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추계(秋溪) - 남진(南振)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일찍이 학문(學問)에 뜻을 두어 독학(篤學)하여 도학(道學)에 능했으며, 후진 양성에 힘썼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추계(秋溪)@이희민 - 이희민(李希閔)@이윤검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이조 정랑(吏曹正郞)으로 있을 때 기묘사화(己卯士禍)를 당해 파직되었음.
1498~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추교음마도(秋郊飮馬圖) - 추교음마도권(秋郊飮馬圖卷)
중국 원(元) 나라의 문인이자 서화가인 조맹부(趙孟頫)의 말 그림이 그려진 두루마리 작품. 가을 들판에 한 관원이 말에게 물을 먹이는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열 필(匹)의 말이 생동감 있게 표현됨.
1312 중국>원 , 중국 , 문헌>작품명
-
추국(鄒國)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추국공(鄒國公)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추국서(鄒國書) - 맹자(孟子)@문헌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孟子)가 저술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왕도정치(王道政治)ㆍ성선설(性善說)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사서(四書)의 하나로, 7편으로 구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추궁(秋宮) - 장추궁(長秋宮)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비(妃)인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가 거처한 궁. 일반적으로 황후의 궁전이나 황후 자신을 가리키는 말로 쓰임.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ㅣ유적>건물>궁궐
-
추담(秋潭) - 오달제(吳達濟)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삼학사(三學士) 중의 한 사람으로, 병자호란 때 청(淸) 나라와의 화의(和議)를 반대하다가 윤집(尹集)ㆍ홍익한(洪翼漢) 등과 함께 중국 심양(瀋陽)에 끌려가 처형당함.
1609~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추대부(郰大夫) - 숙량흘(叔梁紇)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안징재(顔徵在)와 야합(野合)하여 유학(儒學)의 개조(開祖)인 공자(孔子)를 낳음. 계성사(啓聖祠)에서 제향함.
?~B.C.54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추대왕(皺大王) - 혜종(惠宗)
고려 제2대 왕. 재위 943~945. 태조(太祖)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장화왕후(莊和王后). 지용(智勇)이 뛰어나 후백제(後百濟)를 칠 때 큰 공을 세웠으나, 즉위 후에는 왕권이 미약하여 왕규(王規)에게 암살 위협을 당하기도 함.
914~94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추대현(鄒大賢)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추랑(秋娘) - 두추랑(杜秋娘)
중국 당(唐) 헌종(憲宗)의 후궁. 〈금루의곡(金縷衣曲)〉을 잘 불렀으며, 목종(穆宗)이 즉위하자, 황자(皇子) 장왕(漳王)의 보모(保姆)가 되었다가 늙어서 고향에 돌아옴, 두목(杜牧)이 〈두추랑시(杜秋娘詩)〉를 지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추로(鄒老)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추로대유(鄒魯大儒) - 위현(韋賢)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위현성(韋玄成)의 아버지로, 부자(父子)가 모두 경학(經學)에 밝아 명성을 떨침. 곽광(霍光)과 함께 선제를 옹립하고, 후에 승상(丞相) 등을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추마(騅馬) - 오추마(烏騅馬)
중국 진(秦) 나라 말기의 무장(武將)인 항우(項羽)가 타던 애마(愛馬) 이름. 적토마(赤兎馬)와 함께 준마(駿馬)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며, 시(詩)의 소재로도 자주 쓰임.
중국>진 , 중국 , 자연물>동물
-
추만(秋巒) - 정지운(鄭之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로, 정인필(鄭寅弼)의 아들. 김정국(金正國)ㆍ김안국(金安國)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기지학(修己之學)을 실천하며 《천명도설(天命圖說)》 등을 저술함.
1509~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추만거사(秋巒居士) - 정지운(鄭之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로, 정인필(鄭寅弼)의 아들. 김정국(金正國)ㆍ김안국(金安國)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기지학(修己之學)을 실천하며 《천명도설(天命圖說)》 등을 저술함.
1509~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추만자(秋巒子) - 정지운(鄭之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로, 정인필(鄭寅弼)의 아들. 김정국(金正國)ㆍ김안국(金安國)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기지학(修己之學)을 실천하며 《천명도설(天命圖說)》 등을 저술함.
1509~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추만처사(秋巒處士) - 정지운(鄭之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로, 정인필(鄭寅弼)의 아들. 김정국(金正國)ㆍ김안국(金安國)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기지학(修己之學)을 실천하며 《천명도설(天命圖說)》 등을 저술함.
1509~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추맹(鄒孟)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