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신(信)@조신 - 조신(曺信)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명(明) 나라에 과거를 보러가는 도중, 영광(靈光)의 자은도(慈恩島) 근해에서 풍랑으로 배가 부서져 물에 빠져 죽음.
?~1373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신(愼)@권신 - 권신(權愼)
조선 전기의 유학.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청학산(靑鶴山)을 유람할 때 중도(中途)에서 만난 내용이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신(愼)@황신 - 황신(黃愼)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황대수(黃大受)의 아들. 성혼(成渾)과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되었으나, 계축화옥(癸丑禍獄) 때 유배되어 죽음.
1562~161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부여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愼)@홍신 - 홍신(洪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경창(洪慶昌)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진하사(進賀使)로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신(愼) - 탁신(卓愼)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예의 판서(禮儀判書) 탁광무(卓光茂)의 아들. 경학(經學)에 밝고 무예(武藝)ㆍ음률(音律)에도 능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36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신(紳) - 강신(姜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우의정을 지낸 강사상(姜士尙)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낸 강사안(姜士安)에게 출계(出系)함. 선조 때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을 평정한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43~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紳)@배신 - 배신(裵紳)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 빙고 별좌(氷庫別座) 등을 지내고, 조식(曺植)의 문인이었다가 뒤에 이황(李滉)의 문인이 됨. 〈남명선생행록(南冥先生行錄)〉을 지어 올림.
1520~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신^걸(辛^桀) - 걸^주(桀^紂)
중국 하(夏) 나라의 마지막 왕인 걸(桀)과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인 주(紂)를 함께 부르는 말. 폭군(暴君)을 가리킴.
중국>은ㅣ중국>하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부(莘^傅) - 부^신(傅^莘)
중국 은(殷) 나라 고종(高宗) 때의 재상인 부열(傅說)과, 탕(湯) 임금 때의 재상인 이윤(伊尹)을 함께 부르는 말. 두 사람이 각각 은거하던 부암(傅巖)과 유신(有莘)에서 유래했으며, 뛰어난 현신(賢臣)을 가리킴.
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완(晨^阮) - 유^완(劉^阮)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 때의 서생(書生)인 유신(劉晨)과 완조(阮肇)를 함께 부르는 말. 두 사람이 약을 캐러 천태산(天台山)에 들어갔다가 선경(仙境)에서 살다 온 고사로 인해 선경에서 노닌 사람을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위(莘^渭) - 위^신(渭^莘)
중국 은(殷) 나라 때 위수(渭水)에서 낚시하다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재상이 된 여상(呂尙)과, 신야(莘野)에서 농사짓다 탕(湯) 임금의 재상이 된 이윤(伊尹)을 함께 부르는 말. 초야에서 발탁되어 왕조의 기반을 다진 어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지(莘^摯) - 지^신(摯^莘)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인 태임(太任)과 문왕의 부인이자 무왕(武王)의 어머니인 태사(太姒)를 함께 부르는 말. 지(摯)는 태임의 출신지이며 신(莘)은 태사의 출신지로, 현숙한 비(妃)를 가리킴.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간성(申杆城) - 신국형(申國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장음정유고(長吟亭遺稿)》에 나식(羅湜)의 송별시(送別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개(申介) - 신포서(申包胥)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 오(吳) 나라가 초 나라를 침략하였을 때 진(秦) 나라의 궁궐에 가서 7일 동안 울며 지원병을 요청하자, 이에 감동하여 출병(出兵)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신건백(新建伯) - 왕수인(王守仁)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ㆍ문신. 양명학(陽明學)의 창시자. 심성론(心性論)으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철학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침.
1472~1528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걸(莘傑) - 윤신걸(尹莘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1285년(충렬왕 11) 국자시(國子試)에서 시(詩)ㆍ부(賦)로 수석합격함. 충숙왕 때 순성보리공신(純誠輔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의평리(僉議評理) 등을 역임함.
1266~133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게(莘憩) - 이돈우(李敦宇)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상두(李相斗)의 아들로, 이상형(李相衡)에게 출계함. 《철종실록(哲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냈으며, 저서에 《갑고(甲藁)》가 있음.
1801~1884 한국>근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겸(信謙) - 심신겸(沈信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아들로, 가산 군수(嘉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경(信卿) - 한형윤(韓亨允)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주(淸州)로, 청평위(靑平尉) 한기(韓紀)의 아버지. 1492년(성종 2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ㆍ예서(隸書)에 능하여 당대의 명필로 알려짐.
1470~153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신경(信敬) - 신현(申贒)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학자. 우탁(禹倬)의 문인으로, 원(元) 나라의 주공천(朱公遷)ㆍ허겸(許謙)ㆍ전당(錢唐) 등 학자들과 교유하고, 당시 대학자로 추앙받음. 명(明) 나라 황제로부터 스승의 대우를 받고 불훤재(不諼齋)라는 호를 하사받음.
1298~1377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