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치암(恥庵) - 박충좌(朴忠佐)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우탁(禹倬)에게 주자학을 배웠으며, 판전민도감사(判田民都監事)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1287~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치암(恥菴) - 이지렴(李之濂)
조선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풍(咸豊). 김집(金集)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고 시와 글씨에 능하였으며, 흡곡 현령(歙谷縣令) 등을 지냄.
1628~16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치암(癡菴) - 이정귀(李廷龜)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 이계(李𡹘)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명(明) 나라에 원병을 청하고, 대제학(大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신흠(申欽)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4대 문장가로 불림.
1564~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치앙(穉仰) - 이상두(李相斗)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대제학(大提學) 이돈우(李敦宇)의 생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저서로 《사례계의(四禮稽疑)》ㆍ《거가십요(居家十要)》ㆍ《교아십요(敎兒十要)》등이 있음.
1769~184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치양(致陽) - 김치양(金致陽)
고려 성종(成宗)~목종(穆宗) 때의 외척ㆍ권신. 경종(景宗)의 비 헌애왕후(獻哀王后)와 사통하여 목종 즉위후 권력을 휘두르고 역모를 꾀하다가, 강조(康兆)에게 살해됨.
?~1009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서흥 , 인명>왕실>인척
-
치언(巵言) - 예원치언(藝苑巵言)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왕세정(王世貞)이 찬술한 시문평론서(詩文評論書). 고대부터 명대(明代)까지의 시문(詩文)ㆍ시문평(詩文評) 등을 수록하고 자신의 의견을 붙임.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치오(穉五) - 김상정(金相定)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군수 김영택(金令澤)의 아들. 승지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정조가 즉위하자 정조와 사이가 나빴던 홍인한(洪麟漢)과 가까웠던 이유로 파직됨. 저서로 《석당유고(石堂遺稿)》가 있음.
1722~178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치옹(恥翁) - 박충좌(朴忠佐)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우탁(禹倬)에게 주자학을 배웠으며, 판전민도감사(判田民都監事)ㆍ판삼사사(判三司事)를 역임함.
1287~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치요(致堯) - 곽치요(郭致堯)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미(海美). 곽기수(郭期壽)의 아들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해미 , 인명>관인>문신
-
치우(癡牛) - 견우(牽牛)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남자 주인공. 견우성(牽牛星)을 의인화한 것으로, 매년 칠월 칠석(七夕)에 은하수를 건너 직녀와 만난다고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치우(致虞) - 조치우(曺致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군수(郡守) 조말손(曺末孫)의 아들로,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청렴하고 효행이 뛰어나 왕으로부터 《소학(小學)》과 옥비(玉碑)를 하사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치욱(致勖) - 남치욱(南致勖)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의 5대조로, 1528년(중종 23)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한 뒤 철원 부사(鐵原府使) 등을 지냄.
1494~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치운(致運) - 김치운(金致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김인령(金引齡)의 아버지로,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치운(致雲)@최치운 - 최치운(崔致雲)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술을 지나치게 좋아하여 왕이 친서(親書)로 절제하게 하자, 그 글을 벽에 걸어 놓고 출입할 때마다 바라보았다고 함.
1390~144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치운(致雲) - 김치운(金致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김선(金鏇)의 아들로, 수찬(修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치원(致元)@변치원 - 변치원(卞致元)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초계(草溪). 유학 변옥성(卞玉成)의 아버지로 부사용(副司勇)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무신
-
치원(致元)@한치원 - 한치원(韓致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내섬시 첨정(內贍寺僉正)을 지낸 한운(韓運)의 아버지로, 군자감 첨정(軍資監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치원(致元) - 남치원(南致元)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의령(宜寧). 성종(成宗)의 넷째 딸 경순옹주(慶順翁主)를 맞아들여 의성위(宜城尉)에 봉해졌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
-
치원(致遠)@신일 - 신일(辛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덕원 교수(德源敎授)를 지낸 신국균(辛國鈞)의 아들로, 대구 부사(大邱府使)ㆍ선산 부사(善山府使)ㆍ제용감 정(濟用監正)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치원(致遠)@권제 - 권제(權濟)
조선 전기의 유학. 어려서부터 사부(詞賦)를 잘 짓는다고 이름이 났지만 계속 과거에 실패한 뒤 쌍계사(雙磎寺)에서 학문을 닦고, 하수일(河受一)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