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추포선생집(秋浦先生集) - 추포집(秋浦集)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황신(黃愼)의 시문집. 2권 2책. 목판본. 저자의 손자인 황윤(黃玧) 등이 유고(遺稿)를 수집하여 편찬하고, 외증손인 이사명(李師命)이 1684년(숙종 10)에 초간(初刊)함.
168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추허록(推許錄) - 사우추허록(師友推許錄)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송기수(宋麒壽)의 《추파집(秋坡集)》에 실려 있는 부록(附錄). 여러 책 가운데에서 송기수와 관계된 기사를 뽑아 모음.
1753 한국>조선후기 , 문헌>작품명
-
추현(鄒賢) - 맹자(孟子)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 인의설(仁義說)ㆍ성선설(性善說)ㆍ왕도정치론(王道政治論)을 역설하였으며, 유교를 도덕학(道德學)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政治論)으로서 정비함.
B.C.371?~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추화(推火) - 밀양(密陽)
경상남도 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부산과 대구의 중간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
경상도>밀양 , 지명>행정지명
-
축(蓄) - 이축(李蓄)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광주 목사(光州牧使) 이숙야(李叔野)의 아들로,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고양(高陽)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마침.
1402~147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축(軸)@이축 - 이축(李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안악 군수(安岳郡守) 시절 한준(韓準)ㆍ박충간(朴忠侃)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이 되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38~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축(軸)@안축 - 안축(安軸)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원(元) 나라의 제과(制科)에 급제하고 성균학정(成均學正)ㆍ판정치도감사(判整治都監事) 등을 지냄. 충렬왕(忠烈王)ㆍ충선왕(忠宣王)ㆍ충숙왕(忠肅王)의 실록 편찬에 참여함.
1287~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축(軸) - 금축(琴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지낸 금휘(琴徽)의 손자. 1531년(중종 26)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1540년(중종 35) 권벌(權橃)에 의해 일사(逸士)로 천거되어 제릉 참봉(齊陵參奉)에 임명됨.
1496~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축(軸)@기축 - 기축(奇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판중추부사(判中樞府使) 기건(奇虔)의 아들로, 풍저창 부사(豐儲倉副使)를 지냈으며, 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축건태자(竺乾太子)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충효(忠孝)@조현명 - 조현명(趙顯命)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도사(都事) 조인수(趙仁壽)의 아들.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공을 세워 분무공신(奮武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에 이름. 소론(少論)에 속하면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을 지지함.
1691~17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효(忠孝) - 위척(韋陟)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문사(文辭)에 능해 순공(郇公)에 봉해짐. 오채전(五采牋)에 서찰(書札)을 쓸 때, 시첩(侍妾)에게 대신 쓰게 하고 자신은 서명(署名)만 한 데서 오운체(五雲體)가 유래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충효(忠孝)@윤환 - 윤환(尹桓)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을 시종한 공으로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역임함.
?~138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충효(忠孝)@전충효 - 전충효(全忠孝)
조선 후기의 서화가.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인 조속(趙涑)의 제자로, 스승의 사의적(寫意的)인 수묵화조화풍(水墨花鳥畵風)을 따른〈수작도(水鵲圖)〉등이 전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충훈부(忠勳府) - 공신도감(功臣都監)
조선시대 공신 책록을 위하여 그 업적 등을 조사하던 임시관서. 1392년(태조 1)에 설치하여 개국공신(開國功臣)에 대한 위차(位次)를 정하여 포상하고, 1434년(세종 16)부터 충훈사(忠勳司)라 개칭하였다가, 다시 1454년(단종 2) 충훈부(忠勳府)로 승격시켜 공신에 관한 모든 업무를 관할하게 함.
1392 한국>조선전기 , 법제>관청
-
충훈사(忠勳司) - 공신도감(功臣都監)
조선시대 공신 책록을 위하여 그 업적 등을 조사하던 임시관서. 1392년(태조 1)에 설치하여 개국공신(開國功臣)에 대한 위차(位次)를 정하여 포상하고, 1434년(세종 16)부터 충훈사(忠勳司)라 개칭하였다가, 다시 1454년(단종 2) 충훈부(忠勳府)로 승격시켜 공신에 관한 모든 업무를 관할하게 함.
1392 한국>조선전기 , 법제>관청
-
충희(忠僖) - 이인손(李仁孫)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세종(世宗) 때 천추사(千秋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세조의 즉위와 함께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우의정 등을 지냄.
1395~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희(忠僖)@영산군 - 영산군(寧山君)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열세 번째 아들. 어머니는 숙용심씨(淑容沈氏). 정막개(鄭莫介)가 반역을 고발한 박영문(朴永文)ㆍ신윤무(辛允武) 등의 옥사에 관련되어 귀양 갔다가 이홍간(李弘榦)의 아룀으로 인하여 석방됨.
1490~153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췌세(贅世)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췌세옹(贅世翁)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