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예(藝)@정예 - 정예(鄭藝)
고려 전기의 문신. 벽상삼한공신 광록대부 문하시중평장사(壁上三韓功臣光祿大夫門下侍中平章事)에 봉해진 고려의 개국공신으로, 진주정씨(晉州鄭氏) 충장공파(忠莊公派)의 시조가 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예(裔)@홍예 - 홍예(洪裔)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좌복야 참지광정원사(左僕射參知光政院事) 홍자번(洪子藩)의 아버지로, 동지밀직(同知密直)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예(裔) - 신예(辛裔)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원(元) 나라 환관 고용보(高龍普)와 함께 충혜왕을 잡아가도록 도와주었고, 고용보의 위세를 빌어 정권을 농락함.
?~135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예(輗) - 권예(權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일파 구원에 앞장섰고, 김안로(金安老)와 함께 복성군 옥사(福城君獄死)를 일으켜 심정(沈貞)ㆍ성세창(成世昌) 등을 파직ㆍ사사(賜死)시킴.
1495~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예^역(禮^易) - 역^예(易^禮)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 중에 예기(禮記)와 역경(易經)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예각(藝閣) - 교서관(校書館)
조선시대 삼관(三館)의 하나로, 태조(太祖) 때 설치되어 경적(經籍)의 인쇄ㆍ반포와 향축(香祝)ㆍ인전(印篆)을 담당하던 관청.
1392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예강(汭江) - 예양강(汭陽江)
전라도 장흥(長興)의 가지산(迦智山)에서 흘러 나와 동남쪽으로 흘러 강진(康津)을 거쳐 바다로 흘러드는 강.
전라도>장흥ㅣ전라도>강진 , 지명>자연지명
-
예강(禮江) - 예성강(禮成江)
황해도 수안(遂安) 언진산(彦眞山)에서 발원하여 배천(白川)ㆍ개성(開城)을 거쳐 강화만(江華灣)에 흘러드는 강. 길이 187.4km. 강 하류에 고려의 대표적 무역항인 벽란도(碧瀾渡)가 있음.
황해도>수안ㅣ황해도>배천ㅣ경기도>개성 , 지명>자연지명
-
예견(禮堅) - 이예견(李禮堅)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중종 때의 문신 이운(李耘)ㆍ이자(李耔)의 생부로, 대사간(大司諫)을 지냄. 연산군(燕山君) 때 유배되었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난 후 귀향하여 학업에 정진함.
143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천 , 인명>관인>문신
-
예겸(禮謙) - 심예겸(沈禮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성천 부사(成川府使)를 지냄.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예경(禮卿) - 고좌(顧佐)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성조를 쫒아 북정(北征)에 참여하고, 좌도어사(左都御史)ㆍ응천부 윤(應天府尹) 등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예경(禮經) - 예기(禮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유덕(劉德)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고, 대덕(戴德)이 85편으로, 대성(戴聖)이 49편으로 간추림. 대성이 편찬한 《소대례(小戴禮)》가 현존하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예곡(禮谷) - 곽율(郭𧺝)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곽지인(郭之仁)의 아들이고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때 초계 군수(草溪郡守)로 재임되어 왜군을 방어, 강우(江右)지역 방어에 기여함.
1531~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예국(濊國)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예국(蘂國)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예국공(豫國公) - 정호(程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 정향(程珦)의 아들로, 아우 정이(程頤)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 나라 이학(理學)의 기초를 마련함.
1032~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예근(禮根) - 김예근(金禮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개성(開城)으로, 부사(府使)를 지낸 김한걸(金漢傑)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
-
예기대전(禮記大全) - 예기(禮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유덕(劉德)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고, 대덕(戴德)이 85편으로, 대성(戴聖)이 49편으로 간추림. 대성이 편찬한 《소대례(小戴禮)》가 현존하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예당(禮堂) - 김정희(金正喜)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서화가(書畫家).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참판(兵曹參判)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추사체(秋史體)를 대성한 명필로 예서(隸書)ㆍ행서(行書)에 능하며, 그림과 금석학(金石學) 등에도 조예가 깊음.
1786~18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예산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예도천(倪道川) - 예사의(倪士毅)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스승인 진역(陳櫟)이 지은 《사서발명(四書發明)》과 호병문(胡炳文)이 지은 《사서통(四書通)》을 합하여 《사서집석(四書輯釋)》을 찬술함.
1303~134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