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서(文瑞)@백현룡 - 백현룡(白見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이황(李滉)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적을 무찌름.
1543~16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문사>학자
-
문서(文瑞)@김번 - 김번(金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관서지방에 전염병이 만연하자, 둔전책(屯田策)을 건의하고 군졸의 잡다한 세를 없애주어 백성의 주거를 편안하게 하였음.
1479~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문서(文瑞) - 권성익(權聖翊)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중심으로 그 변화에 대한 의견을 밝힘.
1735~182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학자
-
문서감진색(文書監進色) -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
고려시대~조선 초기에 외교문서를 담당하던 기관. 고려시대 임시기구인 문서감진색(文書監進色)을 고친 이름이며, 조선 태종(太宗) 때 기구가 확장되고, 1410년(태종 10)에 승문원(承文院)으로 관제가 개편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청
-
문석(文錫) - 유문석(柳文錫)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지낸 유조인(柳祖訒)의 아들로, 1624년(인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158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선(文先) - 양표(楊彪)
중국 후한(後漢) 말의 문신. 양수(楊修)의 아버지로, 사도(司徒)ㆍ태위(太尉) 등을 지냄. 조조(曹操)의 미움을 받아 살해당할 뻔 했으나 공융(孔融)의 항의로 목숨을 건졌으며, 한 황실이 종말에 가까웠다는 것을 알고 병을 핑계로 은퇴함.
142~22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선(文宣)@공자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문선(文宣) - 소자량(蕭子良)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의 왕자ㆍ문인. 무제(武帝)의 둘째 아들로, 경릉군왕(竟陵郡王)에 봉해졌으며, 《사부요략(四部要略)》을 편찬함. 문인들을 모아놓고 시 짓기 놀이를 할 때 촛불 일촌(一寸)이 탈 동안 완성하기로 규정을 삼은 고사가 전해짐.
460~49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왕자
-
문선(文選)@동문선 - 동문선(東文選)
조선 성종(成宗) 때 서거정(徐居正) 등이 왕명을 받아 신라 때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시문(詩文)을 모아 엮은 시문집. 이후 숙종(肅宗) 때 당시까지의 시문을 추가하여 개편(改編)한 것까지 통틀어 이르기도 함.
14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문선왕(文宣王)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문선왕묘(文宣王廟) - 공자묘(孔子廟)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弟子) 및 여러 성현(聖賢)들의 신위를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 이름. 원래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에 있는 사당을 지칭하였으나, 당(唐) 나라 태종(太宗) 이후로 각 주현(州縣)에 설치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유적>건물>사당
-
문선왕묘(文宣王廟)@문묘 - 문묘(文廟)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사성(四聖) 이하 중국 역대의 대유(大儒)와, 신라 이후 조선의 명현을 모시는 사당. 통일신라 714년(성덕왕 13)에 공자 및 그 제자의 화상(畵像)을 국학(國學)에 모신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ㆍ조선에 들어서 그 제도와 운영이 더욱 정비됨.
714 한국>통일신라 , 유적>건물>사당
-
문성(文城) - 문화(文化)
황해도 삼천(三泉), 신천(信川) 서부, 안악(安岳) 남부 일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 단군(檀君)의 전설이 깃들어 있으며 구월산(九月山)이 있는 곳으로 유명함.
황해도>문화 , 지명>행정지명
-
문성(文城)@유계분 - 유계분(柳桂芬)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유승순(柳承順)의 아들이며, 유성원(柳誠源)의 조카. 이조 정랑을 지냈으며, 서거정(徐居正)과 교유함.
139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장말익 - 장말익(張末翼)
고려 정종(靖宗) 때의 문신. 호부 상서(戶部尙書)ㆍ삭방도 안렴사(朔方道按廉使) 등을 지내고, 문하시중 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증직됨. 울진부원군(蔚珍府院君)으로 봉해지고, 울진장씨(蔚珍張氏)의 시조(始祖)가 되어 월계서원(月溪書院)에 배향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울진 , 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정인지 - 정인지(鄭麟趾)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우(權遇)의 문인.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내면서 문한(文翰)을 관장하고, 천문ㆍ역법ㆍ아악을 정리하는 등 문풍 육성과 제도 정비에 기여함.
1396~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유보 - 유보(柳溥)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로 파직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호조(戶曹)와 공조(工曹)의 판서(判書)를 거쳐 우의정(右議政)을 역임함. 주계군(朱溪君) 이심원(李深源)의 사위.
?~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장작 - 장작(張鷟)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글이 청동전(靑銅錢)과 같다고 하여 청전학사(靑錢學士)라고 칭하였으며, 고공원외랑(考功員外郞) 등을 지냈음. 문장에 이름이 있어 신라ㆍ일본의 사신(使臣)들이 그의 문장을 구입해 갔다고 함.
660?~74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이이 - 이이(李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덕수(德水). 중앙관서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 동인(東人)과 서인(西人)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坡州)로 낙향함.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성(文成)@왕수인 - 왕수인(王守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ㆍ문신. 양명학(陽明學)의 창시자. 심성론(心性論)으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철학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침.
1472~152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