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수복(壽福) - 이부(李溥)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종친ㆍ문신.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남이(南怡)의 옥사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44~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수복(壽福)@이수복 - 이수복(李壽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옹진(瓮津). 1519년(중종 14) 경과 별시(慶科別試)에 급제하여 영흥 부사(永興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수부(守夫) - 이요(李瑤)
조선 전기의 종친ㆍ학자. 세종(世宗)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潭陽君) 이거(李璖)의 증손이며, 남언경(南彦經)의 문인으로, 조선 최초의 양명학자(陽明學者). 선조(宣祖) 때 유성룡(柳成龍) 등을 동인(東人)의 괴수로 지목하여 논란을 야기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수부(守夫)@정광필 - 정광필(鄭光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 정난종(鄭蘭宗)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영의정(領議政)으로 조광조(趙光祖) 등을 구하려다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로 좌천되었으며, 후에 다시 영의정에 오름.
1462~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수부(秀夫) - 윤국형(尹國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희렴(尹希廉)의 아들. 임진왜란 때 왜적 방어에 실패하여 파직되고, 재기용된 뒤 난리 후의 혼란한 업무들을 처리함.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543~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부(秀夫)@이상준 - 이상준(李尙俊)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의(李艤)의 아들로, 어모장군(禦侮將軍) 이인량(李寅亮)에게 출계함. 1609년(광해군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155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부(秀夫)@권덕수 - 권덕수(權德秀)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공주 목사(公州牧使)를 지낸 권박(權博)의 아들. 1546년(명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부(粹夫) - 윤국형(尹國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희렴(尹希廉)의 아들. 임진왜란 때 왜적 방어에 실패하여 파직되고, 재기용된 뒤 난리 후의 혼란한 업무들을 처리함.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543~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북(壽北) - 이광사(李匡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ㆍ서예가. 본관은 진주(全州)로, 이긍익(李肯翊)의 아버지. 정제두(鄭齊斗)의 문인으로, 양명학(陽明學)에 조예가 깊었으나 당쟁에 휘말려 유배지에서 죽음. 서예에 뛰어나 원교체(圓嶠體)를 확립하고 후세에 많은 영향을 끼침.
1705~177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수붕(壽朋)@정수붕 - 정수붕(鄭壽朋)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정탁(鄭鐸)의 아들이며, 정초(鄭礎)의 아버지로, 1495년(연산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공릉 참봉(恭陵參奉)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수붕(壽朋) - 이수붕(李壽朋)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수붕(壽鵬) - 이수붕(李壽鵬)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둘째 서자로, 정개청(鄭介淸) 등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수붕(壽鵬)@신수붕 - 신수붕(申壽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홍산 현감(鴻山縣監)을 지낸 신언숙(申彦淑)의 아버지. 부사직(副司直)을 지냄.
?~154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수사(守泗) - 양수사(楊守泗)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 김종직(金宗直)의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증시(贈詩)와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수산(壽山) - 박인석(朴仁碩)
고려 의종(毅宗)~희종(熙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경주(慶州) 초적(草賊)의 반란 진압 때 공을 세움.
1143~121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수산(壽山)@이수산 - 이수산(李壽山)
고려 충혜왕(忠惠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수안(遂安). 충혜왕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공민왕(恭愍王) 때 동북면 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로 나가 여진(女眞)을 평정하고 경계를 정했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76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수산(守山) - 손수산(孫守山)
조선 전기의 문신. 1445년(세종 27) 신숙주(申叔舟)ㆍ성삼문(成三問) 등과 함께 요동(遼東)에 가서 당시 유배중이던 명(明) 나라의 한림학사 황찬(黃瓚)에게 음운(音韻)을 물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수산(水山) - 이지함(李之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치(李穉)의 아들이며,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아산 현감(牙山縣監) 등을 지내고, 《토정비결(土亭祕訣)》을 저술함.
1517~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수산(秀山) - 이수산(李秀山)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로, 금오위 중랑장(金吾衛中郞將)을 지낸 이교(李喬)의 아들. 서예동정(書藝同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선천 , 인명>관인>문신
-
수산(首山) - 수양산(首陽山)@중국
중국 산서성(山西省) 서남쪽에 있는 산 이름. 고죽국(孤竹國)의 백이(伯夷)ㆍ숙제(叔齊) 형제가 절의(節義)를 지키다가 굶어 죽었다는 고사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