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세화(世華)@조선 - 이세화(李世華)@조선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평(富平). 이이재(李以載)의 아들로, 이희재(李熙載)에게 출계함.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내고, 1689년(숙종 15)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비설을 듣고 상소를 올렸으며, 청백리(淸白吏)에 선정됨.
1630~1701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세환(世桓) - 한세환(韓世桓)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운(韓運)의 아들로, 《성종실록(成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로 있을 때 기민(饑民) 구제에 힘씀.
1470~152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세황(世皇) - 세조(世祖)@원
몽고 제국의 제5대 칸으로, 중국 원(元) 나라의 시조. 재위 1260~1294.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 예종(睿宗)의 아들로, 일본ㆍ중앙아시아ㆍ유럽에까지 원정(遠征)하여 대제국을 건설함.
1215~1294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회(世薈) - 이세회(李世薈)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윤구(尹遘)의 사위로, 사섬시 부정(司贍寺副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세효(世孝) - 최세효(崔世孝)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강릉(江陵). 중종(中宗) 때의 화가인 최수성(崔壽峸)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세후(世煦) - 박세후(朴世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 박사화(朴士華)의 아들로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 등을 역임하였으며, 1545년 하절사(賀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494~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세후(細侯) - 곽급(郭伋)
중국 신(新)~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문신. 병주 목사(幷州牧使)로 있으면서 은혜로운 정사를 폈는데, 다시 그 지방에 부임하여 서하(西河) 미직(美稷)에 이르자, 아이들이 죽마(竹馬)를 타고 길에 나와 절을 하면서 맞이했다고 함.
중국>후한ㅣ중국>신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세훈(世勛) - 송세훈(宋世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양근 군수(楊根郡守) 송여림(宋汝霖)의 아들이고 임천 군수(林川郡守) 송남수(宋柟壽)의 아버지로, 안악 군수(安岳郡守)를 지내고 호조 참의(戶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세훈(世勛)@유세훈 - 유세훈(柳世勛)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문화(文化).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신천서원(新川書院)ㆍ이양서원(伊陽書院)에 배향됨.
1564~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
-
세훈(世勳) - 박세훈(朴世勳)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군자감 부정(軍資監副正) 박사화(朴士華)의 아들로, ‘주동효아(鑄洞孝兒)’로 불림. 조광조(趙光祖) 등이 별과(別科)에 천거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낙향함.
1488~15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세훈(世勳)@오세훈 - 오세훈(吳世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우의정(右議政) 오겸(吳謙)의 아버지로, 부사(府使)를 지냄.
1460~151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세휴(世休) - 박복경(朴復卿)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울산 군수(蔚山郡守)를 지낼 때 선정을 베풀고 태화루(太和樓)를 중수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세희(世熙) - 안세희(安世熙)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참봉(參奉) 안봉조(安奉祖)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벼슬하여 동부 주부(東部主簿) 등을 지냄.
1481~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세희(世熹) - 박세희(朴世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강계(江界)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
14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소(劭) - 이소(李劭)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민부 전서(民部典書)를 지낸 이윤온(李允蒕)의 아버지. 1254년(고종 41) 국자감시(國子監試)에 급제하여, 전법 판서(典法判書)ㆍ합문지후(閤門祗候)ㆍ지삼사사(知三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소(昭)@손소 - 손소(孫昭)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종사관(從事官)으로 출정, 난이 평정된 뒤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내섬시 정(內贍寺正)으로 특진됨.
1433~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소(昭) - 박소(朴昭)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으로, 안음 현감(安陰縣監)에 제수되어 청렴한 치적을 보임.
134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소(昭)@이소 - 이소(李昭)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 이수철(李守哲)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 토벌에 참여하였고, 건주위(建州衛)를 공격하였으며, 동여진(東女眞)을 정벌함. 전라우도 수군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使)를 지냄.
1441~149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무신
-
소(瀟) - 김소(金瀟)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으로, 창원 부사(昌原府使) 김복일(金復一)의 아들. 호원(灝元) 권문해(權文海)의 생질(甥姪)로, 《초간집(草澗集)》에 김소(金瀟)에 대한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소(玿) - 박소(朴玿)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 함양부원군(咸陽府院君) 박충좌(朴忠佐)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