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파괴현(破恠峴) - 서읍령(西泣嶺)
경상도 영해(寧海)의 동쪽 40리 지점에 있는 고개 이름. 고을의 입구였으나 사신의 행차가 처음으로 고개를 넘을 때 흉사가 일어난다는 속설이 있자, 경상 감사(慶尙監事) 손순효(孫舜孝)가 그 괴이함을 깨뜨리고자 파괴현(破怪峴)이라고 고침.
경상도>영해 , 지명>자연지명
-
파교(灞橋) - 맹호연(孟浩然)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오언시(五言詩)를 잘하여 왕유(王維)와 비견됨.
689~74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파로(坡老)@송극창 - 송극창(宋克昌)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륜(宋倫)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송천희(宋千喜)의 아버지로, 1453년(단종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등을 지냄.
143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파로(坡老)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파로(波老) - 박개(朴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고산 현감(高山縣監)과 김제 군수(金堤郡守) 등을 역임하고 향리로 돌아가 여생을 마침.
1511~158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파로미(巴老彌) - 나주(羅州)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후백제(後百濟)를 세운 견훤(甄萱)의 본거지였고, 고려 때에는 거란(契丹)의 침입 당시 현종(顯宗)의 피난처였음.
전라도>나주 , 지명>행정지명
-
파루(巴樓) - 악양루(岳陽樓)
중국 호남성(湖南省) 악양(岳陽)의 서문(西門)에 있는 성루(城樓).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 세워졌으며, 동정호(洞庭湖)와 양자강(揚子江)을 전망하는 뛰어난 경관으로 인해 유명 문인(文人)들의 글 소재로 자주 등장함.
716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누정
-
파릉(巴陵) - 이상의(李尙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임진왜란 때 광해군(光海君)을 호위한 위성공신(衛聖功臣)으로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에 봉해짐. 인조반정으로 훈공이 삭탈되고 품계도 강등되어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로 좌천됨.
1560~162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파릉(巴陵)@악양 - 악양(岳陽)
중국 호남성(湖南省) 북쪽에 있는 항구 도시. 동정호(洞庭湖)와 장강(長江)이 교차하는 곳으로 중요한 역사․문화의 도시이며, 산수풍경이 뛰어나 많은 문인들이 이곳에서 시를 읊고 작품을 남김. 강남(江南)의 3대 누각 중 하나인 악양루(岳陽樓)가 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파릉(巴陵)@양천 - 양천(陽川)
경기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의 서울시 양천구(陽川區) 가양동(加陽洞) 일대를 말하며, 개화산(開花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었음.
경기도>양천 , 지명>행정지명
-
파릉군(巴陵君) - 이경(李璥)@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증손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무죄를 극력 간하여 남해(南海)로 유배되었다가 복직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파릉수(坡陵守) - 이응상(李應祥)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륜(李倫)의 아들로 파릉수(坡陵守)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파릉왕(巴陵王) - 이범(李範)
중국 당(唐) 나라 예종(睿宗)의 넷째 아들. 현종(玄宗)의 동생으로, 왕유(王維)와 같은 문인 아사(文人雅士)를 좋아하여 친교를 맺음. 현종 때 기주 자사(岐州刺史)ㆍ태자 태부(太子太傅) 등을 지냄.
?~72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왕자
-
파림군(坡林君) - 이주(李珘)
조선 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형인 월산대군(月山大君) 이정(李婷)의 손자이며, 계림군(桂林君) 이류(李瑠)와 전성부정(全城副正) 이리(李璃)의 형으로, 파림군(坡林君)에 봉해짐.
1500~154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파림령(坡林令) - 이흥윤(李興胤)
조선 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기성군(箕城君) 이현(李俔)의 장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파문(坡門)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파사왕(婆娑王) -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
신라 제5대 왕. 재위 80~112. 성은 박씨(朴氏)로,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의 둘째 아들. 음즙벌국(音汁伐國)ㆍ다벌국(多伐國) 등을 정벌하고, 월성(月城)을 쌓아 궁실을 옮기는 등 신라가 고대 국가로 발전하는 기초를 마련함.
?~112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파산(坡山)@파주 - 파주(坡州)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398년(태조 7) 서원(瑞原)ㆍ파평(坡平)을 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고, 1460년(세조 6)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
경기도>파주 , 지명>행정지명
-
파산(坡山) - 성혼(成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을 사숙하고 이이(李珥)와 도의지교를 맺음. 서인(西人) 집권 후 이조 참판 등을 지내고, 이이와 6년에 걸쳐 사칠이기설(四七理氣說)에 대해 논변함.
1535~159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파산(巴山) - 유중엄(柳仲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유공석(柳公奭)의 아들. 종질인 유성룡(柳成龍)ㆍ유운룡(柳雲龍)과 함께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동문수학함. 황준량(黃俊良)ㆍ오건(吳健) 등과 교유함.
1538~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