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숙부영공(肅夫令公) - 김우옹(金宇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속자치통감강목(續自治通鑑綱目)》을 찬하고, 부제학(副提學)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540~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숙분(叔奮) - 조신(曺伸)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역관ㆍ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문장이 뛰어나 사역원 정(司譯院正)에 특선(特選)되었고, 명(明) 나라에서 시(詩)로 이름을 날림. 조위(曺偉)의 서제(庶弟)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처남.
14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산 , 인명>관인>역관ㅣ인명>관인>문신
-
숙빈(叔彬) - 박이장(朴而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승지(承旨)를 지낸 박양좌(朴良佐)의 아들로, 노수신(盧守愼)의 문인. 임진왜란 때 김성일(金誠一)의 주청으로 종사관이 되어 활약하였고,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함.
1547~162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ㅣ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숙생(淑生) - 최숙생(崔淑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최철중(崔鐵重)의 아들로, 우찬성(右贊成)을 지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1457~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숙서(淑胥) - 신숙서(申淑胥)
조선 문종(文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단종(端宗)이 폐위된 후 충절을 지켰으며, 계룡산(鷄龍山) 동학사(東鶴寺)의 초혼각(招魂閣) 동무(東撫)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숙선(叔鮮) - 관숙(管叔)
중국 주(周) 나라의 제후. 무왕(武王)의 아우이자 성왕(成王)의 숙부. 무왕 사후에 주공(周公)이 어린 성왕을 보필하여 섭정하자, 채숙(蔡叔) 등과 더불어 주공을 모해하는 유언(流言)을 퍼뜨려 반란을 일으켰다가 주공에게 토벌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숙손(叔孫)@안숙손 - 안숙손(安叔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충주((忠州).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낸 안홍(安鴻)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유학
-
숙손(叔孫) - 숙손씨(叔孫氏)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공족(公族). 맹손씨(孟孫氏)ㆍ계손씨(季孫氏)와 함께 노 나라의 세 공족 중 하나. 환공(桓公)의 아들인 숙아(叔牙)의 후손으로, 대대로 대부의 벼슬을 계승하고 노 나라의 국정을 농단(弄斷)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집단>성씨
-
숙손(淑孫) - 이숙손(李淑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희수(鄭希壽)의 외조부이며, 심곡수(深谷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숙손소(叔孫昭) - 숙손야(叔孫婼)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숙손표(叔孫豹)의 서자(庶子). 가신(家臣) 수우(豎牛)에 의해 적통을 계승하였으나 난역지죄(亂逆之罪)를 물어 수우를 주벌함.
?~B.C.51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손소자(叔孫昭子) - 숙손야(叔孫婼)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 숙손표(叔孫豹)의 서자(庶子). 가신(家臣) 수우(豎牛)에 의해 적통을 계승하였으나 난역지죄(亂逆之罪)를 물어 수우를 주벌함.
?~B.C.51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손주구(叔孫州仇) - 숙손무숙(叔孫武叔)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大夫). 자공(子貢)이 공자(孔子)보다 훌륭하다고 평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숙수루(宿水樓) - 경렴정(景濂亭)
조선 중종(中宗) 때 주세붕(周世鵬)이 경상도 순흥(順興)의 소수서원(紹修書院) 정문 밖에 지은 정자. 원생(院生)들이 시를 짓고 학문을 토론하던 곳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정자라고 함.
15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유적>건물>누정
-
숙승(叔承) - 김숙승(金叔承)
고려 전기의 문신. 구안동김씨(舊安東金氏)의 시조.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아들로, 공부시랑(工部侍郞)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숙식(熟食) - 한식(寒食)
우리나라 사대(四大) 명절의 하나. 동지(冬至)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의 개자추(介子推)를 애도하기 위해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유래하였다고 함.
사건>풍속
-
숙신(叔愼) - 박원근(朴元謹)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박효순(朴孝順)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문사>유학
-
숙신(肅愼) - 말갈(靺鞨)
한반도 동북부 및 만주(滿洲) 일대에 거주하던 종족, 또는 그 부족들의 총칭(總稱). 시대에 따라 각기 읍루(挹婁)ㆍ물길(勿吉)ㆍ말갈(靺鞨) 등으로 불렸으며, 여진(女眞)의 전신(前身).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집단>종족
-
숙신명혜(淑愼明惠) - 장경왕후(章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윤여필(尹汝弼)의 딸로, 인종(仁宗)의 생모이며 대윤(大尹)의 거두인 윤임(尹任)의 여동생. 1506년(중종 1)에 숙의(淑儀)로 뽑히고 다음해 왕비로 책봉되었는데, 원자(元子)인 인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죽음.
1491~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숙심(叔心) - 호거인(胡居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스승 오여필(吳與弼)의 실천궁행(實踐躬行)의 학문을 이은 숭인학파(崇仁學派)의 제일인자로, 정주학(程朱學)을 독수(獨修)하고 《거업록(居業錄)》을 저술하였으며, 죽은 뒤 문묘(文廟)에 배향됨.
1434~148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숙안(叔安) - 박흔(朴忻)
조선 전기의 유학. 조식(曺植)의 《남명집(南冥集)》에 그에게 부친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