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선계(仙溪) - 이황(李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주리론적(主理論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한 영남학파(嶺南學派)의 종장(宗匠).
1501~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선계(善繼) - 윤사종(尹師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진사. 본관은 영천(永川). 윤형(尹炯)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유학
-
선계변무(璿系辨誣) - 종계변무(宗系辨誣)
조선 태조(太祖) 때부터 선조(宣祖) 때까지 명(明) 나라 사책(史冊)에 잘못 기록된 태조의 종계(宗系)를 바로잡아 줄 것을 주청한 사건. 1394년(태조 3) 태조가 이인임(李仁任)의 아들로 잘못 기록된 것을 인식한 이래 개록을 요구하여 1588년(선조 21) 관철됨.
한국>조선전기 , 사건>기타사건
-
선고(宣考) - 선조(宣祖)@조선
조선 제14대 왕. 재위 1567~1608. 중종(中宗)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셋째 아들. 초기에는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黨爭)과 전란(戰亂) 속에서 보냄.
1552~16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선곡(善谷)@이옹 - 이옹(李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승사랑(承仕郞) 이극인(李克仁)의 아들로,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선곡(善谷) - 예안(禮安)
경상도 안동(安東) 지역의 옛 지명. 고구려 때 매곡현(買谷縣)이었다가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선곡(善谷)으로 고쳤고, 고려 태조(太祖) 때 성주(城主) 이능선(李能宣)이 귀순하여 예안(禮安)이라고 함.
경상도>예안 , 지명>행정지명
-
선곡옹(善谷翁) - 이옹(李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승사랑(承仕郞) 이극인(李克仁)의 아들로,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선곡정(善谷正) - 이윤원(李潤源)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문익성(文益成)과 교유하고, 숙천 도호부사(肅川都護府使)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선공(宣公)@손석 - 손석(孫奭)
중국 송(宋)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경술(經術)로써 한림시강학사(翰林侍講學士)에 이르렀고, 저서에는 《악기도(樂記圖)》ㆍ《오경절해(五經節解)》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선공(宣公) - 육지(陸贄)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문신. 덕종이 두 차례 피난길에 올랐을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로서 항상 곁에서 조칙(詔勅)의 기초와 정책(政策) 입안을 담당하였으므로 ‘내상(內相)’이라 일컬어짐.
754~80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선공(宣公)@장식 - 장식(張栻)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재상을 지낸 아버지 장준(張浚)의 음보(蔭補)로 관리가 되었음. 호굉(胡宏)에게 사사하고 성학(聖學)을 공부했으며, 주희(朱熹)ㆍ여조겸(呂祖謙) 등과 함께 동남(東南)의 3현(三賢)이라 일컬어졌음.
1133~118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선관백(先關白) - 덕천가강(德川家康)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초대 장군(將軍). 풍신수길(豊臣秀吉) 아래에서 빼어난 전략가로 있었으나 풍신수길 사후 그의 일족을 멸하고 전국(戰國)을 제패하여 강호 막부(江戶幕府)를 세움.
1543~1616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선광(宣光) - 주거(周擧)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ㆍ학자. 여남(汝南) 사람으로, 주방(周防)의 아들. 박학다식하고 오경(五經)에 능통하여 유학자들의 종사(宗師)가 됨. 《후한서(後漢書)》에 열전(列傳)이 있음.
?~14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선광릉(宣光陵) - 무제(武帝)@남북조(전조)
중국 남북조시대 전조(前趙)의 왕. 재위 310~318. 고조(高祖) 유연(劉淵)의 넷째 아들로, 형인 태자 유화(劉和)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함. 즉위 후 진(晉) 나라를 공격하여 회제(懷帝)와 민제(愍帝)를 사로잡는 등 폭정을 일삼다가 국란(國亂) 속에 죽음.
?~3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선교각종산문도반총섭조제(禪敎各宗山門道伴摠攝調題) - 무외(無畏)
고려 후기 천태종(天台宗)의 승려. 1302년(충렬왕 28) 묘련사(妙蓮社)의 제3세 법주(法主)가 되고, 1313년(충선왕 5) 국통(國統)으로 책봉됨. 원혜 경의(圓慧景宜)ㆍ순암 의선(順菴義璇)과 함께 묘련사파 승려로 불림. .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선교도총섭정지원명묘변무애국일도대선사(禪敎都摠攝淨智圓明妙辯無礙國一都大禪師) - 찬영(粲英)
고려 충정왕(忠定王)~공양왕(恭讓王) 때의 승려.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 한적(韓績)의 아들이고, 보우(普愚)의 제자. 공민왕(恭愍王) 때 양가도승록(兩街都僧錄)이 되고, 우왕(禑王)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사후에 국사(國師)의 시호를 받음.
1328~139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선구사(旋龜寺) - 백담사(百潭寺)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 때 자장(慈藏)이 강원도(江原道) 인제(麟蹄) 설악산에 창건한 사찰. 처음 이름은 한계사(寒溪寺)였으나, 소실(燒失)과 중건(重建)의 반복으로 이름과 위치가 여러 번 바뀜. 1455년(세조 1)에 승려 재익(載益) 등이 옛 한계사 터의 윗쪽 20리 지점에 중건하고 백담사라고 개칭함.
647 한국>신라 , 강원도>인제 , 유적>건물>사찰
-
선궁(宣弓) - 김선궁(金宣弓)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본관은 선산(善山). 고려 태조(太祖)가 선궁(宣弓)이란 이름을 하사함.
922~?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무신
-
선귤당(蟬橘堂)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선기(單旗) - 선목공(單穆公)
중국 주(周) 경왕(景王) 때의 현대부(賢大夫). 선자(單子) 또는 선기(單旗)라고도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