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수재(睡齋)@최응현 - 최응현(崔應賢)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중종(中宗) 때의 인물인 최세도(崔世道)ㆍ최세절(崔世節)ㆍ최세충(崔世忠) 형제의 아버지로,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양친(養親) 등을 이유로 대부분 사임함.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428~1507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수재(秀才)@성수재 - 성수재(成秀才)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증직된 이교(李嶠)의 장인으로, 절도사(節度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수재(秀才) - 주윤창(周允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유학(遊學)하였음. 1480(성종 11) 친시(親試)에 급제하였고,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수전(秀荃) - 이수전(李秀荃)
조선 후기의 종친. 중종(中宗)의 네 번째 서자인 영양군(永陽君) 이거(李岠)의 양자로, 선조(宣祖) 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수정(修靜) - 육수정(陸修靜)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 문제(文帝)~명제(明帝) 때의 도사. 효무제(孝武帝) 때 여산(廬山)에 은거하여 도잠(陶潛)ㆍ혜원(慧遠) 등과 교유했다고 하며, 명제 때 초빙되어 도교(道敎) 경전을 정리함. ‘호계삼소(虎溪三笑)’의 고사로 유명함.
406~4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수정(壽定) - 이수정(李壽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둘째 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수정(守正) - 박사걸(朴士傑)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이 자(字)를 지어 주면서 쓴 〈자사(字辭)〉가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수정(守正)@신국형 - 신국형(申國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장음정유고(長吟亭遺稿)》에 나식(羅湜)의 송별시(送別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수정(守貞) - 이수정(李守貞)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광양군(光陽君) 이세좌(李世佐)의 아들이며 이준경(李浚慶)의 아버지.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ㆍ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 등을 지냄.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처형됨.
1477~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수정(秀亭) - 임수정(林秀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임적(林頔)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수정사(水精寺) - 오대사(五臺寺)
고려 인종(仁宗) 때 진억선사(津億禪師)가 지리산(智異山)의 남쪽에 건립한 사찰. 무량수불(無量壽佛)를 모심.
1129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사찰
-
수정사(水精社) - 오대사(五臺寺)
고려 인종(仁宗) 때 진억선사(津億禪師)가 지리산(智異山)의 남쪽에 건립한 사찰. 무량수불(無量壽佛)를 모심.
1129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사찰
-
수제(水帝) - 전욱(顓頊)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삼황오제(三皇五帝) 중의 한 사람. 황제(黃帝)의 손자이며 창의(昌意)의 아들로, 천하를 잘 다스려 명군(明君)으로 이름이 높았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수제(隋帝) - 양제(煬帝)
중국 수(隋)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604~618. 문제(文帝)의 둘째 아들로 형과 아버지를 살해하고 즉위함. 만리장성을 수축하고,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대패함.
569~618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수조(水曹)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수졸재(守拙齋) - 이우민(李友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오봉공(五峯公) 이호민(李好閔)의 큰형으로, 1546년(명종 1)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수종(守琮) - 성수종(成守琮)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성세순(成世純)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이라 하여 과방(科榜)에서 삭제된 후 벼슬에 뜻을 버리고 청빈하게 살음.
1495~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
-
수주(守株) - 수주대토(守株待兎)
나무의 그루터기를 지켜보며 토끼가 나오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융통성 없이 어리석고 완고함을 비유함. 《한비자(韓非子)》 〈오두편(五蠹篇)〉에 나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수주(水州) - 수원(水原)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능(陵)이 수원 읍치의 진산인 화산(華山)에 있음.
경기도>수원 , 지명>행정지명
-
수주(遂州) - 수안(遂安)
황해도 동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시대에 몽고군(蒙古軍)과 거란군(契丹軍)에게 자주 침략을 당한 고을 중의 하나.
황해도>수안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