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惺) - 박성(朴惺)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ㆍ의사(義士). 본관은 밀양(密陽). 박사눌(朴思訥)의 아들이고 정구(鄭逑)의 문인. 임진왜란 때는 김성일(金誠一)의 참모로, 정유재란 때는 이원익(李元翼)의 참모로 크게 활약함.
1549~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성(惺)@유성 - 유성(柳惺)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유영길(柳永吉)의 아들로, 1599년(선조 32) 정시(庭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헌납(獻納)ㆍ지평(持平) 등을 지냄. 유영경(柳永慶)이 이끄는 소북(小北)으로, 광해군이 즉위한 후 탄핵을 받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2~161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성(成)@유공작 - 유공작(柳公綽)@당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헌종(憲宗)이 무예를 좋아하여 자주 사냥을 나가자 〈태의잠(太醫箴)〉을 지어 풍간(諷諫)함. 오원제(吳元濟)를 토벌할 때 공을 세우고,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냄.
765~83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성(成) - 종요(鍾繇)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 문제(文帝) 때의 문신ㆍ서예가. 호소(胡昭)와 함께 유덕승(劉德升)에게 글씨를 배우고, 해서(楷書)로 발전해가는 새로운 시대를 개척함으로써 왕희지(王羲之)와 더불어 ‘종왕(鍾王)’으로 병칭됨.
151~23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성(成)@변성 - 변성(邊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변처령(邊處寧)의 아들로, 1522년(중종 17) 별시(別試)에 급제하였고,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성(成)@김성 - 김성(金成)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적. 판사(判事) 역임. 임중보(林仲甫)가 꾸민 역모에 연좌되어 참수 당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문신
-
성(成)@하성 - 하성(河成)
고려시대의 문신. 진주하씨(晉州河氏) 단계공파(丹溪公波)의 시조로, 주부(主簿)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성(晟)@조성 - 조성(趙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음악이론가ㆍ학자ㆍ의원. 본관은 평양(平壤). 정주 판관(定州判官) 조수함(趙守諴)의 아들이며, 조욱(趙昱)의 형.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았고, 군직(軍職)에 나가 의술을 가르쳤으며 편종ㆍ편경을 이정(釐正)함.
1492~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ㅣ서울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문사>학자
-
성(晟)@이성 - 창원군(昌原君)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두 번째 서자. 근빈(謹嬪) 박씨(朴氏)의 소생으로, 성격이 방탕(放蕩)하고 난폭하여 여러 차례 국문(鞫問)을 당함.
1457~14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성(晟) - 이성(李晟)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장군. 주자(朱泚)의 난을 평정하여 그 공으로 사도(司徒)가 되고, 봉천(奉天)의 포위를 푼 공으로 서평왕(西平王)에 봉해짐.
727~79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성(渻) - 서성(徐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으나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 후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호종함.
1558~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성(珹) - 유성(柳珹)
조선 전기의 유학.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유현강(柳玄江)이 지은 〈차면앙정운(次俛仰亭韻)〉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성(省)@권성 - 권성(權省)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승(權昇)의 맏아들이며, 여주 목사(驪州牧使) 권현(權睍)의 형으로,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결성(結城)과 부안(扶安) 두 고을의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무신
-
성(省) - 안성(安省)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 직학사(寶文閣直學士)ㆍ상주 판관(尙州判官)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참찬(參贊) 등을 지냄.
?~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성(筬) - 허성(許筬)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유희춘(柳希春)의 문인으로,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온 후 일본의 침략 가능성을 직고하고, 임진왜란 때는 군병모집에 진력함.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48~161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성(誠)@민성 - 민성(閔誠)
조선 전기의 유학. 노수신(盧守愼)과 친분이 있어, 서우량(徐友諒)과 함께 자(字)를 지어줄 것을 청함. 노수신이 보낸 시들이 《소재집(穌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성(誠) - 이성(李誠)
조선 전기의 종친. 파림군(坡林君) 이주(李珘)의 아들이며, 독송정(獨松亭) 김개(金鎧)의 둘째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성(誠)@허성 - 허성(許誠)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허주(許周)의 아들이며 안동 부사(安東府使)를 지낸 허관(許寬)의 아버지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냄.
1382~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성^간(成^簡) - 우^율(牛^栗)
조선 선조(宣祖) 때의 성리학자인 문간공(文簡公)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문성공(文成公) 율곡(栗谷) 이이(李珥)를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후기ㅣ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성^호(惺^虎) - 호^성(虎^惺)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문경호(文景虎)와 박성(朴惺)을 함께 부르는 말. 정철(鄭澈)을 간흉으로 비판했기 때문에 죄 없는 사람에 대해 무고한 사람을 말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