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영손(永孫) - 신영손(辛永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야은(冶隱) 길재(吉再)의 문인으로 김숙자(金淑滋)와 교유하였고,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영송촌(迎送村) - 영승촌(迎勝村)
경상도 안음(安陰)에 있는 고을 이름. 전철(全轍, 1481~1558)이 지은 정자에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사락정(四樂亭)이라고 이름을 붙이고 시를 지어주었음. 지금은 경상남도 거창군(居昌郡)에 속함.
경상도>안음 , 지명>자연지명
-
영수(永叟) - 황윤석(黃胤錫)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김원행(金元行)의 문인으로, 종래의 이학(理學)과 서구 지식의 조화를 시도함. 《이재유고(頤齋遺藁)》에 실린 운학(韻學)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사의 연구대상이 됨.
1729~179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흥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수(永壽)@홍영수 - 홍영수(洪永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고령 현감(高靈縣監)을 역임하였으며, 김일손(金馹孫)의 《탁영집(濯纓集)》 〈금란계록(金蘭契錄)〉에 이름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영수(永壽) - 이영수(李永壽)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손자이며, 숭선군(嵩善君) 이총(李𤄓)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수(永銖) - 김영수(金永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한성 판관(漢城判官) 김계권(金係權)의 아들로, 영천 군수(永川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어(射御)ㆍ음률 등에 뛰어났고, 특히 글씨를 잘 씀.
1446~150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영수(靈壽)@악양 - 악양(樂羊)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 문후(文侯) 때의 장군. 악의(樂毅)의 선조로, 수많은 참소에도 흔들리지 않은 문후의 절대적 신임 속에 중산(中山)을 정벌하고 3년 만에 돌아왔으며, 영수(靈壽)에 봉해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영수(靈壽)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영수(靈脩) - 회왕(懷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 정사를 게을리 하고 직간(直諫)을 받아들이지 않자 굴원(屈原)이 《이소경(離騷經)》을 지어 깨우치려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영수(寧秀) - 김영수(金寧秀)
조선 전기의 유학. 길재(吉再)의 외예(外裔)로, 함창(咸昌)의 양한정(養閑亭) 옆에서 자연을 즐기며 살았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유학
-
영수현공(永修縣公) - 단도제(檀道濟)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무제(武帝)~문제(文帝) 때의 장군. 무제를 도와 송 나라를 건국하는 데 공을 세워 영수현공(永修縣公)에 봉해짐.
?~43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영숙(榮叔) - 김영숙(金榮叔)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여산(礪山) 남계(鑑溪) 가에 있는 정자의 이름을 남효온(南孝溫)에게 청하였는데, 그 기문(記文)이 《추강집(秋江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ㅣ전라도>여산 , 인명>문사>유학
-
영숙(永叔)@구양수 - 구양수(歐陽脩)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한유(韓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古文) 부흥에 힘씀. 추밀부사(樞密副使)ㆍ참지정사(參知政事) 등을 지냄.
1007~10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영숙(永叔) - 손비장(孫比長)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수찬(藝文館修撰)) 등을 역임하였고,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세조실록(世祖實錄)》ㆍ《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숙(永叔)@박윤원 - 박윤원(朴胤源)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김창협(金昌協)ㆍ이재(李縡)ㆍ김원행(金元行)의 학통을 계승하여 홍직필(洪直弼)에게 전수함.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고 예학(禮學)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저서로 《근재집(近齋集)》ㆍ《근재예설(近齋禮說)》이 있음.
1734~179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
-
영숙(永叔)@송방조 - 송방조(宋邦祚)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임진왜란 때 충청도 영동(永同)에서 의병을 모집함. 평안도 병마평사(平安道兵馬評事)로 있을 때 용천관(龍川館)에서 급사함.
1567~161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영동 , 인명>관인>문신
-
영숙(永叔)@옹영 - 옹영(翁泳)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역(周易)에 능통했고, 하도(河圖)에 관한 설(說)이 회자(膾炙)되고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영숙(永叔)@양세남 - 양세남(梁世南)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손자인 양만용(梁曼容)의 아들. 증조부 양응정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
1627~168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영숙(永叔)@축확 - 축확(祝確)
중국 송(宋) 나라의 상인. 주희(朱熹)의 외조부로, 휘주성(徽州城) 상점의 반을 점거할 정도로 크게 사업을 하여 ‘축반성(祝半城)’이라 일컬어짐.
중국>송 , 중국 , 인명>기술인>상인
-
영숙(永淑) - 김만기(金萬基)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숙종의 국구(國舅)로, 김만중(金萬重)의 형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내고,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에 봉해짐.
1633~16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