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탄(坦)@김탄 - 김탄(金坦)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정주 목사(定州牧使)를 지낸 김부인(金富仁)의 아들. 구봉령(具鳳齡)이 지은 만사(輓詞)가 《백담집(栢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탄(坦) - 이탄(李坦)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증손이며, 취성군(鷲城君) 이경(李熲)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탄(坦)@윤탄 - 윤탄(尹坦)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윤삼산(尹三山)의 아들이며, 성종(成宗)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숙부로, 중종 즉위 후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탄복랑(坦腹郞) - 왕희지(王羲之)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서예가ㆍ문신. 동진 왕조 건설에 공적이 컸던 왕도(王導)의 조카로, 중국 고금(古今)의 첫째가는 서성(書聖)으로 존경받고 있음.
307~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탄부(坦夫)@여이간 - 여이간(呂夷簡)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오랜 기간 재상(宰相)으로서 국정을 좌우하였으나 범중엄(范仲淹)ㆍ왕증(王曾) 등과 대립하다가 인종의 개혁 의지로 파면됨.
979~104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탄부(坦夫)@전탄부 - 전탄부(全坦夫)
고려 후기의 문신. 벼슬이 중군 녹사(中軍錄事)에 이름. 원수(元帥) 막부(幕府)의 보좌관이 되어 국경을 침범한 거란족을 토벌하던 중 전사함. 사(詞)에 뛰어났으며 이규보(李奎報)가 애사(哀詞)를 지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탄부(坦夫)@박연 - 박연(朴堧)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음률가(音律家). 세종 때 율관(律管)을 만들어 편경(編磬)을 제작하는 등 조선 초기 음악 정비에 많은 공헌을 함. 왕산악(王山岳)ㆍ우륵(于勒)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악성(樂聖)으로 일컬어짐.
1378~14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탄부(坦夫) - 민사평(閔思平)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찬성사 민적(閔頔)의 아들이며, 정승 김륜(金倫)의 사위. 이제현(李齊賢)ㆍ정자후(鄭子厚) 등과 함께 문명(文名)이 높았으며, 《동문선(東文選)》에 그의 시 9수가 전함.
1295~13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탄수(灘叟)@원두표 - 원두표(元斗杓)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며, 같은 공서(功西)였던 김자점(金自點)과의 정권다툼으로 분당하여 원당(原黨)의 영수(領袖)가 됨.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593~166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탄수(灘叟) - 이연경(李延慶)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홍문관 교리(弘門館校理)로 재직할 때 조광조(趙光祖)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
148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탄수(灘叟)@김규 - 김규(金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선위사(宣慰使)로 동래(東萊)에 있을 때 윤원형(尹元衡) 등의 무고로 체포되어 경원(慶源)에 8년간 유배된 뒤 풀려나 경상도 암행어사(慶尙道暗行御史)를 지냄.
1522~156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탄연(坦然) - 권탄연(權坦然)
조선 전기의 유학. 물암(勿巖) 김륭(金隆)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탄옹(灘翁) - 원두표(元斗杓)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며, 같은 공서(功西)였던 김자점(金自點)과의 정권다툼으로 분당하여 원당(原黨)의 영수(領袖)가 됨.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593~166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탄옹(炭翁)@권시 - 권시(權諰)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낸 권득기(權得己)의 아들. 잠야(潛冶) 박지계(朴知誡)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과 같은 기호학파(畿湖學派)로서 예론(禮論)에 밝았음.
1604~167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탄옹(炭翁) - 권시(權偲)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무안 현감(務安縣監)을 지낸 권열(權挒)의 아버지. 1411년(태종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吏曹佐郞)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386~14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탄옹선생집(炭翁先生集) - 탄옹집(炭翁集)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시(權諰)의 시문집. 13권 7책. 목판본. 1738년(영조 14) 권시의 증손 권정징(權瀞徵)이 공주(公州)의 도산서원(道山書院)에서 간행함.
173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탄은(灘隱) - 이정(李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ㆍ화가. 세종(世宗)의 현손이자, 익주군(益州君) 이지(李枝)의 아들로, 석양군(石陽君)에 봉해짐. 시ㆍ서ㆍ화에 능하고, 특히 묵죽화(墨竹畫)에 뛰어나 명성을 떨침.
1541~162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탄지(坦之)@왕탄지 - 왕탄지(王坦之)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치초(郗超)와 더불어 환온(桓溫)의 막하(幕下)가 되었다가 효무제(孝武帝) 때 사안(謝安)과 함께 황제를 도와 정무(政務)를 주도하였으며, 중서령(中書令) 등을 역임함. 불교를 신봉하고 형명학(刑名學)을 숭상하였음.
330~37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탄지(坦之) - 왕순(王珣)@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 재학(才學)과 문장(文章)으로 효무제(孝武帝)의 총애를 받아 상서성(尙書省)의 고위직에 오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탄지(坦之)@윤항 - 윤항(尹衖)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해남(海南). 1534년(중종 2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임억령(林億齡)ㆍ노수신(盧守愼)ㆍ김인후(金麟厚)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