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상방검(上方劍) - 상방검(尙方劍)
임금의 칼을 일컫는 말. 원래 중국 상방서(尙方署)에서 제작한 황제 전용 보검(寶劍)으로, 황제가 전권(全權)을 맡긴다는 표시로 대신(大臣)에게 하사함.
중국>전한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상방보검(上方寶劍) - 상방검(尙方劍)
임금의 칼을 일컫는 말. 원래 중국 상방서(尙方署)에서 제작한 황제 전용 보검(寶劍)으로, 황제가 전권(全權)을 맡긴다는 표시로 대신(大臣)에게 하사함.
중국>전한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상방보검(尙方寶劍) - 상방검(尙方劍)
임금의 칼을 일컫는 말. 원래 중국 상방서(尙方署)에서 제작한 황제 전용 보검(寶劍)으로, 황제가 전권(全權)을 맡긴다는 표시로 대신(大臣)에게 하사함.
중국>전한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상방참마검(尙方斬馬劍) - 상방검(尙方劍)
임금의 칼을 일컫는 말. 원래 중국 상방서(尙方署)에서 제작한 황제 전용 보검(寶劍)으로, 황제가 전권(全權)을 맡긴다는 표시로 대신(大臣)에게 하사함.
중국>전한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상백(商伯) - 황호(黃灝)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주자가 그의 강론(講論)이 정밀하다고 칭찬하였고 이 칭찬으로 인해 명망(名望)이 높아짐. 관직은 광동 제형(廣東提刑)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보(商輔) - 송여우(宋汝雨)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은진(恩津). 송미년(宋眉年)의 아들로, 세상에 명성을 구하지 않고 초야에서 유유자적하며 지냄.
1460~152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유학
-
상보(尙父)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상보(尙輔) - 이경석(李景奭)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과 병자호란 때 인조를 호종하고, 청(淸) 나라의 침략으로 인한 위기에서 국가를 구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 삼전도비(三田渡碑)의 비문을 씀.
1595~167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 , 인명>관인>문신
-
상보(常甫) - 이경항(李景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남부 참봉(南部參奉) 이선(李璿)의 아들이자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조카. 형인 이경진(李景震)과 함께 성혼(成渾)에게 수학하였으며,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상복(喪服)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상복전(喪服傳) - 의례(儀禮)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상부인(湘夫人) - 아황(娥皇)
중국 고대 전설상의 왕비. 요(堯) 임금의 딸로, 아우 여영(女英)과 더불어 순(舜) 임금의 비(妃)가 되었는데, 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자 여영과 함께 소상강(瀟湘江)에 빠져 죽었다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상비죽(湘妃竹) - 상죽(湘竹)
상수(湘水)의 대나무로,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뜻함. 중국 고대 순(舜) 임금이 창오(蒼梧)에서 죽었을 때 두 비(妃)인 아황과 여영이 상수에서 흘린 눈물이 대줄기를 얼룩지게 하였다 해서 남편을 따라 죽은 두 비의 절개를 상징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상빙군(尙聘君) - 상붕남(尙鵬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범허정(泛虛亭) 상진(尙震)의 아들로, 강계 부사(江界府使)를 지낸 이제신(李濟臣)의 장인.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열중하였지만 32세의 나이로 죽음. 시서(詩書)에 능했음.
1511~154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목천 , 인명>관인>문신
-
상사(祥祀) - 상제(祥祭)
상례(喪禮)의 일종으로, 사망한 날로부터 만 2년이 되는 두 번째 기일(忌日)인 대상(大祥)에 지내는 제사.
법제>의례>가례
-
상사목(相思木) - 연리지(連理枝)
한 나무의 가지가 다른 나무의 가지와 연결되어 가지가 서로 얽힌 것으로, 부부의 애정이 지극함을 이르는 말.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 한빙(韓凭)과 그의 아내의 고사에서 유래하며, 백거이(白居易)의 시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상산(商山)@박충간 - 박충간(朴忠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로, 박세훈(朴世勳)의 아들. 재령 군수(載寧郡守)로 있을 때 한준(韓準)ㆍ이축(李軸)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형조 참판(刑曹參判)에 오르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상산(商山)@상주 - 상주(尙州)
경상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경상도>상주 , 지명>행정지명
-
상산(常山) - 안고경(顔杲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 상산군(常山郡)의 태수(太守)로 있을 때 종제(從弟)인 안진경(顔眞卿)과 함께 안녹산(安祿山)의 반란군에 맞서 싸웠으나, 성이 함락되자 붙잡혀 낙양(洛陽)으로 압송된 뒤 죽임을 당함.
692~75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상산(象山) - 곡산(谷山)
황해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고향.
황해도>곡산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