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송창계(宋窓雞) - 송처종(宋處宗)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연주 자사(兗州刺史)를 지냄. 《유명록(幽冥錄)》에 장명계(長鳴鷄)를 사다가 서재 창가에서 길렀는데 얼마 후 닭과 담론(談論)하면서 깨달은 것이 많았다는 고사(故事)가 실려 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송천(松川)@김천일 - 김천일(金千鎰)@1622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중기(金重器)의 아들이고 정온(鄭蘊)의 문인으로, 춘추관(春秋官)ㆍ편수관(編修官) 등을 지냄. 저서에 《송천집(松川集)》이 있음.
1622~16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송천(松川) - 양응정(梁應鼎)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시문(詩文)에 뛰어나 선조 때 팔대문장가(八大文章家)의 한 사람으로 뽑힘.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송천(松泉) - 최흥원(崔興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으로, 최수진(崔秀珍)의 아들. 임진왜란 때 도순찰사(都巡察使)로 군정 책임을 맡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29~16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송천선생유집(松川先生遺集) - 송천유집(松川遺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양응정(梁應鼎)의 문집. 7권 3책. 목활자본. 1842년(헌종 8)에 9대손 양찬영(梁纘永)이 전라도 나주(羅州)에서 간행함.
184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문헌>서명
-
송천선생집(松川先生集) - 송천집(松川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천일(金千鎰)의 문집. 1901년(광무 5) 후손들의 주선으로 4권 2책 고활자본(古活字本)으로 간행됨.
190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송천자(松川子) - 양응정(梁應鼎)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제주(濟州)로,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 시문(詩文)에 뛰어나 선조 때 팔대문장가(八大文章家)의 한 사람으로 뽑힘.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능성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송천집(松川集)@양응정 - 송천유집(松川遺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양응정(梁應鼎)의 문집. 7권 3책. 목활자본. 1842년(헌종 8)에 9대손 양찬영(梁纘永)이 전라도 나주(羅州)에서 간행함.
184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문헌>서명
-
송청좌(宋淸坐) - 송이창(宋爾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은율 군수(殷栗郡守) 송응서(宋應瑞)의 아들로,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의 문인. 광해군 때 신녕 현감(新寧縣監)으로 재임 중에 칠서지옥(七庶之獄) 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시주(詩酒)로 여생을 보냄.
1561~162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송촌(松村)@월송촌 - 월송촌(越松村)
강원도 평해(平海) 동쪽 월송정(越松亭) 근처에 있던 마을 이름. 조선 선조(宣祖) 때 이산해(李山海)가 평해로 유배되었을 때 이곳에 우거(寓居)하면서 지은 시가 《아계유고(鵝溪遺稿)》에 전함.
강원도>평해 , 지명>자연지명
-
송촌(松村) - 박세훈(朴世勳)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군자감 부정(軍資監副正) 박사화(朴士華)의 아들로, ‘주동효아(鑄洞孝兒)’로 불림. 조광조(趙光祖) 등이 별과(別科)에 천거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낙향함.
1488~155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송탄(松灘)@정홍서 - 정홍서(鄭弘緖)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장수 현감(長水縣監)을 지낸 정대민(鄭大民)의 아들로, 1628년(인조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학정(學正) 등을 지냄. 남계서원(蘫溪書院) 별사(別祠)에 배향됨.
1571~164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송탄(松灘) - 장응두(張應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지례(知禮)로,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장지효(張至孝)의 아들. 조욱(趙昱)ㆍ송순(宋純) 등과 교유하였으며 기묘명류(己卯名流)에 속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문사>유학
-
송파(松坡)@최성지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파(松坡) - 양성지(梁誠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집현전(集賢殿)의 부수찬ㆍ교리를 거쳐 이조 판서(吏曹判書)ㆍ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고려사(高麗史)》ㆍ《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을 편찬함.
1415~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송파(松坡)@박전 - 박전(朴全)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안(務安). 중종(中宗) 때의 유학 박원기(朴元基)의 아들이자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 도사(慶尙都事) 등을 지낸 박선장(朴善長)의 아버지로, 호조 정랑(戶曹正郞) 등을 지냄.
1514~155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 , 인명>관인>문신
-
송파(松坡)@임식 - 임식(林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홍문관 교리(弘文館敎理) 등을 지냈으나 모함을 받아 파직된 뒤에는 고향인 충청도 결성(結城)으로 낙향하여 부해정(浮海亭)이라는 정자에 은거하며 지냄.
1539~15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결성 , 인명>관인>문신
-
송파상군(松坡相君) - 최성지(崔誠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제2차 입성책동(立省策動) 때 원(元) 나라의 도성(都省)에 글을 올려 논의를 중지시킴. 수시력(授時曆)을 배워 와서 고려의 학계에 공헌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5~133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송포(松圃) - 이진영(李震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이상연(李尙堧)의 아들.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송학(宋學) - 성리학(性理學)
중국 송(宋) 나라 때 유학(儒學)의 한 계통으로, 인간 본연의 성(性)을 발현하기 위해 물(物)에 대한 이(理)를 참고해야 한다는 것을 요지로 하는 철학.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이론>학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