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태수(台叟)@민여로 - 민여로(閔汝老)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민재문(閔在文)의 아들로, 1642년(인조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장령(掌令)ㆍ목사(牧使) 등을 지냄.
1598~167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태수(台叟)@송인수 - 송인수(宋麟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엄용공(嚴用恭)ㆍ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에게 추앙을 받았으나,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9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태수(台叟)@조부우 - 조부우(趙府隅)
조선 중종(中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영숭전 참봉(永崇殿參奉)을 지낸 조일건(趙一建)의 아들로 효성이 지극하고, 태천 현감(泰川縣監)으로 나가서는 많은 선정을 베풂. 교서관 별좌(校書館別坐) 등을 지냄.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태수(台叟) - 송기수(宋麒壽)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정미사화(丁未士禍)로 사사(賜死)된 송인수(宋麟壽)의 종제(從弟). 명종(明宗) 때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07~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태수(台叟)@김담수 - 김담수(金聃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이조 정랑(吏曹正郞) 김정룡(金廷龍)의 아버지.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했으나 건강으로 과거를 포기하고 경전공부에 정진함. 저서로 《서계일고(西溪逸稿)》가 있음.
1535~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
-
태수(台壽)@서태수 - 서태수(徐台壽)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문인으로,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증서대로(贈徐大老)〉라는 시가 《하서전집(河西全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태수(台壽) - 강태수(姜台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할아버지는 희맹(希孟)이고, 아버지는 장례원 사평(掌隸院司評) 학손(鶴孫)이며, 큰아버지 귀손(龜孫)에게 입양되었음.
1479~152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태수(太叟) - 이수동(李壽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제주 목사(濟州牧使) 때 감귤 밭을 지키는 방호소(防護所)를 증설하였으며, 개성 유수(開城留守) 때 정몽주(鄭夢周)의 충신비(忠臣碑)를 건립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태수(太綏) - 신홍조(愼弘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연산군 때 좌의정을 지낸 신수근(愼守勤)의 아들로, 삭녕(朔寧)과 양근(楊根)의 군수(郡守)를 역임함.
1490~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태수(苔叟) - 정약용(丁若鏞)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형원(柳馨遠)ㆍ이익(李瀷)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實學)을 집대성함. 주자(朱子) 성리학(性理學)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
1762~18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수(鮐叟)@황기로 - 황기로(黃耆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명필. 본관은 덕산(德山). 사옹원 참봉(司饔院參奉) 황계옥(黃季沃)의 아들. 글씨에 능했는데,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써서 ‘초성(草聖)’으로 불렸으며 《근묵(槿墨)》 등에 작품을 남김.
1521~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예술인>서화가
-
태수(鮐叟) - 임국로(任國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임명필(任明弼)의 손자이며 임몽정(任蒙正)의 아버지. 이조 참판(吏曹參判) 재임시 기축옥사(己丑獄死)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재기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37~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태숙(太叔)@공숙단 - 공숙단(共叔段)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 장공(莊公)의 동생. 어머니 무강(武姜)과 내통하여 반역을 꾀했으나, 장공이 이들의 계획을 알고 공숙단의 군대를 격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태숙(太叔) - 유길(游吉)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대부. 자산(子産)을 집정시켜 인정(仁政)을 베풀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태숙(泰叔) - 황열(黃悅)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병조 판서를 지낸 황정욱(黃廷彧)의 아버지.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용양위 호군(龍驤衛護軍)을 지냄.
150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태숙(泰叔)@기경례 - 기경례(奇敬禮)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행주(幸州).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기대정(奇大鼎)의 둘째 아들로, 1591년(선조 24) 식년시(式年試) 생원과(生員科)에 입격함.
15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태숙(泰叔)@황염 - 황염(黃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판결사(判決事)를 지낸 황윤준(黃允峻)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태순(太純) - 성세순(成世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충달(成忠達)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이 형벌을 남발하자 간관(諫官)으로서 과감하게 직언함. 성절사(聖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463~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태순(太純)@신언숙 - 신언숙(申彦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명종의 후궁인 숙의신씨(淑儀申氏)의 아버지로, 강서 현령(江西縣令) 등을 지냄.
1512~155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태술(太述) - 채승선(蔡承先)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강(平康). 대사헌(大司憲) 채침(蔡忱)의 아들. 이른 나이에 시험에서 여러 번 수석을 했지만 과거를 포기하고 시주(詩酒)로 여생을 즐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