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취헌(翠軒)@유백증 - 유백증(兪伯曾)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공신. 유대일(兪大逸)의 아들로,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됨. 할아버지 유홍(兪泓)의 시문집인 《송당집(松塘集)》을 편집ㆍ간행함.
1587~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취헌(翠軒) - 김뉴(金紐)@1420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중엄(金仲淹)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했으며, 시(詩)ㆍ서(書)ㆍ금(琴)에 모두 뛰어났음.
14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취헌(翠軒)@박은 - 박은(朴誾)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됨. 시문(詩文)에 능하여 해동(海東)의 강서파(江西派)로 일컬어짐.
147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취화암(醉花菴) - 왕사기(王士騏)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세정(王世貞)의 아들로, 이부 원외랑(吏部員外郞) 등을 지내고, 《제갈량집(諸葛亮集)》ㆍ《무후전서(武侯全書)》등을 편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취흘(醉吃) - 유숙(柳潚)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예조 참의ㆍ대사간ㆍ부제학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계부(季父) 유몽인(柳夢寅)의 죄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고산(高山)의 삼현영당(三賢影堂)에 제향됨.
1564~16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관인>문신
-
측천황후(則天皇后) -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ㆍ황제. 재위 684~705.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고종 사후에 국호를 ‘주(周)’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
625~7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ㅣ인명>왕실>국왕
-
측천후(則天后) -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ㆍ황제. 재위 684~705.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고종 사후에 국호를 ‘주(周)’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
625~7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ㅣ인명>왕실>국왕
-
치(䎩) - 박치(朴䎩)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금천군(錦川君) 박강(朴薑)의 아들이자 원종공신(原從功臣) 박기(朴基)의 아버지로, 군기시 정(軍器寺正) 등을 지냄.
1440~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치(寘)@이치 - 이치(李寘)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보(眞寶). 온계(溫溪) 이해(李瀣)의 넷째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조카로,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유학
-
치(寘) - 심치(沈寘)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좌명공신(佐命功臣) 심귀령(沈龜齡)의 아들이자 와서 별좌(瓦署別坐) 심견(沈肩)의 아버지로, 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사후 풍산군(豊山君)에 봉(封)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치(治)@홍치 - 홍치(洪治)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좌의정(左議政) 홍달손(洪達孫)의 아버지로,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유학
-
치(治) - 양치(梁治)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세종(世宗) 때의 종친인 이리(李利)의 사위로, 삭녕 군수(朔寧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치(穉) - 이치(李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지번(李之蕃)ㆍ이지함(李之菡)의 아버지.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진도(珍島)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풀려나 판관(判官) 등을 지내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치(緇) - 박치(朴緇)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춘천(春川). 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인 이식(李埴)의 장인으로, 별시위 사정(別侍衛司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춘천 , 인명>관인>무신
-
치(緻) - 김치(金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부사(府使) 김시회(金時晦)의 아들로, 상락군(上洛君) 김시민(金時敏)에게 출계함. 인조반정 후 한때 대북(大北)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등을 지냄.
1577~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치(菑) - 이치(李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인로(李仁老)의 아들로, 판교(判校)를 지냄. 동생 이여(李畬)와 함께 진천(鎭川)에 거주하면서 풍속 교화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치(袳) - 익녕군(益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여덟째 서자. 절제사(節制使) 박종지(朴從智)의 딸인 운봉 박씨(雲峯朴氏)와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치(觶) - 황치(黃觶)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평해(平海). 황준량(黃俊良)ㆍ황수량(黃秀良) 형제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문사>유학
-
치(錙) - 김치(金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흡곡 현령(歙谷縣令)을 지낸 김숙춘(金叔春)의 아버지로, 현령(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치(齒) - 이도(李棹)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개국공신. 전의이씨(全義李氏)의 시조. 태조가 견훤(甄萱)을 정벌하기 위해 남하(南下)했을 때 홍수로 범람한 금강(錦江)의 도강책(渡江策)을 주도한 공로로 공신에 책록되고 전산후(全山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충청도>전의ㅣ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