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태화(太和) - 방유녕(方有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1489년(성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兵曹參判)ㆍ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 등을 지냄.
1460~152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태화(泰和) - 김낙춘(金樂春)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순천(順天). 이황(李滉)의 문인. 학행(學行)으로 익위사 세마(翊衛司洗馬)와 예조 좌랑(禮曹佐郞)에 천거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1525~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문경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태화봉(太華峯) - 화산(華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화음현(華陰縣)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 위치상 서악(西岳)에 해당하며, 높이는 2,437m. 중앙의 옥녀봉(玉女峰), 동쪽의 조양봉(朝陽峰), 서쪽의 연화봉(蓮花峰), 남쪽의 낙안봉(落雁峰), 북쪽의 오운봉(五雲峰) 등 다섯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멀리서 보면 연꽃 같아서 화산(華山)이라고 부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태화산(太華山) - 화산(華山)
중국 섬서성(陝西省) 화음현(華陰縣)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 위치상 서악(西岳)에 해당하며, 높이는 2,437m. 중앙의 옥녀봉(玉女峰), 동쪽의 조양봉(朝陽峰), 서쪽의 연화봉(蓮花峰), 남쪽의 낙안봉(落雁峰), 북쪽의 오운봉(五雲峰) 등 다섯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멀리서 보면 연꽃 같아서 화산(華山)이라고 부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태휘(太輝) - 허엽(許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허균(許筠)의 아버지로, 명종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원을 청하고 허자(許磁) 등의 무죄를 논하다가 파직됨. 선조 때 김효원(金孝元)과 함께 동인(東人)의 영수(領袖)가 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7~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택(澤)@최택 - 최택(崔澤)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탐진(耽津)으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최부(崔溥)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문사>유학
-
택(澤)@이교의아들 - 이택(李澤)@이교의아들
조선 성종(成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동지사(同知事)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해서(楷書)를 잘 썼으며, 사예(射藝)에도 뛰어남.
1509~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택(澤) - 여택(呂澤)
중국 한(漢) 고조(高祖)의 외척. 황후인 여후(呂后)의 오빠로 유방(劉邦)을 도와 많은 공을 세움.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택(澤)@윤택 - 윤택(尹澤)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1317년(충숙왕 4)에 등제하여 밀직제학ㆍ개성부윤 등을 지냄. 정직ㆍ검소하였으며, 공민왕에게 유학에 힘쓸 것을 권하고 치국의 길을 직언함. 저서로 《율정집(栗亭集)》이 있음.
1289~1307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택(澤)@유택 - 유택(柳澤)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명종 때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낸 유공권(柳公權)의 아들로, 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택(澤)@이복로의아버지 - 이택(李澤)@이복로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합천(陜川). 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이복로(李福老)의 아버지로, 낭천 현감(狼川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택가(擇可) - 이유근(李惟謹)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승의랑(承議郞) 이시(李偲)의 맏아들로, 1561년(명종 1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禮曹正郞)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택구거사(澤癯居士) - 이식(李植)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인조반정 후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당대의 이름난 학자로서, 문장이 뛰어나 신흠(申欽)ㆍ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와 함께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로 불림.
1584~1647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택당(澤堂) - 이식(李植)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인조반정 후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당대의 이름난 학자로서, 문장이 뛰어나 신흠(申欽)ㆍ이정귀(李廷龜)ㆍ장유(張維)와 함께 ‘한문사대가(漢文四大家)’로 불림.
1584~1647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기도>지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택당문집(澤堂文集) - 택당집(澤堂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식(李植)의 문집. 34권 16책. 목판본. 1674년(현종 15) 아들 이단하(李端夏)의 스승인 송시열(宋時烈)에 의해 전라도 남평(南平)에서 간행됨.
167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평 , 문헌>서명
-
택당선생집(澤堂先生集) - 택당집(澤堂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식(李植)의 문집. 34권 16책. 목판본. 1674년(현종 15) 아들 이단하(李端夏)의 스승인 송시열(宋時烈)에 의해 전라도 남평(南平)에서 간행됨.
167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평 , 문헌>서명
-
택뢰(澤雷) - 정택뢰(鄭澤雷)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ㆍ지사. 본관은 하동(河東).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모론을 반대한 이원익(李元翼)을 변호하다가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복위되어 순조(純祖) 때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고, 부여(扶餘)의 의열사(義烈祠)에 배향됨.
1585~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택룡(澤龍) - 김택룡(金澤龍)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조목(趙穆)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이황(李滉)의 문하생들과 교유함.
1547~162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택반(澤畔)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택반로(澤畔老)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