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삼연(三淵) - 김창흡(金昌翕)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영의정(領議政) 김수항(金壽恒)의 셋째 아들로,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산수를 즐기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아버지가 사사되자 영평(永平)에 은거하면서 유학에 전념하여 학자로 이름을 떨침.
1653~17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삼우(三友) - 이지충(李之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우봉(牛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중종 때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뒤 평생을 경사(經史) 연구와 후진(後進) 양성에 힘씀.
1509~156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문사>학자
-
삼우당(三友堂) - 이지충(李之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우봉(牛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중종 때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한 뒤 평생을 경사(經史) 연구와 후진(後進) 양성에 힘씀.
1509~156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문사>학자
-
삼우당(三憂堂) - 문익점(文益漸)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원(元) 나라에서 목화씨를 몰래 가져와서 장인 정천익(鄭天益)과 함께 고향에서 재배하는 데 성공함.
132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산음 , 인명>관인>문신
-
삼우재(三友齋) - 박경신(朴慶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에 급제하여 선천 병마첨절제사(宣川兵馬僉節制使)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으며, 청도(淸道)에서 두 아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무신
-
삼우정(三友亭) - 박경신(朴慶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에 급제하여 선천 병마첨절제사(宣川兵馬僉節制使)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으며, 청도(淸道)에서 두 아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활약함.
1539~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무신
-
삼월삼일난정시서(三月三日蘭亭詩序) - 난정서(蘭亭序)
중국 동진(東晉)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가 쓴 산문. 사안(謝安) 등이 회계산(會稽山) 난정(蘭亭)에서 제사를 올리고 시를 지어 문집을 만들었는데, 여기에 왕희지(王羲之)가 서문(序文)을 씀. 그 글씨는 천하 제일의 행서(行書)로 평가됨.
35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삼유자(三遊子) - 휴정(休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일선(一禪)에게 구족계를 받고 영관(靈觀)의 법을 계승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승병(僧兵) 을 모아 명(明) 나라 군대와 합세하여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움.
1520~160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안주 , 인명>종교인>승려
-
삼은(三隱) - 이민각(李民覺)@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의 증손이자 이윤검(李胤儉)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삼은옹(三隱翁) - 이민각(李民覺)@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의 증손이자 이윤검(李胤儉)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삼익(三益) - 배삼익(裵三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로,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진사사(陳謝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황해도 관찰사로 구황(救荒)에 힘쓰다 병사함.
1534~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삼일당(三一堂)@신일 - 신일(辛馹)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덕원 교수(德源敎授)를 지낸 신국균(辛國鈞)의 아들로, 대구 부사(大邱府使)ㆍ선산 부사(善山府使)ㆍ제용감 정(濟用監正)을 지냄.
150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삼일당(三一堂) - 성로(成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본관은 창녕(昌寧).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낸 성영국(成永國)의 아들로, 스승 정철(鄭澈)의 잦은 유배와 동문 권필(權韠)의 죽음을 보고 세상과 인연을 끊고 만년에는 술과 시로써 세월을 보냄.
1550~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문인
-
삼일재(三一齋) - 김구(金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 본관은 광산(光山). 글씨에 뛰어나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ㆍ양사언(楊士彦)ㆍ한호(韓濩)와 함께 조선 전기의 4대 서예가의 한 사람으로 꼽힘.
1488~153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삼장(三藏) - 의선(義旋)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로, 무외국사(無畏國師)에게 법(法)을 받고 원(元) 나라에 건너가 천원(天源) 연성사(延聖寺)의 주지로 있으면서, 본국 영원사(瑩原寺)의 주지를 겸함.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종교인>승려
-
삼장법사(三藏法師) - 의선(義旋)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로, 무외국사(無畏國師)에게 법(法)을 받고 원(元) 나라에 건너가 천원(天源) 연성사(延聖寺)의 주지로 있으면서, 본국 영원사(瑩原寺)의 주지를 겸함.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종교인>승려
-
삼전(三傳) - 춘추삼전(春秋三傳)
공자(孔子)의 《춘추(春秋)》를 해석한 대표적인 세 가지 주석서(註釋書).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ㆍ《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ㆍ《춘추곡량전(春秋穀梁傳)》을 이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삼절(三絶) - 강희안(姜希顔)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시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림.
1417~14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삼절당(三節堂) - 최여주(崔汝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의 문인으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ㆍ성주 목사(星州牧使) 등을 지내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1502~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삼제(三悌) - 신삼제(申三悌)
조선 전기의 학자.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김언기(金彦璣)의 제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