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덕전(文德殿) - 문정왕후(文定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지임(尹之任)의 딸.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明宗)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禪敎) 양종(兩宗)을 부활시키고, 도첩제(度牒制)를 다시 실시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문도(文度)@박지원 - 박지원(朴趾源)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 청(淸) 나라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북학파(北學派)의 영수로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실학을 강조했으며, 자유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여러 편의 한문소설(漢文小說)을 발표함.
1737~18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도(文度)@왕탄지 - 왕탄지(王坦之)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치초(郗超)와 더불어 환온(桓溫)의 막하(幕下)가 되었다가 효무제(孝武帝) 때 사안(謝安)과 함께 황제를 도와 정무(政務)를 주도하였으며, 중서령(中書令) 등을 역임함. 불교를 신봉하고 형명학(刑名學)을 숭상하였음.
330~37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도(文度)@최문도 - 최문도(崔文度)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최성지(崔誠之)의 아들. 원(元) 나라에 가서 숙위(宿衛)하였으며, 몽고의 말과 글에 능통하였고, 벼슬은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이르렀으며, 성리학에 밝았음.
1292~134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문도(文度)@박훈 - 박훈(朴薰)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박증영(朴增榮)의 아들이며 참판(參判) 이언명(李彦明)의 장인으로,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에 올라 ‘국기(國器)’라는 명성을 들음.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으로, 청주(淸州) 신항서원(莘巷書院)에 배향됨.
1484~15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도(文度)@민제 - 민제(閔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조선 태종의 장인. 고려 말에 여러 요직을 거치고 조선 개국 후 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ㆍ좌정승(左政丞)을 지냄.
1339~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문도(文度)@윤회 - 윤회(尹淮)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소종(尹紹宗)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내고, 왕명으로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ㆍ《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를 편찬함.
1380~14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문도(文度)@유천우 - 유천우(兪千遇)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무안유씨(務安兪氏)의 시조로, 지주사(知奏事)ㆍ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치와 뇌물로 인해 비난을 받았음.
1209~1276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문도(文度)@이거이 - 이거이(李居易)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조선 개국 후 정사공신(定社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아들 이저(李佇)와 이백강(李伯剛)이 각각 태조(太祖)와 태종의 부마가 되었음.
1348~141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문도(文度)@민변 - 민변(閔抃)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진현관 대제학(進賢館大提學)을 지낸 민적(閔頔)의 아들이며, 급암(及菴) 민사평(閔思平)의 동생.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문도(文度) - 김사창(金泗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김수손(金首孫)의 아들로,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참형(斬刑) 당한 이목(李穆)의 처형.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문도(文悼) - 김수령(金壽寧)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국조보감(國朝寶鑑)》ㆍ《동국통감(東國通鑑)》ㆍ《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경사(經史)에 밝고 문장이 뛰어났음.
1436~14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도처사(文悼處士) - 관술(管述)
조선 성종(成宗) 때 김일손(金馹孫)이 붓을 의인화하여 지은 〈관처사묘지명(管處士墓誌銘)〉의 주인공으로, 관미생(管尾生)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문두(文斗) - 성담수(成聃壽)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 때 아버지 성희(成熺)가 귀양갔다가 풀려나 세상을 떠나자, 벼슬을 단념하고 파주(坡州)에 은거하여 평생 단종을 추모하며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문량(文樑) - 이문량(李文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천(永川). 이현보(李賢輔)의 아들로, 음직(蔭職)으로 평릉도 찰방(平陵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이웃에 살던 이황(李滉)과 가깝게 지내며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함.
1498~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량(文良)@곽추 - 곽추(郭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상서좌승(尙書左丞)을 지낸 곽침(郭琛)의 아들로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냄.
133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문량(文良)@홍여방 - 홍여방(洪汝方)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길민(洪吉旼)의 아들.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43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문량(文良)@조간 - 조간(趙簡)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제(金堤). 관직은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했고 시문(詩文)이 뛰어나 《동문선(東文選)》ㆍ《풍암집화(風巖輯話)》 등에 시가 수록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문량(文良) - 김수온(金守溫)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신. 세종ㆍ세조(世祖) 때 편찬 및 국역 사업에 공헌하고, 특히 시문에 뛰어나 〈희청부(喜晴賦)〉는 명 나라에까지 알려짐.
1410~148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량(文良)@설장수 - 설장수(偰長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한 후 공양왕(恭讓王) 옹립에 공을 세움. 정몽주(鄭夢周)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조선 개국 후 복직되어 여러 차례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옴.
1341~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