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침(沉) - 경침(慶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낸 경세청(慶世淸)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485~152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침(琛)@허침 - 허침(許琛)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재직할 때 덕행과 학문으로 세자이던 연산군의 총애를 받았고, 성종(成宗) 때 윤비(尹妃)의 폐위를 반대하여 갑자사화(甲子士禍)에 화를 면했으며, 좌의정 등을 역임함.
1444~150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침(琛) - 유침(庾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외척ㆍ무신. 명제(明帝)의 비인 명목유황후(明穆庾皇后)의 아버지로, 건위장군(建威將軍) 등을 역임하고 황후의 아버지로서 좌장군(左將軍)에 추증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침(琛)@곽침 - 곽침(郭琛)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판개성부사(判開城府使)를 지낸 곽영준(郭迎俊)의 아들이며 곽추(郭樞)의 아버지로 상서좌승(尙書左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침(琛)@조침 - 조침(趙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중종의 부마인 순원위(淳原尉) 조의정(趙義貞)의 아버지로,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침(琛)@이침 - 밀성군(密城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다섯 번째 서자. 신빈김씨(愼嬪金氏)의 소생으로, 총명과 지혜가 뛰어나 세종의 남다른 사랑을 받았으며, 익대공신(翊戴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 에 책록됨.
1430~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침(琛)@안침 - 안침(安琛)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순흥(順興).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문장과 송설체(松雪體)에 능함.
1445~151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침(沈) - 한침(韓沈)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서청군(西淸君) 한삼덕(韓參德)의 둘째 아들로, 찰방(察訪) 한부(韓溥)의 동생이며 공조 정랑(工曹正郞) 한연(韓淵)의 형. 찰방(察訪)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침구갑을경(針灸甲乙經) - 황제삼부침구갑을경(黃帝三部針灸甲乙經)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황보밀(皇甫謐)이 지은 침구서. 가장 오래된 침구 전문서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침류당(枕流堂) - 이사준(李師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여주(驪州). 의금부 경력(義禁府經歷) 등을 지내고, 정수강(丁壽崗)ㆍ김준손(金俊孫) 등과 시와 술을 즐기며 절친하게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무신
-
칩암거사(蟄菴居士)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칭(稱) - 여칭(呂稱)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고려 말에 전라도 안렴사(全羅道按廉使)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에는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ㆍ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등을 지냄.
1351~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칭도(稱道) - 민칭도(閔稱道)
고려 전기의 문신. 중국 농서현에서 계출된 성씨로 공자(孔子) 제자인 민손(閔損)의 후손이며, 사신으로 왔다가 귀화함. 여흥에 정착하여 민씨의 시조(始祖)가 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쾌헌(快軒) - 김태현(金台鉉)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수(金須)의 아들. 《동국문감(東國文鑑)》을 편찬함.
1261~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쾌혜주인(快兮主人) - 윤우형(尹友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칠원(漆原)으로, 1507년(중종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김안국(金安國)이 그의 쾌혜정(快兮亭)을 소재로 쓴 시가 《모재집(慕齋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타괴(打乖) - 윤인서(尹仁恕)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 여러 관직을 지냈으나, 권간(權奸)에 아부하고 공명(功名)을 탐하여 누차 탄핵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타락산(駝駱山) - 낙산(駱山)
서울을 중심으로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산 이름. 주산(主山)의 좌청룡에 해당하며, 산 모습이 낙타처럼 생겼다 하여 낙타산(駱駝山) 또는 타락산(駝駱山)이라고도 부름.
서울 , 지명>자연지명
-
타뢰(拖雷) - 예종(睿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 칭기즈칸의 넷째 아들. 칭기즈칸을 따라 동정서벌(東征西伐)에 참가하였고, 경양황제(景襄皇帝)로 추존됨.
?~1233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타아(陁阿)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타촌(沱村) - 사포선(史褒善)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감찰어사(監察御使)ㆍ대리시경(大理寺卿) 등을 지내고, 왜구(倭寇)가 창궐할 때 성을 쌓아 방비를 튼튼히 함.
1499~156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