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예원(禮元)@서예원 - 서예원(徐禮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이천(利川).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내고 진주 목사(晉州牧使)로 있다가 왜적(倭敵)이 침입(侵入)하여 성(城)이 함락되면서 순절(殉節)함.
?~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무신
-
예원(預原) - 김기(金淇)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성석린(成石璘)과 교유하고, 종부 판사(宗簿判事)를 지냈으며, 세조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예윤(禮胤) - 이예윤(李禮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의 증손이며, 평해부수(平海副守) 이담(李倓)의 아들. 임진왜란 때 선조(宣祖)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68~162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예자(芮子) - 예희(芮姬)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경공(景公)의 총첩(寵妾). 왕위에 올랐다가 대부 전걸(田乞) 등에 의해 살해된 안유자(晏孺子)의 어머니.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예자(豫子) - 예양(豫讓)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협객. 지백(智伯)의 원수인 조양자(趙襄子)를 살해하려다가 발각되어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예장(禮長) - 이예장(李禮長)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이사관(李士寬)의 아들. 안숭선(安崇善)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류(杖流) 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세조를 도운 공로로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6~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예장(豫章)@황정견 - 황정견(黃庭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ㆍ화가.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강서파(江西派)의 시조. 시ㆍ문장(文章)ㆍ행초(行草) 등이 모두 당대를 풍미할 만큼 절묘하고, 진관(秦觀)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와 함께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5~1105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예장(豫章) - 나종언(羅從彦)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양시(楊時)에게서 이정(二程)의 학문을 배우고, 이동(李侗)에게 전하여 주희(朱熹)에 이르렀으므로, 양시(楊時)ㆍ이동(李侗)과 함께 '남검삼선생(南劍三先生)'으로 불림.
1072~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예장선생(豫章先生) - 나종언(羅從彦)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양시(楊時)에게서 이정(二程)의 학문을 배우고, 이동(李侗)에게 전하여 주희(朱熹)에 이르렀으므로, 양시(楊時)ㆍ이동(李侗)과 함께 '남검삼선생(南劍三先生)'으로 불림.
1072~11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예장황(豫章黃) - 황정견(黃庭堅)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ㆍ화가.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강서파(江西派)의 시조. 시ㆍ문장(文章)ㆍ행초(行草) 등이 모두 당대를 풍미할 만큼 절묘하고, 진관(秦觀)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와 함께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5~1105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예재(藝齋) - 설장수(偰長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한 후 공양왕(恭讓王) 옹립에 공을 세움. 정몽주(鄭夢周)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조선 개국 후 복직되어 여러 차례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옴.
1341~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예전(禮全) - 이예전(李禮全)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상원 군수(祥原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서거정(徐居正)의 《사가집(四佳集)》에 그가 세운 정성루(政成樓)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예제(睿製) - 능허관만고(凌虛關漫稿)
조선의 제22대 정조(正祖)가 아버지 장헌세자(莊獻世子)의 문적을 모아 편찬한 문집. 정조가 직접 편찬ㆍ교정하여 순조(純祖) 때 간행함.
18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예조(睿祖) - 예종(睿宗)@고려
고려 제16대 국왕. 재위 1105~1122. 재위 중 인재양성에 힘써 무학재(武學齋)와 양현고(養賢庫) 등을 설치하고, 윤관(尹瓘)을 원수(元帥)로 삼아 여진족을 정벌하는 등의 치적을 쌓음.
1079~112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예조(藝祖) - 태조(太祖)@송
중국 송(宋)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960~976. 중국 대륙의 대부분을 통일하였으며, 문치주의(文治主義)에 의한 중앙집권적 관료제를 확립함으로써 송(宋) 나라 발전의 기반을 다짐.
927~976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예조(禮曹)@예부 - 예부(禮部)
신라 진평왕(眞平王) 8년에 설치된 외교(外交)와 의례(儀禮)를 맡아본 관서(官署). 관원으로는 영(令)ㆍ경(卿)ㆍ대사(大舍) 등이 있었으며, 고려 후기까지 존속됨.
586 한국>통일신라ㅣ한국>고려시대ㅣ한국>신라 , 법제>관청
-
예종문효대왕(睿宗文孝大王) - 예종(睿宗)@고려
고려 제16대 국왕. 재위 1105~1122. 재위 중 인재양성에 힘써 무학재(武學齋)와 양현고(養賢庫) 등을 설치하고, 윤관(尹瓘)을 원수(元帥)로 삼아 여진족을 정벌하는 등의 치적을 쌓음.
1079~112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예종양도대왕실록(睿宗襄悼大王實錄) - 예종실록(睿宗實錄)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재위 동안을 기록한 편년체 실록(實錄). 신숙주(申叔舟)ㆍ한명회(韓明澮)ㆍ강희맹(姜希孟)ㆍ최항(崔恒) 등이 왕명을 받아 《세조실록(世祖實錄)》의 편찬이 끝난 직후 시작하여 이듬해 1472년(성종 3)에 완성함.
14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예종양도흠문성무의인소효대왕(睿宗襄悼欽文聖武懿仁昭孝大王) - 예종(睿宗)@조선
조선의 제8대 국왕. 재위 1468~1469. 세조(世祖)의 아들로, 재위 1년 2개월 만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함.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을 완성함.
1450~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예주(禮州) - 예안(禮安)
경상도 안동(安東) 지역의 옛 지명. 고구려 때 매곡현(買谷縣)이었다가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선곡(善谷)으로 고쳤고, 고려 태조(太祖) 때 성주(城主) 이능선(李能宣)이 귀순하여 예안(禮安)이라고 함.
경상도>예안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