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세문(世文)@오세문 - 오세문(吳世文)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인ㆍ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한림학사(翰林學士) 오학린(吳學麟)의 손자로, 1152년(의종 6) 승보시(陞補試)에 입격하고 동각 시학(東閣侍學) 등을 지냄. 형 오세공(吳世功), 아우 오세재(吳世才)와 함께 당시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세민(世民) - 예종(睿宗)@고려
고려 제16대 국왕. 재위 1105~1122. 재위 중 인재양성에 힘써 무학재(武學齋)와 양현고(養賢庫) 등을 설치하고, 윤관(尹瓘)을 원수(元帥)로 삼아 여진족을 정벌하는 등의 치적을 쌓음.
1079~112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세백(世白) - 이세백(李世白)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송시열(宋時烈)의 유배에 반대하다가 파직당하였으나 갑술환국(甲戌換局) 때 복직됨. 노론(老論)의 중심 인물로서 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635~17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세번(世蕃) - 김계창(金季昌)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문재가 뛰어났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내고, 《세조실록(世祖實錄)》의 편찬에 편수관으로 참여함.
?~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원 , 인명>관인>문신
-
세번(世蕃)@임세번 - 임세번(林世蕃)
조선 전기의 유학. 대관재(大觀齋) 심의(沈義)와 함께 만월대(滿月臺)에 올라 시를 읊은 내용이 《대관재난고(大觀齋亂稿)》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세범(世範) - 성세범(成世範)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성희문(成希文)의 셋째 아들이자,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낸 성세장(成世章)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세병마행(洗兵馬行) - 세병마(洗兵馬)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보(杜甫)가 지은 시. 48구(句) 336자(字)로 이루어진 칠언시(七言詩)로, 안녹산(安祿山)의 난(亂)을 평정한 공신(功臣)을 찬양하고 영원히 전쟁이 종식되어 태평한 세상이 되기를 바라는 내용임.
757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세병행(洗兵行) - 세병마(洗兵馬)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보(杜甫)가 지은 시. 48구(句) 336자(字)로 이루어진 칠언시(七言詩)로, 안녹산(安祿山)의 난(亂)을 평정한 공신(功臣)을 찬양하고 영원히 전쟁이 종식되어 태평한 세상이 되기를 바라는 내용임.
757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세보(世父) - 엄세보(嚴世父)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세보(世輔) - 조세보(趙世輔)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형조 참의(刑曹參議) 조인규(趙仁奎)의 아버지로, 지평(持平)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세보(世輔)@유세보 - 유세보(兪世輔)
조선 전기의 유학. 조욱(趙昱)의 《용문집(龍門集)》에 〈차가우연형운(次可佑年兄韻)〉의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세복(世復) - 안세복(安世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1570년(선조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풍저창 직장(豊儲倉直長)을 지내고, 순계군(順溪君)에 봉해짐.
1541~1614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충청도>예산 , 인명>관인>문신
-
세분(世芬) - 요복(姚馥)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문신. 강인(姜人)으로 98세까지 장수했으며 애주가였음. 무제(武帝) 때에 주천 태수(酒泉太守)를 지냄.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세붕(世鵬)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세설(世說) - 세설신어(世說新語)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유의경(劉義慶)이 편찬한 일화집(逸話集). 후한(後漢) 말부터 동진(東晉)까지의 명사(名士)들의 생활과 언행 등을 기록한 책으로, 36편(篇) 1000여 항목으로 구성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세설신서(世說新書) - 세설신어(世說新語)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유의경(劉義慶)이 편찬한 일화집(逸話集). 후한(後漢) 말부터 동진(東晉)까지의 명사(名士)들의 생활과 언행 등을 기록한 책으로, 36편(篇) 1000여 항목으로 구성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세성(世誠) - 원제(元帝)@남북조(양)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552~554. 아버지 무제(武帝)가 죽자 형제들을 물리치고 왕위에 오름. 본래 독서와 문학을 좋아하여 《금루자(金樓子)》 등의 저서를 편(編)하기도 함.
508~55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세성(歲星) - 목성(木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동방(東方)을 상징하였으며, 하늘 전체를 십이차(十二次)로 나누고 목성이 있는 성차(星次)를 그해의 기년(紀年)으로 삼았던 데서 ‘세성(歲星)’으로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세수(歲首) - 원일(元日)
설날.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名節). 조상에게 차례(茶禮)를 지내고 웃어른들에게 세배(歲拜)를 드리며, 다양한 음식과 놀이를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한 해의 안녕을 기원함.
사건>풍속
-
세숙(世叔)@조세숙 - 조세숙(曹世叔)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학자. 반고(班固)의 여동생인 반소(班昭)의 남편으로 요절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