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태초(太初)@유성원 - 유성원(柳誠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ㆍ춘추관 기주관(春秋館記注官) 등을 지냄.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성삼문(成三問) 등과 단종 복위를 모의하다 발각되자 성균관에서 자결함.
?~145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태초(太初)@원혼 - 원혼(元混)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유륜(元有綸)의 아들. 종종 때 사신이 되어 두 차례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선조 때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505~158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태초(太初) - 이항(李沆)@송
중국 송(宋) 진종(眞宗) 때의 문신.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견지명이 뛰어나 천재(天災) 등 세세한 일까지 모두 아뢰어 진종의 마음을 경계하였으므로, 당시에 ‘성상(聖相)’으로 일컬어짐.
947~100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태초(太初)@강항 - 강항(姜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으로 활약하다 일본에 잡혀간 뒤 성리학을 전파하여, 일본 주자학의 개조가 된 등원성와(藤原醒窩)에게 학문적 영향을 미침.
1567~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초(太初)@구한 - 구한(具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부마ㆍ문신. 중종의 딸 숙정옹주(淑靜翁主)와 결혼하여 능창위(綾昌尉)에 봉해졌으며, 명종의 즉위에 공을 세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책록됨.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를 지냄. 35세로 요절함.
1524~155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태초(太初)@왕초재 - 왕초재(汪楚材)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와 오경(吳儆) 등에게 배우면서 기대를 한몸에 받았으며, 석유(碩儒)로 명성을 떨침. 호남 안무사(湖南按撫司)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초(泰初) - 하후현(夏侯玄)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장수. 하후상(夏侯尙)의 아들이며, 조상(曹爽)의 외사촌 동생. 후에 진(晉) 나라 경제(景帝)로 추존된 사마사(司馬師)가 전횡하자, 이풍(李豐) 등과 제거할 것을 모의하다가 발각되어 죽음을 당함.
209~25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태초천자(太初天子)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태촌(泰村) - 고상안(高尙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개성(開城). 강제(姜霽)의 문인으로, 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으며, 이덕형(李德馨)ㆍ이순신(李舜臣) 등과의 서사 기록(書事記錄)을 남김. 저서로 《태촌집(泰村集)》 등이 있음.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촌거사(泰村居士) - 고상안(高尙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개성(開城). 강제(姜霽)의 문인으로, 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냈으며, 이덕형(李德馨)ㆍ이순신(李舜臣) 등과의 서사 기록(書事記錄)을 남김. 저서로 《태촌집(泰村集)》 등이 있음.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충(太冲) - 배학(裵鶴)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식(金湜)에게 수학하였으며,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영릉 참봉(英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학문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충(太冲)@좌사 - 좌사(左思)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 10년의 노력 끝에 위(魏)ㆍ촉(蜀)ㆍ오(吳) 세 나라의 도읍을 노래한 〈삼도부(三都賦)〉를 완성했는데 당시 문단의 영수였던 장화(張華)에게 절찬을 받아 유명해짐.
250?~3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태평(太平) - 의인(宜仁)
경상도 안동(安東) 일대에 있던 고려 말기의 옛 고을 이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안 , 지명>행정지명
-
태평기(太平記) - 태평광기(太平廣記)
중국 송(宋) 나라 때 이방(李昉) 등이 칙명(勅命)으로 편찬한 중국 역대 설화집(說話集). 500권. 한(漢) 나라에서 북송(北宋) 초기까지의 소설류를 담고 있음.
978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태평재상(太平宰相)@황희 - 황희(黃喜)
고려 우왕(禑王)~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18년간 영의정(領議政)으로 있으면서 농사의 개량, 예법의 개정, 서얼(庶孼)의 천역(賤役) 면제 등 많은 업적을 남겨 세종(世宗)에게 신임을 받고, 청렴하여 백성에게서도 존경을 받음.
1376~145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태평재상(太平宰相) - 이원(李原)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암(李嵒)의 손자이며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 때 협력하여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국기를 다지고 제도를 확립하는 데 공헌함.
1368~14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태평진일(太平眞逸) - 이심원(李深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의 무고로 유배생활을 했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태필(台弼) - 고태필(高台弼)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고득종(高得宗)의 아들.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예종실록(睿宗實錄)》의 수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태학(太學) - 성균관(成均館)
조선 태조(太祖) 7년에 인재양성을 위하여 서울 숭교방(崇敎坊)에 설치한 최고 교육기관. 문과(文科) 준비를 위한 유학 교육 전문기관으로,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중국 및 우리나라 역대 성현들의 위패를 모셔놓은 문묘(文廟)와 유학(儒學)을 강론하는 명륜당(明倫堂), 동서재(東西齋) 등으로 이루어짐.
1398 한국>조선시대 , 서울 , 법제>관청
-
태함(太函)@왕도곤 - 왕도곤(汪道昆)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의오 현령(義烏縣令) 때 척계광(戚繼光)과 병사를 모집하여 왜구(倭寇)를 격파하고, 병부시랑(兵部侍郞) 등을 지냄. 문장에 뛰어나 이반룡(李攀龍)ㆍ왕세정(王世貞) 등과 함께 학문을 연마함.
1525~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