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예릉(睿陵) - 철종(哲宗)@조선
조선 제25대 국왕. 재위 1849~1863. 정조(正祖)의 동생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고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이광(李㼅)의 셋째 아들. 헌종(憲宗)의 뒤를 이어 즉위함.
1831~186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예릉후(醴陵候) - 강엄(江淹)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의 문신ㆍ문인. 송(宋)ㆍ남제(南齊)ㆍ양(梁)의 3왕조를 섬기는 동안 양(梁)에서는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를 지냈으며, 문학을 즐기고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통달함.
444~5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예맥(獩貊) - 예맥(濊貊)
예맥족(濊貊族)이 거주했던 한반도의 동북부인 강원도ㆍ함경도 일대를 통칭하는 지명 또는 나라. 한족(韓族)을 형성한 예족과 맥족을 이르기도 함.
인명>집단>종족ㅣ시간>국명ㅣ지명>자연지명
-
예맥(穢貊) - 예맥(濊貊)
예맥족(濊貊族)이 거주했던 한반도의 동북부인 강원도ㆍ함경도 일대를 통칭하는 지명 또는 나라. 한족(韓族)을 형성한 예족과 맥족을 이르기도 함.
인명>집단>종족ㅣ시간>국명ㅣ지명>자연지명
-
예몽(禮蒙) - 김예몽(金禮蒙)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사람을 보는 안목이 매우 뛰어나 시관(試官)이 되어 많은 인재를 뽑음.
1406~146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예묘(睿廟) - 예종(睿宗)@고려
고려 제16대 국왕. 재위 1105~1122. 재위 중 인재양성에 힘써 무학재(武學齋)와 양현고(養賢庫) 등을 설치하고, 윤관(尹瓘)을 원수(元帥)로 삼아 여진족을 정벌하는 등의 치적을 쌓음.
1079~112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예묘(睿廟)@예종 - 예종(睿宗)@조선
조선의 제8대 국왕. 재위 1468~1469. 세조(世祖)의 아들로, 재위 1년 2개월 만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함.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을 완성함.
1450~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예무효문황제(睿武孝文皇帝) - 세종(世宗)@오대십국(후주)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주(後周)의 제2대 황제. 재위 954~959. 태조(太祖)의 양자(養子)로, 양자강(揚子江) 이북을 통일하고 내정을 안정적으로 통치하는 등 국가 체제를 확고히 정비함.
921~959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 - 예문관(藝文館)
고려~조선시대 왕의 칙령(勅令)과 교명(敎命)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
한국>고려전기 , 법제>관청
-
예문희(倪文僖) - 예겸(倪謙)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1450년(조선 세종 32) 경제(景帝)의 등극을 알리러 조선에 온 사신으로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내고, 저서로 《조선기사(朝鮮紀事)》를 남김.
1415~147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예범(禮範)@김예범 - 김예범(金禮範)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무신. 진사 김만근(金萬謹)의 아들이며,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조부(祖父)로, 병절교위(秉節校尉)를 지냄.
1479~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무신
-
예산(猊山)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예산거사(猊山居士)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예산농은(猊山農隱) - 최해(崔瀣)@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경주(慶州). 최백윤(崔伯倫)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말년에는 농사를 지으며 저술에 힘쓰고, 오랜 친구인 이제현(李齊賢)으로부터 문학이 탁월함을 인정받음.
1287~134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예상(霓裳) -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선악(仙樂) 이름. 현종이 꿈에 방사(方士)와 월궁(月宮)에서 놀다가 그 음악을 듣고 돌아와 지었다는 설과, 양경충(楊敬忠)이 지어 바쳤다는 설과, 양경술(楊敬述)이 지었다는 설 등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예상곡(霓裳曲) -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선악(仙樂) 이름. 현종이 꿈에 방사(方士)와 월궁(月宮)에서 놀다가 그 음악을 듣고 돌아와 지었다는 설과, 양경충(楊敬忠)이 지어 바쳤다는 설과, 양경술(楊敬述)이 지었다는 설 등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예상무(霓裳舞) - 예상우의무(霓裳羽衣舞)
중국 당(唐) 현종(玄宗)이 꿈에 본 달나라 선녀들의 모습을 본떠 만들었다는 춤 이름. 양귀비(楊貴妃)가 잘 추었다 함.
중국>당 , 중국 , 기타>가무
-
예상우의(霓裳羽衣) - 예상우의무(霓裳羽衣舞)
중국 당(唐) 현종(玄宗)이 꿈에 본 달나라 선녀들의 모습을 본떠 만들었다는 춤 이름. 양귀비(楊貴妃)가 잘 추었다 함.
중국>당 , 중국 , 기타>가무
-
예선(禮善) - 유예선(柳禮善)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선조(宣祖) 때 영의정(領議政) 등을 역임한 유전(柳㙉)의 아버지로, 상서원 직장(尙瑞院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예설(禮說) - 예기(禮記)
예(禮)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 유덕(劉德)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고, 대덕(戴德)이 85편으로, 대성(戴聖)이 49편으로 간추림. 대성이 편찬한 《소대례(小戴禮)》가 현존하는 《예기(禮記)》임.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