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삼조(三祖) - 승찬(僧璨)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수(隋) 나라 때의 선승(禪僧). 중국 선종의 삼조(三祖)로, 이조(二祖) 혜가(慧可)에게서 법을 이어받은 후 도신(道信)에게 법을 전함.
?~606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삼조선(三朝鮮) - 고조선(古朝鮮)
B.C.108년까지 요동과 한반도 서북부 지역에 존재한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과거 상고사(上古史)에서는 단군조선(檀君朝鮮)ㆍ기자조선(箕子朝鮮)ㆍ위만조선(衛滿朝鮮)을 통틀어 일컬음.
?~B.C.108 고대 , 시간>국명
-
삼족(三足) - 김대유(金大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직제학(直提學) 김준손(金駿孫)의 아들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조카.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조식(曺植) 등과 친교를 맺음.
1479~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삼족거사(三足居士) - 김대유(金大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직제학(直提學) 김준손(金駿孫)의 아들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조카.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조식(曺植) 등과 친교를 맺음.
1479~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삼족당(三足堂) - 김대유(金大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직제학(直提學) 김준손(金駿孫)의 아들이며, 김일손(金馹孫)의 조카.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조광조(趙光祖)ㆍ조식(曺植) 등과 친교를 맺음.
1479~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삼주(三州) - 우봉(牛峯)
황해도 남동쪽에 있던 옛 고을 이름. 1651년(효종 2)에 강음(江陰)과 병합하여 금천(金川)으로 개명함. 현재 황해북도 금천군(金川郡)에 속함.
황해도>우봉 , 지명>행정지명
-
삼주(三洲) - 김창협(金昌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들이자 김창집(金昌集)의 동생.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내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이후 은거함. 이황(李滉)과 이이(李珥)의 이기론(理氣論)을 절충한 학설을 주장하고, 《농암집(農巖集)》을 남김.
1651~170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경기도>과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삼주이씨(三州李氏) - 우봉이씨(牛峯李氏)
고려시대에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내고 잠성부원군(岑城府院君)에 봉해진 이공정(李公靖)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시대 , 황해도>우봉 , 인명>집단>성씨
-
삼지(三支) - 삼가(三嘉)
경상도 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명승지로 용암서원(龍巖書院)과 관수루(觀水樓)ㆍ유린서정(有麟西亭) 등이 있음. 후에 거창(居昌)과 합천(陜川) 등에 분속됨.
경상도>삼가 , 지명>행정지명
-
삼지(三池) - 최운(崔澐)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김정(金淨)과 함께 수학했으며,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횡간 현감(橫澗縣監)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1500~152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삼진작(三眞勺) - 정과정곡(鄭瓜亭曲)
고려 의종(毅宗) 때의 문인(文人)인 정서(鄭敍)가 동래(東萊)로 귀양 가 있을 때 임금을 생각하며 지은 십구체(十句體) 향가(鄕歌) 형식의 고려가요(高麗歌謠).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동래 , 문헌>작품명
-
삼차하(三汊河) - 삼차하(三叉河)
중국 요동(遼東)의 봉성(鳳城) 6리 지점에 있는 강. 요하(遼河)와 혼하(渾河), 태자하(太子河)가 합류한 곳으로, 조선시대 북경(北京)으로 가는 사행(使行) 길에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삼천례(三千禮) - 예기(禮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유덕(劉德)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고, 대덕(戴德)이 85편으로, 대성(戴聖)이 49편으로 간추림. 대성이 편찬한 《소대례(小戴禮)》가 현존하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삼첩가(三疊歌) - 위성곡(渭城曲)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王維)가 지은 악곡. 왕유가 원이사(元二使)를 송별(送別)할 때 지은 시가 송별의 노래로 널리 애창되었고, 세 번 되풀이하여 부르기 때문에 양관삼첩곡(陽關三疊曲)이라고도 부름.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삼첩양관(三疊陽關) - 위성곡(渭城曲)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王維)가 지은 악곡. 왕유가 원이사(元二使)를 송별(送別)할 때 지은 시가 송별의 노래로 널리 애창되었고, 세 번 되풀이하여 부르기 때문에 양관삼첩곡(陽關三疊曲)이라고도 부름.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삼출(三黜) - 유하혜(柳下惠)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사사(士師)의 직책을 수행할 때 세 번이나 쫓겨나면서도 직도(直道)를 견지하였던 고사로 유명하며, ‘화성(和聖)’으로 일컬어짐.
B.C.720~B.C.62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삼치(三癡) - 정홍명(鄭弘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우의정 정철(鄭澈)의 아들. 송익필(宋翼弼)과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예학에 조예가 있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함.
1592~165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삼탄(三灘) - 이승소(李承召)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편찬함. 당대의 문장가로 예악(禮樂)ㆍ음양(陰陽)ㆍ율력(律曆) 등 여러 방면에 조예가 깊음.
1422~148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삼탄선생집(三灘先生集) - 삼탄집(三灘集)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이승소(李承召)의 시문집. 14권 5책. 목판본. 아들 이희(李熙)와 외손자 이수동(李壽童)이 1515년(중종 10) 함경도 관찰사 윤금손(尹金孫)의 도움을 받아 함흥(咸興)에서 간행함.
1515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함흥 , 문헌>서명
-
삼하(三河) - 삼류하(三流河)
중국 요녕성(遼寧省)의 낭자산(狼子山) 30리 지점에 있는 강으로, 동북(東北)으로 흘러 태자하(太子河)로 흘러 들어감. 책문(柵門)에서 심양(瀋陽)까지 가는 사행(使行) 길에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