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치정(治正) - 탁평(卓平)
조선 전기의 진사. 남평 현감(南平縣監)을 지낸 탁희립(卓希立)의 둘째 아들로, 성균 진사(成均進士)를 지냈으며, 후사가 없어 형 탁중(卓中)의 둘째 아들인 탁련(卓璉)을 입양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치정(致精)@김치정 - 김치정(金致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김종혁(金從革)의 아들이고, 삼척 도호부사(三陟都護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버지이며,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의 조부. 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치정(致精) - 오치정(吳致精)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오윤지(吳允祉)의 아버지로, 전생서 봉사(典牲署奉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치정재추소(致政宰樞所)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치중(致中) - 유면지(劉勉之)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헌(胡憲)ㆍ유자휘(劉子翬)와 깊이 교유함. 주희(朱熹)의 아버지 주송(朱松)의 친우로, 주희가 사부(師父)로 섬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치천(淄川) - 양하(楊何)
중국 한(漢) 무제(武帝) 때의 학자. 왕동(王同)으로부터 《주역(周易)》을 배워 통달하였으며, 중대부(中大夫)를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치천(癡川) - 이지렴(李之濂)
조선 현종(玄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풍(咸豊). 김집(金集)ㆍ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학문이 뛰어나고 시와 글씨에 능하였으며, 흡곡 현령(歙谷縣令) 등을 지냄.
1628~16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치천(稚川)@윤방 - 윤방(尹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에서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이르는 혼란기 속에서 정사를 잘 보살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치천(稚川)@김수홍 - 김수홍(金粹洪)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천(順天). 선공감 정(繕工監正)을 지낸 김약균(金若鈞)의 아들로, 1480년(성종 1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치천(稚川) - 김홍(金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세진(金世震)의 아들로, 1531년(중종 26)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치천(稚川)@갈홍 - 갈홍(葛洪)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ㆍ도사. 정은(鄭隱)에게 선도(仙道)를 배움. 관내후(關內侯) 등의 관직을 지내다가 물러나 나부산(羅浮山)에 들어가 저술과 연단(煉丹)에 전념함. 저서에 《포박자(抱朴子)》ㆍ《신선전(神仙傳)》이 있음.
283~34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치천상공(稚川相公) - 윤방(尹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에서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이르는 혼란기 속에서 정사를 잘 보살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치천선생유고(稚川先生遺稿) - 치천유고(稚川遺稿)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치천(稚川) 윤방(尹昉)의 시문집. 목판본. 1737년(영조 13) 간행됨.
173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치천집(稚川集) - 치천유고(稚川遺稿)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치천(稚川) 윤방(尹昉)의 시문집. 목판본. 1737년(영조 13) 간행됨.
173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치청(稚淸) - 김진하(金鎭河)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창(咸昌). 김기중(金基中)의 아들로, 삼사(三司)의 청직(淸職)을 두루 거치고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786~18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치평장(治平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치헌(恥軒) - 유세훈(柳世勛)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문화(文化).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신천서원(新川書院)ㆍ이양서원(伊陽書院)에 배향됨.
1564~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
-
치헌(癡軒) - 권경유(權景裕)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史草)에 실은 것이 문제가 되어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사형당함.
?~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치형(致亨)@남치형 - 남치형(南致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양(英陽)으로, 공보(公輔) 남신신(南藎臣)의 아들.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동생 남치리(南致利)와 함께 평생 강학(講學)에 힘씀.
1540~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치형(致亨) - 한치형(韓致亨)
조선 문종(文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성종(成宗)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고모가 명(明) 나라 성조(成祖)의 여비(麗妃)가 되면서 대중국 외교에서 활동하였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부관참시당함.
1434~150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