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취암(醉菴) - 이흡(李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정사공신(靖社功臣) 이의배(李義培)의 아버지로, 사헌부 헌납(司憲府獻納) 등을 지냄. 1589년(선조 22) 기축옥사(己丑獄死) 때 최영경(崔永慶)을 국문하다 옥사하게 한 일로 파직ㆍ유배됨. 후에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고 아흥군(鵝興君)에 봉해짐.
1549~160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취암(鷲巖) - 유성춘(柳成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좌되어 파직됨. 윤구(尹衢)ㆍ최산두(崔山斗) 등과 시주(詩酒)로 교우하며 호남삼걸(湖南三傑)로 불림.
1495~15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취영(就盈) - 김지(金漬)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치화(金致和)의 아들로, 1456년(세조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임천 군수(林川郡守)을 지냄. 시를 잘 짓고 음율(音律)에도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취옹(醉翁)@구양수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취옹(醉翁)@이욱 - 이욱(李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선전관(宣傳官) 이의로(李義老)의 아들로, 1599년(선조 3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강원 감사(江原監司) 등을 지냄.
156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취옹(醉翁)@조속 - 조속(趙涑)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조수륜(趙守倫)의 아들. 시ㆍ서ㆍ화 삼절(詩書畵三絶)로 일컬어지고, 영모(翎毛)ㆍ매죽(梅竹)ㆍ산수(山水)에 능했음.
1595~166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
-
취옹(醉翁) - 김윤덕(金潤德)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성 소윤(開城少尹)과 창녕 감무(昌寧監務)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
-
취옹(醉翁)@민여임 - 민여임(閔汝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명(明) 나라 장수의 접반관(接伴官)을 지냄.
1559~162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취옹(醉翁)@권절 - 권절(權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ㆍ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 등을 지냄. 세조(世祖)가 계유정난(癸酉靖難)에 동참할 것을 권했으나 귀머거리로 가장하여 응하지 않고, 이후 일생동안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1422~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취옹(鷲翁) - 신돈(辛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僧侶).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師傅)로서 국정을 맡음.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
?~13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종교인>승려
-
취우정(聚友亭) - 안관(安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순흥(順興). 갑자사화(甲子士禍)ㆍ을묘사화(乙卯士禍)를 목격한 뒤 여항산(艅航山)에 은거하여 산수를 읊으며 세간의 일에 전혀 관여하지 않음.
1491~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취유(醉劉) - 유령(劉伶)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술을 좋아하여 항상 술을 지니고 다녔으며, 〈주덕송(酒德頌)〉을 지어 술을 예찬함. 세속을 초월한 애주가(愛酒家)의 전형으로 일컬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취은(醉隱) - 송세림(宋世琳)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연손(宋演孫)의 아들로, 교리(校理) 등을 지냄. 그림과 글씨에 모두 뛰어났으며, 저서로 《어면순(禦眠楯)》이 있음.
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취음선생(醉吟先生)@피일휴 - 피일휴(皮一休)
중국 당(唐) 나라 의종(懿宗) 때의 문신ㆍ문인.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하다가 벼슬하여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내고, 황소(黃巢)의 난에 참가하여 난리 속에서 죽음. 육귀몽(陸龜蒙)과 시를 창화(唱和)함.
834?~88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취음선생(醉吟先生) - 백거이(白居易)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시인. 일생 동안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 그중 〈장한가(長恨歌)〉와 〈비파행(琵琶行)〉이 유명함. 만년에는 시와 술과 거문고를 벗삼아 유유자적하며 불교(佛敎)에 심취함.
772~84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취정(就精) - 김취정(金就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광필(金匡弼)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취정(翠亭) - 권경유(權景裕)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史草)에 실은 것이 문제가 되어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취죽(醉竹) - 강극성(姜克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좌찬성 강희맹(姜希孟)의 현손(玄孫). 군자감 정(軍資監正)ㆍ제용감 정(濟用監正) 등을 지냄.
152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취죽헌(翠竹軒) - 박백응(朴伯凝)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안(務安). 박사길(朴士吉)의 아버지로, 진원 현감(珍原縣監)을 지냄. 해촌사(海村祠)에 배향됨.
1525~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취추(醉醜) - 조속(趙涑)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조수륜(趙守倫)의 아들. 시ㆍ서ㆍ화 삼절(詩書畵三絶)로 일컬어지고, 영모(翎毛)ㆍ매죽(梅竹)ㆍ산수(山水)에 능했음.
1595~166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