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숙(文肅)@채제공 - 채제공(蔡濟恭)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오광운(吳光運)ㆍ강박(姜樸)의 문인. 남인(南人) 중 청남(淸南) 계열의 지도자로서 사도세자(思悼世子)를 옹호하고 탕평책(蕩平策)을 추진하는 등 영조와 정조에게 깊은 신임을 받았으며, 영의정 등을 지냄.
1720~179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황간 - 황간(黃榦)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이자 사위. 지안경부(知安慶府) 등을 지냈으며 양담계(陽潭溪)에서 담계정사(潭溪精舍)를 세워 저술활동과 후진교육에 힘씀.
1152~122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정경세 - 정경세(鄭經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대제학(大提學)을 지냄.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음.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정엽 - 정엽(鄭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 황주 판관(黃州判官)으로서 왜군을 격퇴한 공으로 중화 부사(中和府使)가 됨. 대사성(大司成)으로서 타직(他職)을 겸하는 예가 정엽으로부터 비롯됨.
1563~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유작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이지강 - 이지강(李之剛)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집(李集)의 둘째 아들로, 이방원(李芳遠)의 측근이 되어 활약하고, 태종(太宗) 즉위 후 풍기 단속과 공신(功臣) 세력을 제거하는 데 앞장섬.
1363~142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임희재 - 임희재(任熙載)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를 일으킨 임사홍(任士洪)의 아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 때 죽음을 당함. 서예에 능했고 특히 송설체(松雪體)를 잘 썼음.
1472~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이보림 - 이보림(李寶林)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제현(李齊賢)의 손자로,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윤관 - 윤관(尹瓘)
고려 문종(文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무신. 별무반(別武班)을 창설하고 예종 때 구성(九城)을 쌓아 침범하는 여진(女眞)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111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김환 - 김환(金環)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김계흥(金季興)의 아버지로, 학성군(鶴城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왕석작 - 왕석작(王錫爵)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거쳐 재상을 지냈으며, 성품이 강직하여 조정의 의론과 어긋나는 경우가 많았음.
1534~161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김제갑 - 김제갑(金悌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영원산성(領原山城)에서 순절(殉節)함.
1525~15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안숭선 - 안숭선(安崇善)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흥녕부원군(興寧府院君) 안경공(安景恭)의 손자. 1420년(세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ㆍ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냄.
1392~1452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문숙(文肅)@장순손 - 장순손(張順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485년(성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권신 김안로(金安老)의 일파가 되어 벼슬했다는 비난을 받음.
1453~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문숙재(文叔栽) - 문익성(文益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에게 《대학(大學)》의 요지를 배우고, 나주 목사(羅州牧使)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26~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문숙재(文叔裁) - 문익성(文益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에게 《대학(大學)》의 요지를 배우고, 나주 목사(羅州牧使)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26~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문순(文純)@원부 - 원부(元傅)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충(元忠)의 할아버지. 충렬왕 때 유경(柳璥)ㆍ김구(金坵) 등과 함께 《고종실록(高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함. 《고금록(古今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첨의중찬(僉議中贊)에 오름.
1219~128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문순(文純) - 박세채(朴世采)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성리학자. 김상헌(金尙憲)ㆍ김집(金集)에게 수학하고,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묘배향을 주장함. 예송논쟁(禮訟論爭) 때 기년설(朞年說)을 지지하고 많은 저서를 남김.
1631~16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순(文純)@한원진 - 한원진(韓元震)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이간(李柬)과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의 논쟁을 벌여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주장함. 영릉 참봉(寧陵參奉) 등을 지내고, 저서로 《남당집(南塘集)》이 있음.
1682~175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결성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순(文純)@권상하 - 권상하(權尙夏)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ㆍ문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門人)으로, 이이(李珥)를 조종(祖宗)으로 하여 송시열에게 계승된 기호학파(畿湖學派)를 이끎.
1641~172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