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신문(新門) - 돈의문(敦義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서울 성곽의 사대문(四大門) 가운데 서쪽 성문. 지금의 서울 종로구 신문로에 있었으나 1915년 일제의 도시 계획에 따른 도로 확장으로 철거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신문경(辛聞慶) - 신단(辛湍)
조선 전기의 유학. 《백담집(栢潭集)》에 구봉령(具鳳齡)이 지은 〈신원우신문경(新院遇辛聞慶)〉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문경 , 인명>문사>유학
-
신민(信民) - 양신민(楊信民)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때의 문신ㆍ학자. 강음(江陰) 사람으로, 일조현 지사(日照縣知事)와 좌도어사(左都御史) 등을 지냈으며, 《성원주기(姓原珠璣)》를 저술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민(新民) - 김신민(金新民)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중성(金仲誠)의 아들로, 《세종실록(世宗實錄)》편찬에 편수관(編修官)으로 참여하였으며 벼슬이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신백(信伯) - 왕빈(王蘋)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학자. 정이(程頤)의 문인(門人)으로 정이의 학통을 이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신보(愼甫) - 백간미(白簡美)
고려 성종(成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무신. 육조(六朝)에 걸쳐 벼슬을 지내고 영해(寧海)로 낙향하였으며, 문종이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응하지 않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신보(新甫)@유대진 - 유대진(兪大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좌의정 유홍(兪泓)의 아들. 이이(李珥)의 천거로 홍문관(弘文館)에 발탁되고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54~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보(新甫) - 왕가(王嘉)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문신. 전한(前漢) 칠상(七相) 중의 한 명이며, 애제(哀帝) 때 변사(辯士)인 식부궁(息夫躬)의 계략을 저지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보(申保) - 채신보(蔡申保)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필선(弼善)을 지낸 채륜(蔡倫)의 아들로, 평해 현감(平海縣監)ㆍ남양 부사(南陽府使)를 지냄.
1419~14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음성 , 인명>관인>문신
-
신보(臣保) - 정신보(鄭臣保)
고려 후기의 유학. 본래 중국 절강(浙江) 사람으로, 송(宋) 나라 때 상서형부 원외랑(尙書刑部員外郞)에 올랐다가 나라가 망하자 고려로 건너와 충청도 서산(瑞山)에 정착하여 서산정씨(瑞山鄭氏)의 시조가 됨. 송곡서원(松谷書院)에 배향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문사>유학
-
신복천(神福泉) - 비수(泌水)
중국 문수현(文水縣)의 동남쪽으로 흘러 문수(文水)로 흘러드는 강. 《시경(詩經)》〈진풍(陳風)〉 '형비(衡泌)'편에서 형문(衡門)과 함께 은거하는 곳을 뜻하는 용어로 쓰임.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ㅣ지명>자연지명
-
신본(信本) - 구양순(歐陽詢)
중국 수(隨) 양제(煬帝)~당(唐)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당 고조(高祖)가 즉위한 후에 급사중(給事中)으로 발탁되고, 태자솔경령(太子率更令)ㆍ홍문관 학사(弘文館學士)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사람들로부터 해법(楷法)의 극칙(極則)이라 하여 칭송됨.
557~64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신비(愼妃)@단경왕후 - 단경왕후(端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비(妃). 본관은 거창(居昌).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 신수근(愼守勤)의 딸로, 중종반정(中宗反正) 직후 폐위(廢位)되었다가 영조(英祖) 때 복위(復位)됨.
1487~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신사(莘姒) - 태사(太姒)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비(妃). 무왕(武王)의 어머니. 부덕(婦德)이 훌륭하여 태임(太任)ㆍ태강(太姜)과 더불어 주 나라 왕실의 ‘삼모(三母)’로 일컬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신상인(信上人) - 유신(惟信)
조선 전기의 승려. 법장(法藏)의 제자로, 팔공산(八公山)의 사리사(闍梨寺)에서 수행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종교인>승려
-
신생(申生)@신포서 - 신포서(申包胥)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 오(吳) 나라가 초 나라를 침략하였을 때 진(秦) 나라의 궁궐에 가서 7일 동안 울며 지원병을 요청하자, 이에 감동하여 출병(出兵)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신서(申胥) - 신포서(申包胥)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 오(吳) 나라가 초 나라를 침략하였을 때 진(秦) 나라의 궁궐에 가서 7일 동안 울며 지원병을 요청하자, 이에 감동하여 출병(出兵)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신서(申胥)@오운 - 오운(伍員)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재상. 초(楚)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와 형이 초(楚) 평왕(平王)에게 처형당함. 오 나라 부차(夫差)를 도와 월(越) 나라를 이기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후에 부차(夫差)에게 처형당함.
B.C.559~B.C.48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신서십조(信書十條) - 훈요십조(訓要十條)
고려 태조(太祖)가 자손들에게 내린 열 가지 유훈(遺訓). 943년(태조 26) 4월에 박술희(朴述熙)를 통하여 전했으며, 주로 왕실의 안녕을 위해 지켜야 할 일을 담고 있음.
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법제>법률
-
신석견(辛石堅) - 신석조(辛碩祖)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426년(세종 8)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개성 유수(開城留守) 등을 지냄. 저서로 《연빙당집(淵氷堂集)》이 있음.
1407~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