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시가(時可) - 강흔(姜訢)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로, 관찰사(觀察使) 강자평(姜子平)의 아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노필(盧㻶)ㆍ유호인(兪好仁) 등과 교유함. 1496년(연산군 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시간(尸諫) - 시간(屍諫)
죽으면서도 임금에게 간언(諫言)함.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 사추(史鰌)가 자신이 죽은 뒤 주검을 문밖에 내놓는 것으로 영공(靈公)에게 간언(諫言)하여 깨닫게 했다는 고사로, 《공자가어(孔子家語)》 등에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시거(時擧) - 반시거(潘時擧)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가례도(家禮圖)를 작성한 인물로 추정되며, 무위군 교수(無爲軍敎授)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시걸(時傑) - 윤시걸(尹時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은(尹訔)의 아들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견(時見)@유덕룡 - 유덕룡(柳德龍)
조선 후기의 유학.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
1563~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유학
-
시견(時見) - 김기서(金麒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 때에 조광조(趙光祖)와 신진사림(新進士林)들이 대거 숙청당하자 향리로 돌아가 후진양성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학자
-
시견(時見)@김정룡 - 김정룡(金廷龍)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서계(西溪) 김담수(金聃壽)의 아들이며,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풍기 군수(豊基郡守)ㆍ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냈음.
1561~16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ㅣ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시구(鳲鳩)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시구문(屍軀門) - 광희문(光熙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사소문(四小門)의 하나. 흥인지문(興人之門)과 숭례문(崇禮門) 사이에 있던 동남간문(東南間門)으로, 소의문(昭義門)과 함께 시신(屍身)을 성 밖으로 운반하는 통로 구실을 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시극(時極) - 김응회(金應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제자. 의병장 김천일(金千鎰)과 종유(從遊)했으며, 의병장 김덕령(金德齡)의 매부(妹夫). 효행이 뛰어나 정려(旌閭)됨.
155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시남(市南) - 유계(兪棨)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기계(杞溪).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여 예학과 사학에 정통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 등과 더불어 충청도 유림의 오현(五賢)으로 일컬어짐.
1607~166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시당(時堂) - 이교익(李喬翼)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1858년(철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工曹判書)ㆍ협판내무부사(協辦內務府事) 등을 지냄.
1830~189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동(蓍東) - 윤시동(尹蓍東)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득민(尹得敏)의 아들이며, 유척기(兪拓基)의 사위. 소신이 뚜렷하여 당론(黨論)을 논하다가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내직과 외직을 여러 번 거친 후 우의정 등을 지냄.
1729~17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시라(尸羅) - 신라(新羅)
B.C. 1세기경에 영남(嶺南) 지방에서 일어나 최초로 한반도를 통일한 고대국가의 하나. 혁거세(赫居世)부터 경순왕(敬順王)까지 56대 992년간 존속.
B.C.57~A.D.935 한국>신라 , 시간>국명
-
시량(時亮) - 위시량(魏時亮)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목종(穆宗) 때의 문신ㆍ학자. 1567년 목종이 등극하였을 때 병과 급사중(兵科給事中)으로서 한림 검토(翰林檢討) 허국(許國)과 함께 반조(頒詔)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옴. 저서에 《대유학수(大儒學粹)》 등이 있음.
1529~1591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시렴성(豉鹽城)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시령(始寧) - 문화(文化)
황해도 삼천(三泉), 신천(信川) 서부, 안악(安岳) 남부 일대에 있었던 옛 고을 이름. 단군(檀君)의 전설이 깃들어 있으며 구월산(九月山)이 있는 곳으로 유명함.
황해도>문화 , 지명>행정지명
-
시령군(始寧君) - 유돈(柳墩)@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와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역임함.
?~130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시령부원군(始寧府院君) - 유전(柳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상서원 직장(尙瑞院直長) 유예선(柳禮善)의 아들. 정여립(鄭汝立)의 옥사를 다스린 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31~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시로(詩老) - 매요신(梅堯臣)
중국 송(宋) 나라의 대표적 시인ㆍ문신. 당시(唐詩)의 섬세하고 교묘한 폐풍을 버리고 고문운동(古文運動)과 관련된 시 형식을 개척하여 새로운 송시(宋詩)의 개조(開祖)가 됨.
1002~106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