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충순(忠順)@박형근 - 박형근(朴亨根)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의 헌벽(軒壁)에 써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충순현(忠順縣) - 명학소(鳴鶴所)
충청남도 유성(儒城)에 있던 고려시대의 고을 이름. 1176년(명종 6)에 망이(亡伊)와 망소이(亡所伊)가 반란을 일으키자 충순현(忠順縣)으로 승격시켜 이를 무마하였는데, 다시 반란을 일으키자 현에서 강등시킴.
한국>고려시대 , 충청도>공주 , 지명>행정지명
-
충승(沖繩) - 유구(琉球)
대만과 일본 사이에 있는 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 1879년 일본이 점령하여 충승(沖繩 : 오키나와)으로 이름을 고침.
기타지역 , 시간>국명
-
충신(忠信) - 정충신(鄭忠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금성(錦城).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을 종군(從軍)하여 무명(武名)을 떨치고, 이괄(李适)의 난(亂)을 평정하여 진무공신(振武功臣)이 됨. 이항복(李恒福)이 북청(北靑)으로 유배되었을 때의 기록인 《북천일록(北遷日錄)》을 저술함.
1575~16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충신연군지사(忠臣戀君之詞) -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
임금을 그리워하는 신하의 정을 애절하게 읊은 내용의 시가(詩歌). 정서(鄭敍)의 〈정과정곡(鄭瓜亭曲)〉과 정철(鄭澈)의 〈사미인곡(思美人曲)〉ㆍ〈속미인곡(續美人曲)〉 등이 대표적임.
사상>술어>핵심어
-
충아(忠兒) - 구충윤(具忠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구봉령(具鳳齡)의 아들이며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별좌(別坐)를 지냄.
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충암(冲庵) - 김정(金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정치개혁에 힘썼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신사무옥(辛巳誣獄)으로 인해 사사(賜死)됨.
1486~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충암(冲菴)@고양겸 - 고양겸(顧養謙)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우첨도어사(右僉都御史)를 거쳐 병부 시랑(兵部侍郞)에 이르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과 화친을 해야겠다는 내용의 자문(咨文)을 보내왔음.
1537~160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충암(冲菴) - 권벌(權橃)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내고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올랐으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삭주(朔州)로 유배된 뒤 죽음.
1478~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봉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충암묘(冲菴廟) - 귤림서원(橘林書院)
조선시대 제주(濟州)에 건립한 서원. 선조(宣祖) 때 제주 판관 조인준(趙仁俊)이 김정(金淨)을 추모하여 충암묘(冲菴廟)를 건립하고, 숙종(肅宗) 때 귤림서원(橘林書院)으로 사액됨. 김정ㆍ정온(鄭蘊)ㆍ송시열(宋時烈) 등을 배향함.
15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충암선생집(冲庵先生集) - 충암집(冲庵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김정(金淨)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은 명종(明宗) 때 공주 목사(公州牧使) 허백기(許伯琦)가 공주(公州)에서 간행함.
155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충암유고(冲庵遺稿) - 충암집(冲庵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김정(金淨)의 시문집(詩文集). 초간본은 명종(明宗) 때 공주 목사(公州牧使) 허백기(許伯琦)가 공주(公州)에서 간행함.
155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충언(忠彦) - 백충언(白忠彦)
조선 후기의 무신ㆍ의병장. 임진왜란 때 영해(寧海)에서 의병을 모아 공을 세웠으며, 용양위 좌부장(龍驤衛左部將)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충연(忠淵) - 구충연(具忠淵)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구징(具徵)의 아들로 도사(都事)ㆍ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충용장(忠勇將) - 김덕령(金德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김붕섭(金鵬燮)의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門人).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권율(權慄)ㆍ곽재우(郭再祐) 장군과 협력하여 많은 공을 세웠으나, 이몽학(李夢鶴)의 난에 연루되어 옥사함.
1567~159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충원(忠元)@민충원 - 민충원(閔忠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1562년(명종 1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허봉(許篈)ㆍ최경창(崔慶昌) 등과 독서당(讀書堂)에 간택되었으며,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ㆍ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지냄.
154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충원(忠元)@정충원 - 정충원(鄭忠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를 지낸 정두형(鄭斗亨)의 아버지로, 순릉 참봉(純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충원(忠元)@김충원 - 김충원(金忠元)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언양(彦陽).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응회(金應會)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유학
-
충원(忠元) - 이주(李胄)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김종직(金宗直)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진도(珍島)로 유배되었으며,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굉필(金宏弼) 등과 함께 사사(賜死)됨.
1468~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충원(忠元)@이효문 - 이효문(李孝文)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때의 문신. 1495년(연산군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이행(李荇)과 함께 동방급제(同榜及第)하고,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