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칠송(七松) - 백양신(白良臣)
고려 후기의 무신. 백문보(白文寶)의 조부. 직산백씨(稷山白氏) 시조로, 평장사(平章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무신
-
칠송거사(七松居士) - 이령(李領)
조선 전기의 처사(處士). 과거(科擧)에 실패한 뒤 전국을 돌며 산수(山水)를 유람하고 고승(高僧)을 찾아다니다 청주(淸州)의 파관산(葩串山)에 거주함.
151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칠송당(七松堂) - 권동보(權東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과 관련해 아버지 권벌(權橃)이 귀양가 죽자,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함.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칠송정(七松亭) - 권동보(權東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과 관련해 아버지 권벌(權橃)이 귀양가 죽자,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함.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칠송처사(七松處士)@권동보 - 권동보(權東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과 관련해 아버지 권벌(權橃)이 귀양가 죽자,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함.
1517~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칠송처사(七松處士) - 정훈(鄭薰)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자기 집에 소나무 일곱 그루를 심고서 칠송처사(七松處士)라 자호(自號)하였고, 벼슬은 태자소사(太子少師) 등을 역임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칠수(漆叟)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칠수(漆水) - 김언거(金彦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김정(金禎)의 아들로, 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우함.
1503~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칠신(七臣) - 유교칠신(遺敎七臣)
조선 선조(宣祖)의 유언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보호를 부탁받은 7명의 신하. 유영경(柳永慶)ㆍ한응인(韓應寅)ㆍ박동량(朴東亮)ㆍ서성(徐渻)ㆍ신흠(申欽)ㆍ허성(許筬)ㆍ한준겸(韓浚謙)을 가리킴.
한국>조선후기 , 인명>집단>기타집단
-
칠옹(漆翁)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칠원(漆園)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칠원군(漆原君)@윤환 - 윤환(尹桓)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을 시종한 공으로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역임함.
?~138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칠원군(漆原君) - 윤자당(尹子當)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무신. 병조 전서(兵曹典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칠원리(漆園吏)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칠원백(漆原伯) - 윤환(尹桓)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을 시종한 공으로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역임함.
?~138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칠원부원군(漆原府院君)@윤환 - 윤환(尹桓)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칠원(漆原). 조적(曺頔)의 난 때 충혜왕을 시종한 공으로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역임함.
?~138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칠원부원군(漆原府院君) - 윤자당(尹子當)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무신. 병조 전서(兵曹典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칠원부원군(漆園府院君) - 윤자당(尹子當)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무신. 병조 전서(兵曹典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칠원선(漆園仙)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칠원선생(漆園先生) - 윤수상(尹守常)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와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냈으며, 민사평(閔思平)의 《급암시집(及菴詩集)》에 그를 축하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