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시제(始帝)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시제(時濟) - 김우홍(金禹洪)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에 그의 행장(行狀)이 실려 있음.
1459~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문사>학자
-
시조(始祖)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시조(是調) - 금시조(琴是調)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금복고(琴復古)의 아들로, 1624년(인조 2) 식년시에 급제하여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584~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시좌(時佐)@김시좌 - 김시좌(金時佐)
조선 전기의 효자. 본관은 안동(安東). 어려서 아버지를 여읜 후, 어머니를 지성으로 모시었고, 어머니가 죽자 여막(廬墓)에서 3년간 살면서 한 번도 집에 돌아가지 않았다고 함. 또 중종(中宗)과 명종(明宗)의 국상(國喪)에 3년간 심상(心喪)을 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효자
-
시좌(時佐) - 성준(成俊)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순조(成順祖)의 아들로, 좌의정ㆍ영의정 등을 지냄. 1495년(연산군 1) 시폐십조(時弊十條)를 주청하는 등 난정(亂政)을 바로잡으려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교살(絞殺)당함.
1436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시중(時中)@양경림 - 양경림(楊景霖)
조선 전기의 유학.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彥)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시중(時中)@민시중 - 민시중(閔時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으로,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을 지낸 민총(閔叢)의 아들. 여주 목사(驪州牧使)ㆍ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지냈으며, 《백담집(柏潭集)》에 구봉령(具鳳齡)이 보낸 시가 실려 있음.
151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시중(時中) - 마신(馬伸)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이천(伊川) 정이(程頤)의 문인으로, 이천이 핍박받을 때 매일 찾아가 마침내 제자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시중(時中)@한주 - 한주(韓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당진(唐津). 통사랑(通仕郞) 한근(韓瑾)의 아들로, 1533년(중종 2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인(舍人) 등을 지냄.
151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중(時中)@선시중 - 선시중(宣時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을 지낸 박희중(朴熙中)의 맏아들 박휘생(朴暉生)을 사위로 삼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시중(時仲)@봉성민 - 봉성민(奉聖民)
조선 전기의 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 감찰(監察)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훈됨.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시중(時仲) - 구변(具忭)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 이조 좌랑(吏曹佐郞)으로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이 되어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중(蓍重) - 민시중(閔蓍重)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민광훈(閔光勳)의 아들이며, 좌의정(左議政) 민정중(閔鼎重)ㆍ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형.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냈고, 학행(學行)으로 이름이 남.
1625~167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지(始之) - 정조(鄭造)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광해군 때 윤인(尹訒)과 함께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서궁(西宮)에 유폐시키는 데 적극 가담하고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냈으나, 인조반정 때 사형당함.
1559~162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시지(時之) - 권용중(權用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풍기 군수(豐基郡守)로 있던 주세붕(周世鵬)에게서 이름과 자(字)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시직(時稷) - 이시직(李時稷)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조호익(曺好益)ㆍ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이괄(李适)의 난 때 인조를 공주(公州)까지 호종함.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가 함락되자 송시영(宋時榮) 등과 함께 자결함.
1572~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시진(市津) - 은진(恩津)
충청도 남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금강유역에 있어 물자운송이 편리하여 농산물의 집산지이며, 강경산(江景山)․황화산(皇華山)에는 봉수(烽燧)가 있음. 현재는 충청남도 논산시(論山市)에 속함.
충청도>은진 , 지명>행정지명
-
시진(時珍) - 이시진(李時珍)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ㆍ의원. 《본초강목(本草綱目)》의 저자로, 의업(醫業)에 종사하는 한편, 약물의 기준서(基準書)를 집대성하는 일에 주력함.
1518~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
-
시진송씨(市津宋氏) - 은진송씨(恩津宋氏)
고려 때 판원사(判院事)를 지내고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진 송대원(宋大原)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집단>성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