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시숙(始叔) - 송찬(宋贊)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천(鎭川). 《중종실록(中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진위사(陳慰使)와 진하사(進賀使)로 두 차례에 걸쳐 명(明) 나라에 다녀옴.
1510~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문신
-
시숙(時叔)@윤창명 - 윤창명(尹昌鳴)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으로, 윤신(尹信)의 아들. 정자(正字)를 지냈으며, 유몽인(柳夢寅)ㆍ구사맹(具思孟) 등과 교유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제천 , 인명>관인>문신
-
시숙(時叔) - 안우(安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탐진(耽津). 김종직(金宗直)에게 수학하고 김굉필(金宏弼)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였으며, 효행(孝行)으로 당대에 이름이 높았음.
1449~152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시숙(時叔)@박응립 - 박응립(朴應立)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명종(明宗) 때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낸 박세무(朴世茂)의 아들이며, 인조(仁祖) 때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박지계(朴智誡)의 아버지로, 수안 군수(遂安郡守)를 지냄.
1517~15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습(時習)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시아(詩雅)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시안(始安) - 괴산(槐山)
충청북도 중앙에 있는 고을 이름. 소백산맥이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어 교통이 불편하여 유교적인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지역임.
충청도>괴산 , 지명>행정지명
-
시안군(始安君) - 이탁(李擢)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손자이며, 칠성수(漆城守) 이화(李譁)의 아버지로, 시안군(始安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시암(是庵) - 강인(姜絪)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우의정 강사상(姜士尙)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555~163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시암(時庵) - 조상우(趙相禹)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인. 본관은 양주(楊州). 김장생(金長生)의 문인(門人)으로 참판(參判)에 증직되고, 온양(溫陽)에 있는 정퇴서원(靜退書院)에 배향됨.
1582~165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문인
-
시암(枾岩) - 권진(權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인품이 강직하여 이이첨(李爾瞻)에게 아부하지 않아 여러 번 탄핵을 받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고관(高官)들이 모두 도주했지만 홀로 조정과 대궐을 호위해 많은 공을 세움.
157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시암(詩庵) - 김정희(金正喜)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서화가(書畫家).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참판(兵曹參判)ㆍ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추사체(秋史體)를 대성한 명필로 예서(隸書)ㆍ행서(行書)에 능하며, 그림과 금석학(金石學) 등에도 조예가 깊음.
1786~185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예산ㅣ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시애(施愛) - 이시애(李施愛)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무신ㆍ역적. 본관은 길주(吉州)로, 함길도 첨절제사(咸吉道僉節制使) 이인화(李仁和)의 아들. 1467년(세조 12)에 길주에서 반란을 일으켜, 함길도 절도사(咸吉道節度使) 강효문(康孝文)을 살해함. 구성군(龜城君) 이준(李浚)과 남이(南怡) 등이 난을 진압하고, 이시애는 체포되어 참수됨.
?~1467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길성 , 인명>기타인명>역적ㅣ인명>관인>무신
-
시양(時讓) - 김시양(金時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비안 현감(庇安縣監) 김인갑(金仁甲)의 아들.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1636년(인조 14) 청백리에 뽑힘. 《하담파적록(荷潭破寂錄)》ㆍ《하담집(荷潭集)》ㆍ《부계기문(涪溪記聞)》 등을 남김.
1581~16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시언(時言) - 이묵(李黙)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무종(武宗) 때의 문신. 시랑(侍郎) 등을 지냈으나, 엄숭(嚴嵩)과 대립하고 조문화(趙文華)의 모함으로 옥사함. 저서로 《고수부담(孤樹裒談)》ㆍ《군옥루고(群玉樓稿)》등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시열(時烈) - 송시열(宋時烈)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이이(李珥)의 학통을 계승하여 기호학파(畿湖學派)의 주류를 이룬 주자학(朱子學)의 대가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남인(南人)과 대립하고, 후에 노론(老論)의 영수(領袖)로서 왕세자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賜死)됨.
1607~168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시영(是詠) - 금시영(琴是詠)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금복고(琴復古)의 장남으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시영(時榮) - 송시영(宋時榮)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상의원 주부(尙衣院主簿) 등을 지냄. 정묘호란 때 왕을 보필하였으며,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로 갔다가 성이 포위당해 이시직(李時稷) 등과 함께 자결함. 영동(永同) 초강서원(草江書院) 등에 배향됨.
1588~163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시영(柴榮) - 세종(世宗)@오대십국(후주)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 후주(後周)의 제2대 황제. 재위 954~959. 태조(太祖)의 양자(養子)로, 양자강(揚子江) 이북을 통일하고 내정을 안정적으로 통치하는 등 국가 체제를 확고히 정비함.
921~959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시옹(時翁) - 김미(金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제주 목사(濟州牧使) 김률(金硉)의 아들. 우승지ㆍ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고, 명종 초에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