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속혹문(續或問) - 속대학혹문(續大學或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언적(李彦迪)의 저서. 주희(朱熹)의 《대학혹문(大學或問)》의 예에 따라 《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에서 《대학장구(大學章句)》와 서차나 해석을 다르게 한 이유를 문답 형식으로 풀이함. 1책. 목판본.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손(孫) - 설손(偰孫)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시인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사람으로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고려에 귀화하여 경주설씨(慶州偰氏)의 시조가 됨. 고려 대표시인의 한 사람.
?~1360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손(蓀)@허손 - 허손(許蓀)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좌의정 허침(許琛)의 아버지로, 재령 군수(載寧郡守)를 지내고 보조공신(補祚功臣)에 추록되었으며, 양천부원군(陽川府院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손(蓀) - 이손(李蓀)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평안도 절도사(平安道節度使) 이수철(李守哲)의 아들. 1470년(성종 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좌찬성(左贊成)ㆍ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책봉됨.
1439~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손^유(孫^劉) - 유^손(劉^孫)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제1대 황제인 소열제(昭烈帝) 유비(劉備)와 오(吳) 나라 제1대 황제인 대제(大帝) 손권(孫權)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손^조(孫^曹) - 조^손(曹^孫)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황제인 대제(大帝) 손권(孫權)과 위(魏) 나라의 황제인 무제(武帝) 조조(曹操)를 함께 부르는 말. 삼국시대에 적벽대전(赤壁大戰) 등의 치열한 전쟁을 통해 천하를 호령했던 두 영웅을 말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손강영설(孫康映雪) - 형설지공(螢雪之功)
반딧불과 눈빛으로 글을 읽어가며 고생 속에서 공부하는 것을 말함.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손강(孫康)은 가난하여 눈빛으로 글을 읽어 어사대부(御史大夫)에 오르고, 차윤(車胤)은 반딧불을 주머니에 넣어 그 불빛으로 글을 읽어 이부상서(吏部尙書)가 된 데서 유래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손경신서(孫卿新書) - 순자(荀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인 순황(荀況)의 사상서. 20권. 예치주의(禮治主義)를 강조하고, 성악설(性惡說)을 담고 있어 유자(儒者)들의 비판을 받음. 후에 한비자(韓非子) 등이 계승하여 법가(法家) 사상을 낳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손경여(孫敬輿) - 손식(孫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해(平海)로, 의서습독관(醫書習讀官)을 지낸 손숙겸(孫叔謙)의 아들. 전라도 관찰사ㆍ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손경자(孫卿子) - 순자(荀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학자인 순황(荀況)의 사상서. 20권. 예치주의(禮治主義)를 강조하고, 성악설(性惡說)을 담고 있어 유자(儒者)들의 비판을 받음. 후에 한비자(韓非子) 등이 계승하여 법가(法家) 사상을 낳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손곡(損谷) - 김상성(金尙星)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김시환(金始煥)의 아들. 13세에 영평(永平)의 〈금수정기(金水亭記)〉를 지어 신동(神童)으로 불리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703~175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손곡(蓀谷) - 이달(李達)@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시인. 본관은 신평(新平). 최경창(崔慶昌)ㆍ백광훈(白光勳)과 어울리며 시사(詩社)를 결성하여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일컬어짐. 제자 허균(許筠)이 그의 전기(傳記)인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을 지음.
1539~1612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문인
-
손곡집(蓀谷集) - 손곡시집(蓀谷詩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인 이달(李達)의 시집. 6권 1책. 활자본. 초간본(初刊本)은 1618년(광해군 10)에 허균(許筠)이 자신의 서문(序文)을 붙여 간행함.
161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손군립(孫君立) - 손흥례(孫興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지헌(芝軒) 정사성(鄭士誠), 용담(龍潭) 박이장(朴而章) 등과 교유함.
154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손권(孫權) - 대제(大帝)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222~252. 형 손책(孫策)의 뒤를 이어 강동(江東)을 차지하고, 유비(劉備)와 동맹하여 조조(曹操)를 적벽(赤壁)에서 무찌름.
182~25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손기숙(孫記叔) - 손명(孫蓂)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로, 생원 손흥례(孫興禮)의 아버지.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유학
-
손덕유(孫德裕) - 손영제(孫英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많은 사재를 희사하여 도산서원(陶山書院) 건립에 크게 이바지함. 저서로 《추천집(鄒川集)》이 있음.
1521~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손량(孫梁) - 기벌포(伎伐浦)
금강(錦江) 하구인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 장항읍(長項邑) 일대로 추정되는 백제 때의 지명. 백제의 국방상 요충지로, 사비성(泗沘城)을 지키는 중요한 관문 역할을 함.
한국>백제 , 충청도>서천 , 지명>자연지명
-
손량(孫亮) - 폐제(廢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252~258.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막내아들. 맏형 손등(孫登)이 죽은 후 태자가 되어 제갈각(諸葛恪) 등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나, 손준(孫峻) 등에게 실권을 빼앗겨 결국 폐위되었으며, 후에 자살함.
243~26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손명복(孫明復) - 손복(孫復)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국자감 직강(國子監直講)ㆍ전중승(殿中丞)을 지냈으며, 태산(泰山) 아래에서 문도를 모아 가르치고 글을 저술하여 태산학파(泰山學派)를 이룸. 저서로《수양자집(睢陽子集)》이 있음.
992~105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