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산거서(山居序) - 산가서(山家序)
고려 말의 학자인 길재(吉再)가 지은 글. 벼슬하기 전인 젊은 시절에 지은 것으로, 벼슬에서 물러나 지은 〈후산가서(後山家序)〉와 함께 《야은집(冶隱集)》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산거집구(山居集句) - 산거백영(山居百詠)
조선 전기의 학자 김시습(金時習)이 1468년(세조 14) 금오산(金鰲山)에 은거할 때 지은 시(詩). 옛사람의 시구(詩句) 중에서 산중 생활의 묘미가 있는 것만 모아서 지은 칠언절구(七言絶句) 형식의 시 100수(首)를 이름.
14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작품명
-
산경(山經) - 산해경(山海經)
중국 하(夏) 나라 우왕(禹王) 또는 백익(伯益)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최고(最古)의 지리서(地理書). 고대 중국의 자연관(自然觀)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임.
고대 , 중국 , 문헌>서명
-
산곡(山谷) - 황정견(黃庭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ㆍ화가.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강서파(江西派)의 시조. 시ㆍ문장(文章)ㆍ행초(行草) 등이 모두 당대를 풍미할 만큼 절묘하고, 진관(秦觀)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와 함께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5~1105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산곡시집(山谷詩集) - 황산곡시집(黃山谷詩集)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인 황정견(黃庭堅)의 시집. 1483년(조선 성종 14)에 서거정(徐居正)ㆍ노사신(盧思愼)ㆍ허종(許琮)ㆍ어세겸(魚世謙)ㆍ유순(柳洵)ㆍ유윤겸(柳允謙) 등이 왕명에 따라 우리말로 번역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산곡자(山谷子) - 황정견(黃庭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ㆍ화가.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강서파(江西派)의 시조. 시ㆍ문장(文章)ㆍ행초(行草) 등이 모두 당대를 풍미할 만큼 절묘하고, 진관(秦觀)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와 함께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5~1105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산공(山公)@산도 - 산도(山濤)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출사(出仕)하여 이부 상서(吏部尙書)가 되었을 때 많은 인재를 등용하였으며, 혜강(嵆康)과 각별한 우정을 나눔.
205~28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산공(山公) - 산간(山簡)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회제(懷帝) 때의 무신. 산도(山濤)의 아들로, 정남장군(征南將軍)이 되어 양양(襄陽)을 수비할 때 형주(荊州)의 호족인 습씨(習氏)의 고양지(高陽池)에서 늘 술을 마시고 만취하여 돌아오곤 하였다 함.
253~31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산광(山光) - 이산광(李山光)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지번(李之蕃)의 아들이자 이산해(李山海)의 동생. 시와 술을 잘하였으며, 기개가 있어 술취한 체 하면서 사람들 앞에서 이이첨(李爾瞻)에게 침을 뱉었다는 일화가 전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유학
-
산구맥(山瞿麥)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 어떤 장사(壯士)가 석령(石靈)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 6~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음.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정습명(鄭襲明)의 시가 유명함.
자연물>식물
-
산군(山君) - 호(虎)
호랑이. 민속(民俗)에서 잡귀(雜鬼)를 물리치고 효(孝)와 보은(報恩)의 동물로 묘사되는 등 신수(神獸)로 일컬어짐.
자연물>동물
-
산남(山南)@경상도 - 경상도(慶尙道)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고려 때 경주(慶州)와 상주(尙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지명.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상도 , 지명>행정지명
-
산남(山南) - 김부인(金富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ㆍ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낙안 군수(樂安郡守)ㆍ정주 목사(定州牧使)ㆍ경상도 병마절도사(慶尙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냄. 관직에서 물러난 뒤 경학(經學)에 힘쓰면서 근본원리를 종합적으로 통찰함을 학문연구의 토대로 삼음.
1512~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산남도(山南道) - 경상도(慶尙道)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고려 때 경주(慶州)와 상주(尙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지명.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상도 , 지명>행정지명
-
산남선생문집(山南先生文集) - 산남집(山南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ㆍ학자인 김부인(金富仁)의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石印本). 1권에는 연보(年譜), 부(賦) 1편, 시(詩) 135수가, 2권에는 서(書) 6편이, 부록(附錄)으로는 만사(輓詞) 등 7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산남장(山南丈) - 이순(李淳)@153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철성(鐵城). 이언명(李彦明)의 아들이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모장(召募將)으로 의병을 모집하여 왜적과 싸움.
1530~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
-
산다(山茶) - 동백(冬柏)
차나뭇과의 상록활엽 교목. 겨울에서 봄까지 꽃이 귀한 시기에 피는 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설중사우(雪中四友)의 하나. 열매는 약용(藥用)으로 사용하거나 머릿기름, 등잔기름 등으로 사용함.
자연물>식물
-
산당(山堂) - 최충성(崔忠成)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학행이 뛰어났으며, 스승의 사상을 이어받아 《소학(小學)》 교육을 중시하고 이단(異端) 배척을 강조함.
1458~149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
-
산당(山堂)@유호인 - 유호인(劉好仁)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유선보(劉善寶)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성운(成運)ㆍ김대유(金大有)ㆍ이희안(李希顔) 등과 교유하였으며, 참봉(參奉)을 지냄.
1502~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산동노표(山東老表) - 유표(劉表)
중국 후한(後漢) 때의 군웅(群雄). 노공왕(魯恭王) 유여(劉餘)의 후손으로, 관도(官渡)의 싸움 때 원소(袁紹)와 조조(曹操)의 사이에서 중립을 지켰으며, 덕망이 높아 유비(劉備) 등이 그에게 의탁함.
142~20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