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선숙(善叔)@효령대군 - 효령대군(孝寧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의 소생으로, 효성과 우애가 지극하였고, 세종ㆍ문종ㆍ단종ㆍ세조ㆍ예종ㆍ성종으로부터 극진한 존경과 대우를 받았으며, 많은 불사(佛事)를 주관하여 불교의 보호와 진흥에 공헌함.
1396~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선숙(宣肅) - 최종준(崔宗峻)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의학자(醫學者). 본관은 동주(東州).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내고, 《신집어의촬요방(新集御醫撮要方)》을 지었는데 그 내용의 일부가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 전함.
?~1246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선술(善述) - 조찬한(趙纘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조양정(趙揚庭)의 아들. 영천 군수(榮川郡守) 시절 삼도토포사(三道討捕使)로 도둑을 토벌하고,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선산 부사(善山府使) 등을 지냄. 시부(詩賦)에 능함.
1572~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선아(仙娥) - 항아(姮娥)
중국 고대 유궁후(有窮后) 예(羿)의 아내. 예가 서왕모(西王母)에게 얻은 선약(仙藥)을 몰래 훔쳐 먹고 신선이 되어 혼자 월궁(月宮)으로 달아났으나, 두꺼비로 변해 달에서 외롭게 살고 있다고 전함. 달에 사는 신선(神仙)이나, 달 자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임.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선아(仙蛾) - 항아(姮娥)
중국 고대 유궁후(有窮后) 예(羿)의 아내. 예가 서왕모(西王母)에게 얻은 선약(仙藥)을 몰래 훔쳐 먹고 신선이 되어 혼자 월궁(月宮)으로 달아났으나, 두꺼비로 변해 달에서 외롭게 살고 있다고 전함. 달에 사는 신선(神仙)이나, 달 자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임.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선악(仙嶽)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선암(仙巖)@김진 - 김진(金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성일(金誠一)의 아버지. 기묘명유(己卯名儒)들을 찾아 가르침을 배워 견문을 넓히고 학업에 정진함.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고 사빈서원(泗濱書院)에 제향됨.
1500~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선암(仙庵) - 유창(劉敞)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강릉유씨(江陵劉氏)의 시조로,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태조(太祖)에게 여러 차례 《대학연의(大學衍義)》를 진강함.
?~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선양(善養) - 황자후(黃子厚)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회덕(懷德). 회천위(懷川尉) 황유(黃裕)의 아버지로, 한성부 윤(漢城府尹)ㆍ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등을 지냄. 호패법(戶牌法)을 건의하여 시행하고, 침구(鍼灸)의 전문직을 둘 것을 건의함.
1363~14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선양(宣讓) - 목종(穆宗)@고려
고려 제7대 국왕. 재위 997~1009. 전시과(田柴科)를 개정(改定)하고 학문을 장려하는 등 치적을 쌓았으나 강조(康兆)에게 피살됨.
980~100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선언(善言) - 우선언(禹善言)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학자. 본관은 단양(丹陽). 노자(老子)ㆍ장자(莊子) 등의 고고한 학풍을 좋아하여 권세와 명예를 천하게 보는 청담파(淸談派)의 한 사람으로, 자신을 죽림칠현(竹林七賢)에 비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선여(善餘) - 유영경(柳永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에 오름. 소북(小北)의 영수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옹립을 꾀하려다 죽임을 당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관작이 복구됨.
1550~160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선여(善餘)@전희경 - 전희경(田希慶)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고려 말의 문인 전귀생(田貴生)과 문신 전녹생(田祿生)의 아버지로, 첨의 사인(僉議舍人) 등을 지냄.
1299~135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선여(善餘)@함승경 - 함승경(咸承慶)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함부림(咸傅霖)의 아버지로, 검교 중추원학사(檢校中樞院學士)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선열(善悅) - 이선열(李善悅)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동고(東皐) 이준경(李浚慶)의 아들로, 부친의 임지인 관서(關西) 지방에 따라나섰다가 병을 얻어 요절함.
1531~15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선열(宣烈) - 인순왕후(仁順王后)
조선 제13대 명종(明宗)의 정비(正妃). 명종 즉위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며, 명종이 죽고 선조(宣祖)가 즉위하자 잠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532~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선열의성(宣烈懿聖) - 인순왕후(仁順王后)
조선 제13대 명종(明宗)의 정비(正妃). 명종 즉위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며, 명종이 죽고 선조(宣祖)가 즉위하자 잠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1532~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선옹(巽翁) - 남긍(南兢)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이색(李穡)이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일 때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를 지냈으며, 민사평(閔思平)ㆍ정포(鄭誧)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선왕(宣王)@공자 - 공자(孔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ㆍ학자. 유학(儒學)의 개조(開祖). 노 나라에서 대사구(大司寇)를 지내고,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列國)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
B.C.552~B.C.4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선왕(宣王) - 선종(宣宗)@고려
고려 제13대 왕. 재위 1083~1094. 문종(文宗)의 둘째 아들. 불교를 장려하여 승과(僧科)를 설치하고, 많은 사탑(寺塔)을 건립함.
1049~1094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