)에 속하는 수필집(隨筆集). 조선시대 수필문학(隨筆文學)의 백미(白眉)로 일컬어짐. 3권 3책,
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총후(寵厚) - 진총후(陳寵厚)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무신. 여양진씨(驪陽陳氏)의 시조로, 매호(梅湖) 진화(陳澕)의 증조부. 대장군(大將軍)으로서 이자겸(李資謙)의 난을 토평하는 데 공을 세움.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무신
-
촬요서(撮要書) - 촬요신서(撮要新書)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흥생(朴興生)의 저서. 2권 2책. 목활자본. 도덕성정(道德性情)과 예악형정(禮樂刑政)에 관해 서술함.
1894 한국>근대 , 서울 , 문헌>서명
-
최가운(崔嘉運) - 최경창(崔慶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문장과 학문에 뛰어나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리고 당시(唐詩)에도 능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도 불림. 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39~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간이(崔簡易) - 최립(崔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ㆍ문신. 진사(進士) 최자양(崔自陽)의 아들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문장에도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차천로(車天輅)의 시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통천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감파(崔紺坡) - 최유해(崔有海)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1624년(인조 2) 안변 부사(安邊府使) 시절 명(明) 나라의 모문룡(毛文龍)에게 군량을 공급함.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선정을 베풀어 곳곳에 송덕비(頌德碑)가 세워지고, 의약ㆍ복서ㆍ천문에 밝음.
1587~164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최견숙(崔見叔) - 최응룡(崔應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최이한(崔以漢)의 아들로, 박영(朴英)ㆍ이황(李滉)에게 수학하고,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514~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최경상(崔慶翔) - 최시형(崔時亨)
조선 철종(哲宗)~근대의 종교인. 본관은 경주(慶州). 동학(東學)의 제2대 교조(敎祖)로 《동경대전(東經大全)》등을 간행하여 교리를 확립하고 교단의 조직을 강화함. 교조 신원운동(敎祖伸寃運動)을 주도하고, 1894년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을 이끌다가 체포되어 처형당함.
1827~1898 한국>근대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동학교인
-
최고운(崔孤雲) - 최치원(崔致遠)
통일신라 경문왕(景文王)~효공왕(孝恭王) 때의 문신ㆍ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12세에 입당(入唐)하여 빈공과(賓貢科)에 장원급제하고, 고변(高騈)의 종사관 등을 지내면서 문명(文名)을 떨침. 귀국하여 아찬(阿飡)) 등을 지내다가 은거함.
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최고죽(崔孤竹) - 최경창(崔慶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문장과 학문에 뛰어나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불리고 당시(唐詩)에도 능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도 불림. 종성 부사(鍾城府使) 등을 지냄.
1539~158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최금남(崔錦南) - 최부(崔溥)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진사(進士) 최택(崔澤)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죽임을 당함. 저서에 《금남표해록(錦南漂海錄)》이 있음.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최기(㝡基) - 유최기(兪㝡基)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정미환국 때 소론의 거두 이광좌(李光佐)의 횡포를 반박하고, 신임사화로 죽은 노론의 거두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의 신원(伸寃)과 소론의 음모사실을 논박함.
1689~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최당(崔璫)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최동고(崔東皐) - 최립(崔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ㆍ문신. 진사(進士) 최자양(崔自陽)의 아들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문장에도 뛰어나 한호(韓濩)의 글씨, 차천로(車天輅)의 시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통천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