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성구(聲久) - 김성구(金聲久)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추길(金秋吉)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 등을 지냄. 안동(安東)의 백록사(栢麓祠)에 배향(配享)됨.
1641~17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성국공(郕國公) - 증삼(曾參)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증점(曾點)의 아들이며 공자(孔子)의 고제(高弟)로, 효심이 두텁고 내성궁행(內省躬行)에 힘썼으며, 노 나라 지방에서 제자들의 교육에 주력함.
B.C.506~B.C.43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국종성(郕國宗聖) - 증삼(曾參)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증점(曾點)의 아들이며 공자(孔子)의 고제(高弟)로, 효심이 두텁고 내성궁행(內省躬行)에 힘썼으며, 노 나라 지방에서 제자들의 교육에 주력함.
B.C.506~B.C.43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성굴(醒屈)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성균감(成均監) - 국자감(國子監)
고려시대에 유학을 가르치던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 992년(성종 11)에 종래의 국학(國學)을 당ㆍ송(唐宋)의 제도를 참작하여 정식 교육기관으로 개편하고, 국자학ㆍ태학ㆍ사문학ㆍ율학ㆍ서학ㆍ산학 등의 전문 학과를 둠.
992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법제>관청
-
성균관(成均館)@국자감 - 국자감(國子監)
고려시대에 유학을 가르치던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 992년(성종 11)에 종래의 국학(國學)을 당ㆍ송(唐宋)의 제도를 참작하여 정식 교육기관으로 개편하고, 국자학ㆍ태학ㆍ사문학ㆍ율학ㆍ서학ㆍ산학 등의 전문 학과를 둠.
992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법제>관청
-
성극(省克) - 김홍미(金弘微)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낸 김범(金範)의 아들이며, 조식(曺植)과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 이조 좌랑(吏曹佐郞) 재직 중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파면됨. 뒤에 복관되어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1557~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성극당(省克堂) - 김홍미(金弘微)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낸 김범(金範)의 아들이며, 조식(曺植)과 유성룡(柳成龍)의 문인(門人). 이조 좌랑(吏曹佐郞) 재직 중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파면됨. 뒤에 복관되어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함.
1557~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성극재(省克齋) - 문명개(文命凱)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 시문에 뛰어나며, 《성극재시고(省克齋詩稿)》를 저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성근(成槿) - 임성근(林成槿)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은진임씨(恩津林氏)의 시조. 봉선대부(奉善大夫) 임정(林挺)의 아버지로, 고려 때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성근(誠謹) - 정성근(鄭誠謹)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참수(斬首) 당함. 중종(中宗) 때 이조 참판(吏曹參判)으로 추증됨.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성길(聖吉) - 유혜적(柳惠迪)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유제두(柳齊斗)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성길사(成吉思) - 태조(太祖)@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이며, 몽고(蒙古) 제국의 창시자. 재위 1206~1227. 몽고를 통일하고 원 나라 건설의 기초를 마련하여 칭기즈칸으로 일컬어지며, 원을 세운 손자 세조(世祖)에 의해 태조로 추존됨.
1155?~1227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길사한(成吉思汗) - 태조(太祖)@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이며, 몽고(蒙古) 제국의 창시자. 재위 1206~1227. 몽고를 통일하고 원 나라 건설의 기초를 마련하여 칭기즈칸으로 일컬어지며, 원을 세운 손자 세조(世祖)에 의해 태조로 추존됨.
1155?~1227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성남(成男) - 유성남(柳成男)
조선 전기의 유학. 정황(丁熿)의 《유헌집(游軒集)》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세정(世貞) - 민세정(閔世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여성군(驪城君) 민무질(閔無疾)의 증손.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현감을 지냈고, 기묘사화 때 파출(罷黜)되었다가 함경 도사(咸鏡都事)에 발탁됨.
14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세정(世貞)@박세정 - 박세정(朴世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참의(吏曹參議)를 지낸 박점(朴漸)의 부친. 이이(李珥)의 《율곡전서(栗谷全書)》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92~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세정(世貞)@왕세정 - 왕세정(王世貞)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젊을 때부터 문명이 높아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명대 후기 고문사파(古文辭派)의 지도자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526~159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세정(世靜) - 김세정(金世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공조 참판(工曹參判) 김굉(金硡)의 아들로, 동생 김세묵(金世默)의 아들 김수(金脩)가 계후(繼後)함. 빙고별제(氷庫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세정(洗精) - 송세정(宋洗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숙기(宋叔琪)의 아들이며, 판윤(判尹) 송겸(宋㻩)의 아버지로, 1514년(중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현령(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