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추모(鄒母) - 맹모(孟母)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추(鄒) 나라의 학자인 맹자(孟子)의 어머니. 맹자에 대한 헌신적인 교육으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추모(鄒牟)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추몽(皺蒙)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추봉(秋峯) - 윤이지(尹履之)
조선 선조(宣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영의정(領議政) 윤방(尹昉)의 아들. 1616년(광해군 8)에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ㆍ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지냄.
1579~16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추부자(鄒夫子)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추사(秋史) - 김정희(金正喜)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서화가(書畫家).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참판(兵曹參判)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추사체(秋史體)를 대성한 명필로 예서(隸書)ㆍ행서(行書)에 능하며, 그림과 금석학(金石學) 등에도 조예가 깊음.
1786~18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예산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추사(鄒師)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추산(楸山) - 김추산(金楸山)
조선 전기의 유학. 정극인(丁克仁)의 《불우헌집(不憂軒集)》에 〈기김화헌(寄金花軒)〉이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추상인(椎上人) - 수은(袖隱)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추서(鄒書) - 맹자(孟子)@문헌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孟子)가 저술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왕도정치(王道政治)ㆍ성선설(性善說)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사서(四書)의 하나로, 7편으로 구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추석(騶奭) - 추석(鄒奭)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음양가(陰陽家). 추연(鄒衍)의 학술을 배웠는데, 추연의 글을 수식한 것이 용의 문채를 아로새긴 것 같다고 하여 ‘조룡석(雕龍奭)’이라 일컬어짐.
B.C.305?~B.C.24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추설(鄒說) - 맹자(孟子)@문헌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孟子)가 저술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왕도정치(王道政治)ㆍ성선설(性善說)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사서(四書)의 하나로, 7편으로 구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추성(楸城)@경원 - 경원(慶源)
함경도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발해가 멸망한 뒤 여진(女眞)이 거주하였는데 고려 예종(睿宗) 때 윤관(尹瓘)이 이들을 몰아내고 성을 쌓아 공험진내 방어소(公險鎭內防禦所)를 만듦.
함경도>경원 , 지명>행정지명
-
추성(楸城) - 담양(潭陽)
전라남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에는 담양 봉산면(鳳山面)과 무정면(武貞面) 이북 지역에 해당하였음.
전라도>담양 , 지명>행정지명
-
추성(秋城) - 담양(潭陽)
전라남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에는 담양 봉산면(鳳山面)과 무정면(武貞面) 이북 지역에 해당하였음.
전라도>담양 , 지명>행정지명
-
추성(秋成) - 담양(潭陽)
전라남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에는 담양 봉산면(鳳山面)과 무정면(武貞面) 이북 지역에 해당하였음.
전라도>담양 , 지명>행정지명
-
추성(鄒聖)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추수(鄒叟)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추씨(鄒氏)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추아성(鄒亞聖)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