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치홍(致洪) - 구치홍(具致洪)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능성(綾城)으로, 영의정 구치관(具致寬)의 동생.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우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무신
-
치화(致和) - 정치화(鄭致和)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효종(孝宗)의 부마인 정재륜(鄭載崙)의 아버지. 세자시강원보덕(世子侍講院輔德)으로 심양(瀋陽)에서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보필함. 좌의정(左議政)을 지내고, 서인과 남인의 대결에서 중도를 지킴.
1609~167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치화(致和)@김치화 - 김치화(金致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연안(延安). 임천 군수(林川郡守)를 역임한 문신 김지(金漬)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유학
-
치회(稚晦) - 조현명(趙顯命)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도사(都事) 조인수(趙仁壽)의 아들.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공을 세워 분무공신(奮武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에 이름. 소론(少論)에 속하면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을 지지함.
1691~17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칙(則) - 이칙(李則)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손자로, 성종 때 임사홍(任士洪)의 등용을 반대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38~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칙사(勅使) - 통신사(通信使)
고려 말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일본 막부(幕府)의 장군에게 파견한 공식적인 외교 사절.
1375?~1876 한국>조선시대ㅣ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칙암(則庵) - 노진(盧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지낸 노관(盧祼)의 형. 기대승(奇大升)ㆍ노수신(盧守愼)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1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칙우(則優) - 성호선(成好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창산군(昌山君) 성수익(成壽益)의 아들. 1589년(선조 22)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충주 목사(忠州牧使) 등을 지냄.
155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칙평(則平) - 조보(趙普)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태조(太祖)의 총애를 받았고 내외의 치정(治政)에 수완을 발휘함으로써 번진(藩鎭) 해체와 금군(禁軍)의 강화 등 중앙집권화를 추진하는 등 송조(宋朝)의 지배체제를 확립함.
922~99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친(𡩁) - 이친(李𡩁)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차남으로,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이희(李暿)의 딸과 혼인함.
1413~14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친친재(親親齋) - 선거이(宣居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도사(都事)를 지낸 선상(宣祥)의 아들로, 이순신(李舜臣)과 녹둔도(鹿屯島)에서 여진족(女眞族)을 막아 공을 세웠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도 이순신과 함께 해전(海戰)에서 큰 공을 세움.
1550~15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칠강옹(漆江翁) - 김언거(金彦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김정(金禎)의 아들로,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우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칠계(漆溪) - 김언거(金彦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김정(金禎)의 아들로,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우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칠계군(漆溪君) - 윤탁연(尹卓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윤이(尹伊)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 때 공을 세워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시문에 능하여 이산해(李山海) 등과 함께 ‘팔문장(八文章)’으로 일컬어짐.
1538~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칠권서(七卷書) - 맹자(孟子)@문헌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孟子)가 저술한 유교 경전(儒敎經典). 왕도정치(王道政治)ㆍ성선설(性善說)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사서(四書)의 하나로, 7편으로 구성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칠도인(漆道人) - 도안(道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반야학(般若學) 본무종(本無宗)의 대표적 인물.
312~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칠리(漆吏)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칠리뢰(七里瀨) - 엄릉뢰(嚴陵瀨)
중국 절강성(浙江省)에 있는 여울. 후한(後漢)의 엄광(嚴光)이 은거하여 농사를 지으면서 낚시질하던 곳.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칠림선생(漆林先生) - 윤수(尹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효조(尹孝祖)의 아들이며, 윤희성(尹希聖)의 생부(生父). 기묘명현(己卯名賢) 중 한 사람으로, 당대에 명성이 높았으나 시대가 불운하여 벼슬하지 않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칠백의사총(七百義士塚) - 칠백의총(七百義塚)
조선의 임진왜란 때 전라도 금산(錦山) 전투에서 왜군과 싸우다 순절한 칠백 의사의 무덤. 1592년(선조 25) 조헌(趙憲)의 문인인 박정량(朴廷亮) 등이 의병과 승병의 시신을 수습하여 조성하였으며, 현재 충청남도 금산군(錦山郡)에 있음.
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산 , 유적>시설>능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