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소(紹) - 권소(權紹)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권민수(權敏手)의 아들로, 숙부인 권달수(權達手)에게 출계(出系)함.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권찬(權纘)의 동생으로, 안동 부사(安東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소(紹)@박소 - 박소(朴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조광조 등 신진사류(新進士類)와 더불어 왕도정치(王道政治) 구현을 위하여 힘씀.
1493~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소(蘇) - 박소(朴蘇)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개성 유수(開城留守)를 지낸 육봉(六峰) 박우(朴祐)와 기묘명현(己卯名賢) 눌재(訥齋) 박상(朴祥)의 조부로 은산 군사(殷山郡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소(韶) - 소소(簫韶)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인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음악 이름. 아홉 곡조를 연주하자 봉황새가 날아와 춤을 추었다 함.
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소^구(蘓^歐) - 구^소(歐^蘇)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인 구양수(歐陽脩)와 소식(蘇軾)을 함께 부르는 말.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소^대(小^大) - 대^소(大^小)
《대학(大學)》과 《소학(小學)》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소^두(蘇^杜) - 두^소(杜^蘇)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두보(杜甫)와 송(宋) 나라의 시인 소식(蘇軾)을 함께 부르는 말.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ㅣ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소^매(蘇^梅) - 매^소(梅^蘇)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매요신(梅堯臣)과 소순흠(蘇舜欽)을 함께 부르는 말. 북송(北宋) 때의 대표적 시인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소^유(巢^由) - 허^소(許^巢)
중국 고대 요(堯) 임금 때의 고사(高士)인 허유(許由)와 소보(巢父)를 함께 부르는 말. 요 임금이 그들에게 천하를 주려 하였으나 거절하고 은거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소^이(蘇^李) - 이^소(李^蘇)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이백(李白)과 송(宋) 나라의 시인인 소식(蘇軾)을 함께 부르는 말.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에 속하는 인물들로, 시(詩)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ㅣ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소^허(巢^許) - 허^소(許^巢)
중국 고대 요(堯) 임금 때의 고사(高士)인 허유(許由)와 소보(巢父)를 함께 부르는 말. 요 임금이 그들에게 천하를 주려 하였으나 거절하고 은거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소^호(韶^頀) - 소^호(韶^濩)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악곡인 소소(簫韶)와, 은(殷) 나라의 탕왕(湯王)이 지었다는 악곡인 대호(大濩) 함께 부르는 말. 태평성대의 음악을 가리킴.
중국>은ㅣ고대 , 중국 , 기타>가무
-
소^황(蘇^黃) - 파^곡(坡^谷)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으로,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인 소식(蘇軾)과 그의 문인(門人)이자 강서시파(江西詩派)의 시조인 황정견(黃庭堅)을 함께 부르는 말. 시문(詩文)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소가(騷歌) - 이소(離騷)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굴원(屈原)이 지은 서정적 장편 서사시(敍事詩).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소간(昭簡)@탁영 - 탁영(卓英)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탁종성(卓宗成)의 아들로, 고종 때 사마시(司馬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소간(昭簡)@덕원군 - 덕원군(德源君)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 근빈박씨(謹嬪朴氏)의 소생으로, 남이(南怡)의 옥사(獄事)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소전 제조(文昭殿提調) 등을 지냄. 김종직(金宗直)을 벗삼아 이학(理學)에 종사함.
1449~14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왕자
-
소간(昭簡)@임유겸 - 임유겸(任由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사은부사(謝恩副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조선 표류민을 데려오는 교섭을 담당함. 《성종실록(成宗實錄)》과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편찬에 참여함.
1456~152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소간(昭簡) - 남휘(南暉)
조선 태종(太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태종의 넷째 딸 정선공주(貞善公主)의 부마(駙馬)가 되어 의산군(宜山君)에 봉해짐.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소갈객(消渴客)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소갈선옹(小葛仙翁) - 갈홍(葛洪)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ㆍ도사. 정은(鄭隱)에게 선도(仙道)를 배움. 관내후(關內侯) 등의 관직을 지내다가 물러나 나부산(羅浮山)에 들어가 저술과 연단(煉丹)에 전념함. 저서에 《포박자(抱朴子)》ㆍ《신선전(神仙傳)》이 있음.
283~34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