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태부왕(太傅王) - 헌강왕(憲康王)
신라 제49대 왕. 재위 875~886. 경문왕(景文王)의 아들로, 즉위 후 문치(文治)에 힘쓰고 불교(佛敎)를 숭상하여 표면적으로는 태평성대를 이루었으나, 이미 이때부터 신라는 쇠퇴기에 접어듦.
?~886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태비(苔扉) - 윤민헌(尹民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엄(尹儼)의 아들이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이괄(李适)의 난 때 공주(公州)로 왕을 호종하였으며, 공조 참의 등을 역임함. 경사(經史)와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와 그림에도 뛰어났음.
1562~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태사(太師) - 기자(箕子)
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箕子朝鮮)의 시조. 은(殷) 나라의 현인(賢人)으로, 주(周)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사(苔槎)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태사개국충렬공(太師開國忠烈公) - 홍유(洪儒)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ㆍ공신. 태조의 26번째 부인인 의성부원부인(義城府院夫人)의 아버지이며, 의성홍씨(義城洪氏)의 시조. 신숭겸(申崇謙)ㆍ복지겸(卜智謙)ㆍ배현경(裵玄慶) 등과 함께 궁예(弓裔)를 몰아내고 왕건(王建)을 왕으로 추대하여 고려의 개국공신이 됨.
?~9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태사공서(太史公書) - 사기(史記)
중국 전한(前漢)의 사마천(司馬遷)이 편찬한 중국 최초의 기전체(紀傳體) 통사(通史). 황제(黃帝) 때부터 전한의 무제(武帝) 천한 연간(天漢年間)까지 약 3000여 년의 역사를 서술.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태사묘(太師廟) - 기자묘(箕子廟)
전설상 기자조선(箕子朝鮮)의 시조(始祖)인 기자(箕子)를 제향하기 위해 평안남도 평양(平壤)에 세운 묘당(廟堂) 이름.
평안도>평양 , 유적>건물>사당
-
태사서(太史書) - 사기(史記)
중국 전한(前漢)의 사마천(司馬遷)이 편찬한 중국 최초의 기전체(紀傳體) 통사(通史). 황제(黃帝) 때부터 전한의 무제(武帝) 천한 연간(天漢年間)까지 약 3000여 년의 역사를 서술.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태사씨(太史氏) - 사마천(司馬遷)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학자. 흉노(匈奴)에 투항한 벗 이릉(李陵)을 변호하다 궁형(宮刑)에 처해졌으나 고난을 극복하고 아버지인 사마담(司馬談)의 뒤를 이어 《사기(史記)》를 완성함. 중서령(中書令)을 지냄.
B.C.145?~B.C.8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사씨(太師氏) - 권행(權幸)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공신. 안동 권씨(權氏)의 시조. 930년(태조 13)에 후백제군을 무찌르는 데 공을 세워 태조로부터 권씨(權氏) 성(姓)을 하사받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태산(太山) - 태인(泰仁)
전라북도 정읍(井邑)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전라도>태인 , 지명>행정지명
-
태산(泰山)@태인 - 태인(泰仁)
전라북도 정읍(井邑)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전라도>태인 , 지명>행정지명
-
태산사(泰山祠) - 무성서원(武城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전라도 태인(泰仁)에 건립한 서원. 1696년(숙종 22)에 사액(賜額)되었고, 최치원(崔致遠)ㆍ신잠(申潛)ㆍ정극인(丁克仁)ㆍ김약묵(金若默)ㆍ송세림(宋世琳)ㆍ정언충(鄭彦忠)ㆍ김관(金灌) 등이 배향됨.
161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태인 , 유적>건물>서원,향교
-
태상군(太上君) - 이이(李耳)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 도가(道家)의 창시자로, 무위자연설(無爲自然說)을 주창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태상왕(太上王) - 태조(太祖)@조선
조선 제1대 왕. 재위 1392~1398. 고려 말에 무장(武將)으로서 홍건적(紅巾賊)과 왜구(倭寇)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크게 활약했으며, 개혁파 사류(士類)와 함께 고려 왕조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후 초기 국가의 기틀을 다짐.
1335~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태상황정내경옥경(太上黃庭內景玉經) -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
도가(道家)의 양생법(養生法)을 기술한 책. 양구자(梁邱子)가 주석을 달았으며, 도가서(道家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 많이 읽힘.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태상황정외경옥경(太上黃庭外景玉經) - 황정외경경(黃庭外景經)
중국 위(魏)ㆍ진(晉) 시대에 성행한 도가(道家) 수련비결서. 《황정내경경(黃庭內景經)》의 바탕이 됨. 도가에서 중시한 서적으로, 양구자(粱邱子)와 무성자(務成子)의 주석이 유명함.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태선(苔仙)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태손(太孫) - 성제(成帝)@전한
중국 한(漢) 나라 제11대 황제. 재위 B.C.32~B.C.7. 원제(元帝)의 맏아들로, 즉위 후 주색(酒色)을 탐하고 가녀(歌女)인 조비연(趙飛燕)을 황후로 삼았으며, 외척들이 정권을 전횡하는 등 부패하였으므로 백성들의 반란을 초래함.
B.C.52~B.C.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수(台叟)@황기로 - 황기로(黃耆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명필. 본관은 덕산(德山).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 황계옥(黃季沃)의 아들. 글씨에 능했는데,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써서 ‘초성(草聖)’으로 불렸으며 《근묵(槿墨)》 등에 작품을 남김.
1521~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예술인>서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